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식을 과연 투자대상으로 고려해도 좋은가?

        박정윤,Park, Jeong-Yun 한국재무관리학회 2003 財務管理論叢 Vol.9 No.1

        본 연구는 1980년부터 1999년까지 20년간 주식을 비롯하여 회사채, 국채, 정기예금, 그리고 부동산의 투자성과를 먼저 포트포리오 선택기준으로 사용되는 평균-분산 기준, 기하평균수익률 기준, 그리고 안전제일기준으로 각 투자자산의 투자성과를 평가해 보았다. 그리고 위험조정 성과평가 방법인 Sharpe 측정치, Treynor 측정치, 그리고 Jensen 측정치에 의해서도 각 투자대상의 투자성과를 평가해 보았다. 첫째, 평균-분산 기준에 따른 투자성과를 살펴보았을 때, 주식의 연평균수익률이 18.6%로 가장 높았으나 위험이 35.7%로 수익률에 비해 지나치게 높았다. 위험 한 단위당 수익률을 평가했을 때에는 정기예금이 가장 우수한 투자대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사채와 국채가 그 다음이었다. 주식은 가장 열등한 성과를 보였다. 둘째, 기하평균수익률에 의해 자산의 투자성과를 평가했을 때에는 회사채와 국채의 수익률이 15.4%와 14.4%로 주식의 수익률, 13.6%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주식을 규모별로 나누어 수익률을 측정했을 때 소형주의 기하평균수익률이 25.3%가 되어 다른 투자대상의 수익률보다 더 높았다. 그리고 정기예금의 기하평균수익률(10.5%)은 주식보다 낮았고 부동산(7.5%)이 가장 열등하였다. 셋째, Roy의 기준으로 투자자산의 성과를 평가했을 때에도 회사채와 국채가 각각 1위와 2위를 보였고 정기예금이 3위를 나타냈다. 주식은 정기예금보다 못한 4위에 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위의 세 기준에 의한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회사채와 국채가 가장 뛰어난 투자대상이었음이 확인되었다. 정기예금이 그 다음으로 투자성과가 좋았고 주식은 정기예금보다도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위험조정 성과평가 방법인 Sharpe 측정치, Treynor 측정치, 그리고 Jensen 측정치에 의해서도 각 투자대상의 투자성과를 평가해 보았다. 먼저 Sharpe 측정치에 의해 평가했을 때, 회사채가 주식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Treynor 측정치에 의한 평가를 했을 때는 정기예금이 가장 우수했다. 그리고 Jensen 측정치에 따라 투자대상을 평가했을 때는 회사채와 국채가 주식보다 앞섰다. 마지막으로, 종합적인 평가를 했을 때는 회사채가 주식보다 우수했고 정기예금은 주식과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 재무정책과 기업부실예측

        박정윤,Park, Jeong-Yun 한국재무관리학회 2000 財務管理論叢 Vol.6 No.1

        본 논문의 목적은 1991년부터 1996년까지 부실이 된 상장기업 41개사와 이에 대응하는 118개 건전기업의 표본을 가지고 주요 재무정책변수를 이용하여 로짓분석에 의한 기업부실예측모형을 구축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와는 달리 이론적으로 타당하고 재무경영자의 관심대상인 투자정책변수, 자본조달정책변수 및 배당정책변수를 가장 잘 반영한다고 판단되는 12개의 재무비율을 사전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12개의 재무비율에 대해 부실기업과 건전기업을 가장 잘 판별할 수 있는 재무비율을 선정하기 위하여 프로파일 분석과 두 표본 t검정을 하였다. 그 결과 투자정책, 자본조달정책, 그리고 배당정책을 대표하는 변수로 자기자본순이익률, 총자본부채비율 및 배당율이 각각 채택되었다. 그리고 현금흐름변수를 추가하였다. 이 네 변수를 이용하여 로짓분석을 실행하였다. 먼저 부실 1년전부터 부실 5년전까지 각 연도별로 부실예측모형을 추정하였다. 부실 1년전의 추정모형에 의하면 총자본부채비율을 제외한 모든 계수의 부호는 (-)로 모두 기대했던 대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부실 4-5년 전에는 자기자본순이익률과 총자본부채비율이 기업부실에 유의한 영향을 주나 부실전 3년간은 현금흐름과 배당률의 크기가 부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실예측모형을 기업의 재무정책적인 관점에서 추정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SCOPUSSCIEKCI등재

        원격 부위에서 재발한 뇌수막 혈관주위세포종 - 증 례 보 고 -

        박정윤,최하영,Park, Joung-Youn,Choi, Ha-Young 대한신경외과학회 2001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30 No.4

        Hemangiopericytomas, which used to be classified as the subtype of the meningiomas, like the angioblastic meningiomas or hemangiopericytic meningiomas, are rare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with an incidence of <1% of all central nervous system(CNS) tumors. In spite of a total surgical removal, hemangiopericytomas have a tendency of high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hemaniogipericytoma recurred at the remote area from the primary site. The tumor recurred in the meninges of right temporal area after total removal of the tumor in the right parasaggital region including the falx.

      • KCI등재후보

        의사와 간호사의 환자안전교육 경험에 관한 포커스 그룹 연구

        박정윤,이유라,이의선,이재호,Park, Jeong-Yun,Lee, Yu-Ra,Lee, Eu-Sun,Lee, Jae-Ho 한국의료질향상학회 2020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26 No.2

        Purpose: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patient safety education among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developing a patient safety curriculum in South Korea. Methods: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wo focus group interviews in the period October-December 2018. Eleven participants who underwent patient safety education participated in each session.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s spoken,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categories of discussion depicting participants' subjective experience with patient safety education. Results: A total of three categories and seven themes were identified out of 77 units of analysis. Topics were identified in the dimensions of a patient safety curriculum, as follows: (1) activities for patient safety; (2) principle of patient safety (five rights, ethics, patient participation) and patient participation; (3) leadership, teamwork, and communication; and (4) reporting and learning system for patient safety events. In the dimension of methods, (5) case and evidence-based education and (6) multidisciplinary and small group teaching were identified. Finally, in the dimension of the system, (7) policies for patient safety education were identified. Conclusion: Our findings indicate that patient safety education is a significant area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Health care professionals suggested that a systematic patient safety curriculum would improve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Moreover, it enables them to better construct a safety environment in a hospital.

      • 기독인 경영기업과 일반기업의 자본구조전략 차이에 관한 실증적 분석 : 성경적 접근

        박정윤,Park, Jeong-Yun 한국재무관리학회 1998 財務管理論叢 Vol.4 No.1

        본 논문은 기독인 경영기업과 일반기업의 자본조달전략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미국 기독인 경영기업의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에 앞서 성경에 기초하여 부채에 관한 원리를 찾아서 정리하였다. 그 다음 도출된 차입원리에 기초하여 네 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중심된 가설은 기독인 경영기업과 일반기업의 부채비율에 차이가 존재하는가 이었다. t-검증을 한 결과 두 집단의 부채비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일부의 기독인 경영기업은 무부채정책을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기업간의 상이한 자본구조의 차이를 성경적으로 접근하여 설명을 시도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던과 노튼의 행복한 지출원칙에 대한 성경적 평가

        박정윤(Park, Jeong Yun) 행복한부자학회 2015 행복한부자연구 Vol.4 No.2

        본 논문의 목적은 던과 노튼이 그의 저서, 「Happy Money: The Science of Smarter Spending」에서 제시하는 다섯 가지 행복한 지출원리를 개괄적으로 제시하고, 이에 대한 성경적 평가를 하는 데 있다. 던과 노튼은 많은 연구를 인용하면서 행복은 소득의 증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소득을 어떻게 지출하느냐에 달려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가정을 전제하여 그들은 행복을 증진하기 위한 다섯 가지 지출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1) 체험을 구매하라, (2) 특별하게 만들어라, (3) 시간을 구매하라, (4) 먼저 돈을 내고 나중에 소비하라, (5)다른 사람에게 투자하라. 본 연구는 던과 노튼이 제시한 다섯 가지 원칙을 도출하기 위해 관련된 중요한 연구를 소개한 후에, 각 원칙에 대해 성경적인 평가를 시도하였다. 전반적으로 볼 때 다섯 가지 원칙이 성경 말씀의 내용에 제법 잘 부합한다고 볼 수 있는 것 같다. 박정윤(2011)은 그의 저서, 「행복한 부자학」에서 성경적 소비원리로 크게 세 가지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친구를 사귀기 위해 우선순위에 따라 지출하라. 둘째, 세 가지 욕구를 구분하여 지출하라. 셋째, 예산을 세워 지출하라. 세 번째 원리는 세운 예산에 따라 지출을 함으로써 빚지지 않고 소비하는 것을 함축하고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던과 노튼이 소개하고 있는 연구와 동일한 실험을 했을 때 어떠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지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또한 던과 노튼의 지출원칙을 박정윤이 제안한 성경적 소비원리와 통합을 시도하는 연구를 하는 것도 흥미로울 것 같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biblically 5 principles proposed in their book, 「Happy Money: The Science of Smarter Spending written by Dun and Norton. Dun and Norton assume that happiness does not depend on his or her income level, but by how he or she consumes based on numerous experiments and studies. Based on the assumption, they propose five principles of consumption to improve mans satisfaction: (1) Buy experiences; (2) Make it a treat; (3) Buy time; (4) Pay now, consume later; (5) Invest in others. After introducing relevant major experiments or studies in Dun and Nortons book, the author evaluates biblically each principle of happy consumption. Generally, their five principles of happy consumption seem to coincide with those of biblical consumption. Park(2011) proposes three biblical principles of consumption in his book, 「Studies of Happiness and Affluence: (1) Consume by the order of priority to make friends; (2) Consume by distinguishing needs, wants, and desires; (3) Consume according to expenditure budget. The third principle implies prohibiting consumption by debt. It appears to be interesting that we may integrate principles of consumption proposed by Dun and Norton and those by Park for future research. In addition, we may experiment or research in various ways to see if same principles can be derived as those proposed by Dun and Norton in Korea.

      • KCI등재
      • 박정윤 명예교수의 저서 리뷰와 교육선교의 전략적 시사점

        박정윤(Park, Jeong Yun) 행복한부자학회 2021 행복한부자연구 Vol.10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저자가 영남대학교 상경대학 경영학과 교수로 근무하면서부터 2020년 말까지 펴낸 저서를 리뷰 하는 데 있다. 크게 신앙 간증서인 『네 친속에 고하라』, 『행복한 부자학 교수가 되기까지』와 성경적 세계관으로 저술한 『행복한 부자학』, 『행복한 증권투자』, 『행복한 기업경영』 등을 간단히 소개하였다. 한 기독교수의 성경적 세계관에 기초한 저서의 리뷰를 통하여 발견한 교육선교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선교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성경적 세계관으로 단행본을 저술할 필요가 있다. 물론 저술에 앞서 신앙과 학문의 통합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통합연구와 성경적 세계관으로 교재를 저술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전공분야의 통합연구학회에 정기적으로 참석하여 교육과 훈련을 받을 필요가 있다. 셋째, 기존의 학문을 융합하여 새로운 학문을 태동시킬 수 있고, 학회를 창립하게 되면 교육선교의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 저자는 빈곤문제와 불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긍정심리학, 부자학, 생활재무관리 등을 성경적 세계관으로 융합하여 행복한 부자학을 새로 생성시키고, 2012년에 행복한 부자학회를 창립하였다. 넷째, 통합연구를 바탕으로 책을 저술하여 교재를 저술하게 되면 교육효과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퇴직 이후에도 특강이나 세미나를 통하여 교육선교가 가능하다. 저자는 정년퇴임 이후에도 교회와 대학, 기독단체 등에서 특강과 단기 세미나를 통하여 교육을 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view books written by emeritus professor Park Jeong Yun and to search out strategic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evangelism. Two groups of books were introduced: While first group consists of several religious testimony books, second group is composed Studies of Happiness and Affluence, Joy of Investing: Biblical Principles of Goon Investment Practice, Biblical Principles and Practice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at are written from biblical perspetives. The author presented four implcations for effective educational evangelism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hat he/or she write a textbook(s) from a biblical perspective. Of course, integrative research must be preceded. Second, it is necessary that he or she participate regularly in biblical academic seminar to train himself(or herslf) in his (or her) academic area in order to write a book in a biblica world-view. Third, when he or she integrate academic disciplines into a new discipline such as Studies of Happiness and Affluence, ripple effect of educational evangelism grows to be great. Fourth, educational evangelism can be continued through special lectures and/or seminars even after he(or she) retires from school.

      • 경장영양을 공급받는 중환자의 위 잔여량 현황 조사

        박영옥 ( Young Ok Park ),강은희 ( Eun Hee Kang ),박소정 ( So Jung Park ),박민아 ( Min A Park ),윤소윤 ( So Yoon Yoon ),김승란 ( Seung Lan Kim ),박정윤 ( Jeong Yun Park ),정영선 ( Young Sun Jung ),홍석경 ( Suk Kyung Hong ),예병덕 (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09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지 Vol.2 No.1

        Purpose: High gastric residual volumes (GRVs) are known to be one of the frequent causes of stopping enteral nutri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gastric residual volume status in critically ill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s. Methods: The subjects were 96 critically ill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ICU at ASAN Medical Center between October 1, 2008 and March 31, 2009. The measured volumes were categorized in 50 ml intervals from 0 to 500 ml. Results: Of the total GRVs measured, 46% were <50ml. The patients with a GRV ≥50 ml were 54% and 4% had a GRV ≥250 ml, whereas none of the patients` GRVs were ≥500 ml. When admitted to the hospital,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APACHE 2 score and the gastric residual volume. This shows that the higher the APACHE2 score was the gastric residual volume. An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APACHE 2 score and the loss of calories. This shows that the higher the APACHE 2 score was the loss of calories. Conclusion: The gastric residual volume of the critically ill patients under enteral nutrition in our hospital was not higher than that presented on the guidelines from the US and Canada. In addition,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gastric residual volume among the critically ill patients depending on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Strict criteria for the gastric residual volume could be a factor for inhibiting proactive enteral nutrition. (KJPEN 2009;2(1):24-2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