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독인 경영기업과 일반기업의 자본구조전략 차이에 관한 실증적 분석 : 성경적 접근

        박정윤,Park, Jeong-Yun 한국재무관리학회 1998 財務管理論叢 Vol.4 No.1

        본 논문은 기독인 경영기업과 일반기업의 자본조달전략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미국 기독인 경영기업의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에 앞서 성경에 기초하여 부채에 관한 원리를 찾아서 정리하였다. 그 다음 도출된 차입원리에 기초하여 네 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중심된 가설은 기독인 경영기업과 일반기업의 부채비율에 차이가 존재하는가 이었다. t-검증을 한 결과 두 집단의 부채비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일부의 기독인 경영기업은 무부채정책을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기업간의 상이한 자본구조의 차이를 성경적으로 접근하여 설명을 시도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의사와 간호사의 환자안전교육 경험에 관한 포커스 그룹 연구

        박정윤,이유라,이의선,이재호,Park, Jeong-Yun,Lee, Yu-Ra,Lee, Eu-Sun,Lee, Jae-Ho 한국의료질향상학회 2020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26 No.2

        Purpose: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patient safety education among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developing a patient safety curriculum in South Korea. Methods: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wo focus group interviews in the period October-December 2018. Eleven participants who underwent patient safety education participated in each session.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s spoken,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categories of discussion depicting participants' subjective experience with patient safety education. Results: A total of three categories and seven themes were identified out of 77 units of analysis. Topics were identified in the dimensions of a patient safety curriculum, as follows: (1) activities for patient safety; (2) principle of patient safety (five rights, ethics, patient participation) and patient participation; (3) leadership, teamwork, and communication; and (4) reporting and learning system for patient safety events. In the dimension of methods, (5) case and evidence-based education and (6) multidisciplinary and small group teaching were identified. Finally, in the dimension of the system, (7) policies for patient safety education were identified. Conclusion: Our findings indicate that patient safety education is a significant area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Health care professionals suggested that a systematic patient safety curriculum would improve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Moreover, it enables them to better construct a safety environment in a hospital.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행복한 부자학의 설계

        박정윤(Park Jeong Yun)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1 로고스경영연구 Vol.9 No.1

        본 논문의 목적은 긍정 심리학의 중요한 연구주제인 행복과 부자학의 융합학문으로서 ‘행복한 부자학’을 설계하여 제시하는 데 있다. 먼저 잠언 22장 7절과 예수 그리스도의 ‘불의한 청지기의 비유’를 통하여 부자는 채권자이며 빈자는 채무자로 정의함으로써 빈부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이어서 시편 32편 1절과 2절, 마태복음 5장 3절, 그리고 로마서 4장 6절-8절에 근거하여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자신의 죄를 용서받도록 자신의 의가 아니라 하나님의 의를 믿음으로 받아들이는 자만이 행복하고, 자신의 의를 의지하여 예수 그리스도 밖에 있는 자들은 불행하다고 주장하여 행복과 불행의 기준을 설정한다. 이와 같은 빈부 기준과 행복과 불행의 기준을 결합하면 모든 사람을 행복한 부자, 행복한 빈자, 불행한 빈자, 그리고 불행한 부자의 네 부류로 분류하여 행복한 부자학의 이론적 틀을 그림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 다음에는 제시된 행복한 부자학의 이론적 틀에 따라 구약과 누가복음에서 행복한 부자, 행복한 빈자, 불행한 빈자, 그리고 불행한 부자의 사례를 차례대로 발견하여 서술하고 있다. 또 두 가지 질문을 제기함으로써 행복한 부자학의 이론적 틀의 관점에서 현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구체적으로 행복한 부자로 나아갈 수 있는 원리와 방법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분 논문의 기여는 성경적 세계관에 기초하여 인간의 행복을 강조하는 마틴 셀리그먼의 긍정 심리학과 한동철의 부자학을 결합하여 융합학문으로서 ‘행복한 부자학’을 최초로 설계하고 제안하였다는 데 있따.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ew field of study comprising positive psychology and affluent studies: studies of the blessed rich. The Bible identifies faith that accepts God’s righteousness as a prerequisite of happiness (Psalm 32:1-2, Matthew 5:3, and Romans 4:6-8): the concept of the rich and the poor is defined as the lender and the borrower, respectively (Proverbs 22:7 and the parable of shrewd steward). Based on these two biblical principles,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can identify every person as one of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the happy (blessed) rich, the happy poor, the unhappy rich, or the unhappy poor.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oposed theoretical framework, an example or examples of each of the above category is sought from both the Old Testament and the Gospel of Luke. Furthermore, two key questions are employed to guide individuals to evaluate themselves--recognize one's current state within the proposed theoretical framework--and move towards the happy rich.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article is that it introduces the studies of the blessed rich and lays down the framework of the studies, integrating the two distinct studies. by Martin Saligman (positive psychology) and Han Dong Chul (affluent studies).

      • 정책대상과 집행 관점에서 본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의 의의와 한계점

        박정윤(Jeong Yun Park),장영은(Young Eun Chang),이영호(Young Ho Lee),한은주(Eun Joo Han) 한국가족정책학회 2021 가족정책연구 Vol.1 No.2

        본 논문은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의 구체적 내용을 정책 대상과 집행 관점에서 검토한 것이다. 정책대상 중아동 관점, 한부모가족 관점에서 정책 내용을 평가하고, 정책 집행과 관련하여 정부 부처 및 전달체계 관점에서 정책 내용을 평가하였다. 기본계획 평가 결과, 아동 관점에서 아동권리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부족하다는 점, 한부모가족 관점에서는 1~3차 기본계획에 비해 한부모가족을 위한 정책이 확대된 점이 긍정적인 반면, 한부모가족을 취약가족으로 간주하고 있어 저소득 한부모가족에게만 지원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정책 집행 관점에서는 부처 간 협력, 전달체계 통합, 전문인력 등 정책을 실행할 구체적인 방안이 부족하고, 가족을 단위로 하는 가족정책 특성이 드러나지 않아 다른 사회정책과 차별화되지 않는 점이 한계점으로 지적되었다. 마지막으로 전달체계 관점에서 4차 기본계획을 시행하기 위해 지역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고려해야 할 내용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4th National plan for healthy families from the standpoint of policy target and implementation. Policy content was carefully reviewed in consideration of children and single-parent families as policy targets and in terms of government departments and their delivery system as policy implementation. The evaluation of the plan showed a lack of concrete solutions for realizing children’s rights. It was positive that policy for single-parent families was expanded over the 3rd Plan, yet there were limitations that the single-parent families were defined as “vulnerable” and that the services were focused on low-income single-parent families.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needs to specify concrete plans for cooperation between departments, unification of delivery systems, and training of professional manpower. There was also a limitation in that the policy plan was not differentiated from other social policies as a family policy particularly targeting families. Finally, the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Healthy Family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s a main delivery system of the 4th National plan for healthy families.

      • KCI등재

        미혼 성인자녀의 부모-자녀 간 유대감과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심 지각이 결혼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정윤 ( Jeong Yun Park ),김예리 ( Yae Ree Kim ) 대한가정학회 201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8 No.4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relation the effects of parent-children relationship on marriage attitude among unmarried persons and to utilize the findings as source material in assessing changes to marriage and family value. In total 654 unmarried persons above the age of 20 in this study. A survey format was used to asked questions, and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and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SPSS(Version 15.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mong socioeconomic variables, religion was significantly relate to marriage attitude(p<.001).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marriage value(p<.05). Specifically, high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mother, and relationship with father was related to more positive marriage attitudes. Finally, effective socioeconomic variables in marriage attitudse were religion, job,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mother and father.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언어능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정윤 ( Jeong Yun Park ),박현지 ( Hyeon Ji Park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1 다문화와 평화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언어능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6차년도 자료 중 외국 출신 부모를 둔 중학교 3학년 다문화 청소년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 의사소통 시 외국 출신 부모 나라 언어보다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다문화 청소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보통 수준의 외국 출신 부모 나라 언어를 구사하고 있었다. 다문화 청소년들은 대부분 자아존중감과 부모 지지를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경향성을 보였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본 결과, 가구 월평균 소득과 외국 출신 부모 나라 언어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부모 지지가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 지지는 외국 출신 부모 나라 언어능력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돕기 위한 가족 관계적 측면의 접근을 제시하였고, 연구 의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support on the influences of bilingual abiliti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self-esteem using the data from the sixth wave of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Multicultural adolescents of the collected data are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in Korea living with their foreign parent.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more multicultural adolescents who use Korean rather than the first language of their foreign parent when communicating with their foreign parent, and most of them could speak a moderate level of their foreign parent’s first language. The perception of self-esteem and parental support were highly recognized in most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Second, as for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self-esteem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higher monthly income of a household is and the better they can speak their foreign parent’s first language, the higher the self-esteem is. Third, parental support showed a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bility of the first language of their foreign parent and self-esteem. Based on these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study suggests the family-relational approach to help multicultural adolescents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some further stud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