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타인의 신체적, 감정적 특성에 대한 주의 유도가 자원 분배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제완,차민정,송현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4 No.1

        This study examined how drawing attention to recipients’ emotion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e sharing behavior of Korean adults and children. Adults and 5- to 6-year-old children were asked to think about recipients’ emotions or physical characteristics before they allocate their resources in a dictator game. Participants in the emotional condition, participants were asked to think about the recipient’s feelings, whereas those i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condition were asked to think about the size of the recipient’s hand. The adults and 5- to 6-year-old children in the emotional condition both allocated significantly more stickers to the recipients than did the participants i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condi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drawing attention to recipients’ emotions promoted prosociality in resource sharing among both adults and 5- to 6-year-old children. 본 연구는 성인과 만 5-6세 아동을 대상으로 타인의 내적인 특성과 외적인 특성에 대한 주의 유도가 공평한 분배를 향상시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성인들이 자원의 분배자가 되어 수혜자에게 자원을 분배하는 독재자 게임에 참여하였다. 참가자들은 감정 혹은 외양 조건에 배정되었다. 감정 조건의 경우 자원 분배 전 수혜자의 감정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했으며 외양 조건에서는 수혜자의 손 크기를 생각하게 하였다. 실험 결과, 외양 조건보다 감정 조건에서 참가자들이 공평한 분배행동을 유의미하게 많이 하였다. 만 5-6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독재자 게임의 분배자 역할로 참여해 수혜자 역할의 상대에게 자원을 분배하였다. 실험 결과, 감정 조건에 배정된 아동들이 외양 조건에 배정된 아동들보다 공평 분배 행동의 빈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는 타인의 내적 특성에 대한 주의 증가가 아동의 공평 분배 행동을 촉진시킬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타인의 특성 중 감정 특성에 대한 주의 유도가 성인과 만 5-6세 아동의 공평 분배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타인에 대한 주의 유도가 만 4세 아동의 분배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제완,송현주,한규옥,박채린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2 No.1

        This study examined whether enhanced attention to other’s emotion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can promote 4-year-olds’ (N = 107) sharing behavior in a dictator game. In this experiment, participants distributed 10 stickers between themselves and a monkey puppet in a picture. Before starting the game, children in emotion condition were asked to guess how the recipient monkey would feel (happy, neutral or sad) after receiving stickers to draw children’s attention to recipient. Children in the appearance condition were asked to think about the color of monkey’s shoes. In control condition, children participated in a standard dictator game without any previous instruction. As a result, children in the emotion and appearance condition distributed significantly more stickers to the recipient than those in the control condi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enhanced attention to recipients’ emotion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can enhance children’s fair behavior in a resource sharing task. 본 연구는 만 4세 아동을 대상으로 타인에 대한 주의 유도가 공평 분배 행동을 촉진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참가 아동은 독재자 게임의 분배자 역할로 참여해 자신과 사진 속 원숭이 인형에게 스티커 10개를 분배하였다. 참가 아동은 분배 행동 전 수혜자의 감정을 고려해보는 정서 조건, 수혜자의 외양에 대해 생각해보는 외양 조건 혹은 아무런 정보도 제공받지 않는 통제 조건 중 하나의 조건에 무선적으로 할당되었다. 실험 결과, 정서 조건의 아동들과 외양 조건의 아동들은 통제 조건의 아동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더 많은 자원을 수혜자에게 분배했다. 이러한 결과는 자원 수혜자의 심리적, 신체적 정보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도록 유도하는 것이 아동의 분배 행동을 촉진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타인에 대한 주의 향상이 아동의 분배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의 본질에 대한 논의점을 제공한다.

      • 호흡동조방사선치료를 위한 Trigger mode 투시영상 획득 시 호흡 속도에 따른 정확성 평가 - Phantom Study

        박제완,김민수,엄기천,최성훈,송흥권,윤인하,Park, je wan,Kim, min su,Um, ki cheon,Choi, seong hoon,Song, heung kwon,Yoon, in ha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21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33 No.-

        목 적 : 본 연구를 통해 호흡동조방사선치료(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RGRT)시 환자 호흡 속도에 따른 Trigger mode의 정확성과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호흡 속도에 따른 Trigger mode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QUASAR<sup>TM</sup> 호흡 움직임 팬텀에 3 mm의 기준 표지자(Fiducial marker, gold marker)를 삽입하여 본원 한달 동안 환자의 평균 호흡인 20 bpm(Breath per minute)을 기준으로 4DCT 촬영 후 정중앙(Median)에 위치한 표지자에 윤곽 묘사(Contouring)를 하였다. OBI(On Board Imager)가 장착된 Truebeam STx<sup>TM</sup>를 이용해 방사선조사 구간인 Gating window를 Lower threshold는 2.0 mm로 모든 측정 조건에서 고정시키고, Upper threshold를 최고 위상으로부터 각각 1.0 mm, 1.5 mm, 2.0 mm, 2.5 mm, 3.0 mm로 바꿔가며 측정하였다. 위와 같은 조건에서 평균 호흡 속도인 20 bpm을 기준으로 10 bpm, 30 bpm, 40 bpm, 50 bpm, 60 bpm 호흡속도를 바꿔가며 방사선이 끊기는 순간인 'Once at beam off'로 5회 촬영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3일간 반복 촬영 후 각 속도 별 오차율을 비교하였다. 결 과 : 기준 호흡 속도 20 bpm에서 최고 위상으로부터 각각 1.0 mm, 1.5 mm, 2.0 mm, 2.5 mm, 3.0 mm Upper threshold에서 Trigger mode의 beam off시 차이는 3일간의 평균값으로 0.68±0.05 mm, 0.91±0.03 mm, 1.23±0.03 mm, 1.42±0.04 mm, 1.66±0.06 mm이다. 기준 호흡 속도(20 bpm)대비 호흡 속도 변화에 따른 측정 결과는 최대 절대차이(Absolute Difference)의 경우 1일차, 2일차, 3일차 모두 3 mm Upper threshold에서 평균 0.81±0.08 mm로 차이가 확인되었다. 호흡 속도와 절대차이의 편차(Variation)에 대한 상관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결정계수 R2는 3일 평균 수치로 각각 0.838, 0.887, 0.770, 0.850, 0.906로 확인되었다. 3일간의 Threshold 모든 변수에서 p-value는 설정 유의수준 0.05 이하로 차이유의를 확인하였다. 결 론 : 호흡동조방사선치료 시 Trigger mode를 이용하여 영상유도를 할 경우 기준 호흡 속도(20 bpm)에서의 Trigger mode의 오차율이 평균 ±0.04 mm 값으로 정확성과 유용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호흡 속도에 따른 부정확성(Uncertainty) 또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기준 호흡 속도 대비 느려지는 경우(< 20 bpm)보다 빨라지는 경우(> 20 bpm) 영상획득에 대한 부정확성은 커졌다. 따라서 사전 모의치료시의 호흡을 선별하고 호흡을 유지하기 위한 호흡교육과 치료 중 적극적인 실시간 모니터링(Monitoring)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usefulness of the Trigger mode for the 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RGRT) Materials and methods : A QUASAR respiratory phantom that inserted a 3 mm fiducial marker (a gold marker) was used to estimate the accuracy of the Trigger mode. And the 20 bpm was used as reference respiration rate in this study. The marker that placed at the center of the phantom was contoured, and the lower threshold of a gating window was fixed at 2.0 mm using an OBI with Truebeam STx<sup>TM</sup>. The upper threshold was measured every 0.5 mm from 1.0 mm to 3.0 mm. The respiration rates were changed every 10 bpm from 10 bpm to 60 bpm. We repeatedly measured five times to check the error rate of the trigger mode in the same condition. Result : The differences of a distance from a peak phase to upper threshold, 1.0 to 3.0 mm at a 20 bpm as a reference for 3 days in a row were 0.68±0.05 mm, 0.91±0.03 mm, 1.23±0.03 mm, 1.42±0.04 mm, and 1.66±0.06 mm, respectively. Measurement result of changes in respiratory rate compared to baseline respiratory rate in maximum absolute difference.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to estim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piration velocity and variation of absolute difference was on average 0.838, 0.887, 0.770, 0.850, and 0.906. The p-values of all the variables were below 0.05. Conclusion : Using Trigger mode during 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RGRT), accuracy and usefulness of trigger mode at reference breathing rate were confirmed. However, inaccuracies depending on the rate of breathing it could be uncertain in case of respiration rate is faster than 20 bpm as a standard respiration rate compared to slower than 20 bpm. Consequently, when conducting a RGRT using the trigger mode, real time monitoring is required with well educated respiration.

      • KCI등재

        업종별 방사선작업종사자 피폭 기록 다각형 모델 분석 연구

        박제완,한지영,김용민 한국방사선학회 2023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7 No.2

        Since the radiological risk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working environment, protection measures and policies must be developed through analysis of the field area environment.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area that uses radiation should be conduct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industries, not just the numerical value of the field area. In this study, evaluation factors were derived from exposure records by the department to compare radiation occupational exposure records by sector. And then, we developed a polygonal model for comparative analysis and applied them to eight work fields through ten evaluation factors. Based on the occupational exposure record in 2020, a polygonal model was applied to compare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diation work area. Through this, the usefulness of the polygonal model was confirmed, and protection policy measures for the industry were proposed. 작업환경에 따라 방사선학적 위험성이 상이하므로 해당 업종 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방호 수단과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 방사선을 이용하는 업종 분야에서의 특성을 평가하는 것은 해당 업종의 수치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다른 업종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업종별 방사선 피폭 기록 비교를 위해 부처별 종사자 피폭 기록으로부터 평가 인자를 도출하고 이를 상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다각형 모델을 개발하여 8개 방사선 이용 업종에 대해 적용하였다. 2020년 방사선 피폭 기록을 바탕으로 다각형 모델을 적용하여 방사선 업종의 피폭 기록을 기반으로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다각형 모델의 유용성을 확인하였으며 업종에 대한 방호 정책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극한 환경 내 안전조치 장비 운영에 관한 연구

        한지영,박수희,박제완,김용민 한국방사선학회 2023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7 No.7

        In scenarios involving inspections and verifications of nuclear facilities, ensuring the proper functioning of on-site safeguards equipment is crucial. There have been precedents in Kazakhstan where equipment failed to operate properly due to extremly cold temperatures, and the year-round minimum temperature at North Korea's Punggye-ri nuclear test site is approximately minus 30 degrees Celsius. To ensure the proper functioning of equipment in extreme environments for on-site verification of nuclear activities on the Korean Peninsula, relevant research is necessary. This includes confirming the functionality of equipment used in inspections and verifications, as well as analyzing factors that may disrupt their normal operation.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risk analysis for the normal operation of equipment in extreme environments and develop criteria and procedures for environmental-based performance testing. To achieve this, we conducted a risk analysis based on IAEA safeguards, analyzed the utilization of equipment, and performed a risk analysis associated with transportation for on-site verification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ninsula. Furthermore, we provided performance testing criteria and procedure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tilized as reference material in the verification and monitoring processes of nuclear activities. 원자력 시설 사찰, 검증 등의 상황을 가정하였을 때, 현장 내 안전조치 장비의 정상 작동 담보는 필수적 요소이다. 카자흐스탄의 핵실험금지조약 현장 사찰 대비 훈련에서 극저온으로 인해 장비가 정상 운영되지 못한 선례가 있으며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의 연중 최저 기온은 영하 30도 내외이다. 한반도 원자력 활동 현장 검증을 위해서는 극한 환경 내 장비의 정상 작동 담보를 위한 관련 연구가 필요하며, 여기에는 사찰 및 검증에 활용되는 장비 확인, 정상 작동을 방해하는 위험요인 분석 등이 포함된다. 본 연구는 극한 환경 내 장비의 정상 운영을 위한 위험성 분석, 환경 기반 성능 시험 기준 및 절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IAEA 안전조치 방법, 활용 장비 분석, 한반도 환경 특성과 현장 검증을 위한 운반에 따른 위험성 분석을 수행하고 성능 시험 기준 및 절차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핵활동 검증 및 감시 과정에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한반도 비핵화 참여에 대비한 정책 및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호흡동조 정위체부방사선치료에서 Gated Cone-beam CT의 유용성 평가

        홍성윤,이충환,박제완,송흥권,윤인하,Hong sung yun,Lee chung hwan,Park je wan,Song heung kwon,Yoon in ha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22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34 No.-

        Purpose: Conventional CBCT(Cone-beam Computed-tomography) caused an error in the target volume due to organ movement in the area affected by respiratory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ccuracy and time spent using the Gated CBCT function, which reduces errors when performing RGRT(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and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phase. Materials and method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Gated CBCT, the QUASAR<sup>TM</sup> respiratory motion phantom was used in the Truebeam STx<sup>TM</sup>. Using lead marker inserts, Gated CBCT was scaned 5 times for every 20~80% phase, 30~70% phase, and 40~60% phase to measure the blurring length of the lead marker, and the distance the lead marker moves from the top phase to the end of the phase was measured 5 times. Using Cedar Solid Tumor Inserts, 4DCT was scanned for every phase, 20-80%, 30-70%, and 40-60%, and the target volume was contoured and the length was measured five times in the axial direction (S-I direction). Result: In Gated CBCT scaned using lead marker inserts, the axial moving distance of the lead marker on average was measured to be 4.46cm in the full phase, 3.11cm in the 20-80% phase, 1.94cm in the 30-70% phase, 0.90cm in the 40-60% phase. In Fluoroscopy, the axial moving distance of the lead marker on average was 4.38cm and the distance on average from the top phase to the beam off phase was 3.342cm in the 20-80% phase, 3.342cm in the 30-70% phase, and 0.84cm in the 40-60% phase. Comparing the results, the difference in the full phase was 0.08cm, the 20~80% phase was 0.23cm, the 30~70% phase was 0.10cm, and the 40~60% phase was 0.07cm. The axial lengths of ITV(Internal Target Volume) and PTV(Planning Target Volume) contoured by 4DCT taken using cedar solid tumor inserts were measured to be 6.40cm and 7.40cm in the full phase, 4.96cm and 5.96cm in the 20~80% phase, 4.42cm and 5.42cm in the 30~70% phase, and 2.95cm and 3.95cm in the 40~60% phase. In the Gated CBCT, the axial lengths on average was measured to be 6.35 cm in the full phase, 5.25 cm in the 20-80% phase, 4.04 cm in the 30-70% phase, and 3.08 cm in the 40-60% phase. Comparing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error was within ±8.5% of ITV Conclusion: Conventional CBCT had a problem that errors occurred due to organ movement in areas affected by respiratory movement, but through this study, obtained an image similar to the target volume of the setting phase using Gated CBCT and verified its usefulness. However, as the setting phase decreases, the scan time was increases. Therefore, considering the scan time and the error in setting phase, It is recommended to apply it to patients with respiratory coordinated 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 using a wide phase of 30-70% or more.

      • KCI등재

        NTFS 파일 시스템에서 MS Office 워드 문서와 관련된 시간 정보 분석

        서기민,권혁돈,박제완,오승진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2009 디지털 포렌식 연구 Vol.- No.5

        일반 범행 현장에서 용의자의 시간 정보는 알리바이를 검증하는 기본적인 판단 기준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디지털 포렌식 수사에서도 파일(특히 문서 파일)과 관련된 시간 정보는 파일의 조작 여부를 검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NTFS 파일 시스템은 4 가지 시간 저보를 저장하지만 이는 복사 등의 행위로 쉽게 변경 될 수 있다. 하지만 MS 오피스 워드 파일 내부에는 파일 시스템의 시간과 상관없이 유지되는 별도의 시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링크 파일에는 워드 문서와 관련된 시간 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영역의 시간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문서 작성이나 수정이 언제 이루어 졌는지 또는 고의적인 시간 조작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MS 오피스 워드 파일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문서에 대한 용의자의 사용 흔적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정립하고 이를 쉽게 판별할 수 있는 도구를 설계하였다. Time information is the basic judging criteria at the scene to verify the suspect's alibi. Likewise, Time information associtated with file(especially MS Document file) in the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can be used to verify manipulation of file. There are 4 different time information in the NTFS file system. Also, MS Office document files regardless of the file system time have last modified tim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ti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MS word file, so the criteria were established. And we design the tool that detect the modification of docu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