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 중 발생한 보크트-고야나기-하라다 병에 합병된 긴장성 동공 1예

        박재성,박준모,이지은,엄부섭,Jae Sung Park,Jun Mo Park,Ji Eun Lee,Boo Sup Oum 대한안과학회 2007 대한안과학회지 Vol.48 No.11

        Purpose: We report a case of bilateral tonic pupils and decreased corneal sensitivity in a patient with Vogt-Koyanagi-Harada (VKH) disease during pregnancy. Case summary: A 33-year-old Korean woman in the sixth month of pregnancy presented with visual impairment in both eyes. Her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2 in the right eye and 0.125 in the left. Slit-lamp examination revealed cells in the anterior chamber and serous retinal detachments in both eye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topical corticosteroid in both eyes and posterior subtenon injection of triamcinolone acetonide in the left eye. The serous retinal detachment resolved completely at 2 months in the left eye and at 3 months in the right. As pigmentation of the retina developed, VKH disease was confirmed. The patient complained of photophobia, and both pupils were found to be enlarged to 8 mm without dilation. Light reflex was absent and near reflex was suppressed and slow. After instillation of 0.125% pilocarpine, the pupils were constricted to 3.5 mm and were diagnosed as tonic pupils. Though the patient`s corrected visual acuity improved to 0.8 in the right eye and 1.0 in the left at 6 months, her pupils remained unchanged. Corneal sensitivity was decreased. Conclusions: Tonic pupils may be complicated with VKH disease even during pregnancy. We recommend examinations of the pupils and corneal sensitivity in patients with VKH disease, especially those complaining of photophobia.

      • WLAN Mesh 망을 위한 라우팅 기법의 성능 분석

        박재성,임유진,안상현,Park, Jae-Sung,Lim, Yu-Jin,Ahn, Sang-Hy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4 No.5

        무선 LAN(WLAN) 기반 mesh 망은 유선 엑세스 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나 성공적인 상업화를 위해서는 성능, 보안, 관리 등 기술적인 이슈들을 해결해야 한다. 특히 단말과 유선망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효율적인 경로 선정 문제는 WLAN mesh 망의 신뢰성과 안전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효과적인 라우팅 기법의 개발은 선결해야 될 중요한 문제이다. WLAN mesh 망은 포설되는 환경과 단말의 이동성 등에 의해 다양한 특징을 가지므로 reactive 라우팅 기법 혹은 proactive 라우팅 기법 하나만을 이용하는 것은 모든 mesh 망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망 환경 변화에 따른 동적인 라우팅 기법 개발이 필요하며 이론 위해서는 망과 단말의 특성이 각 라우팅 기법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종합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라우팅 기법들의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는 제한된 환경에서 모의 실험을 통한 정량적 평가에 머물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망의 크기, 송신 단말의 밀도, 단말의 이동성, 망 형상 변화 주기론 모두 고려하여 reactive 기법인 AODV와 proactive 기법인 DSDV의 수학적 성능 분석 모델을 제시한다. 제안된 분석 모델은 변화하는 mesh 망 환경에 적응성 있는 라우팅 기법 개발에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Mesh networks using WLAN technology have been paid attention as a key wireless access technology. However, many technical issues still exist for its successful deployment. One of those issues is the routing problem that addresses the path setup through a WLAN mesh network for the data exchanges between a station and a wired network.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a WLAN mesh network can be very dynamic, the use of single routing protocol would not fit for all environments whether it is reactive or proactiv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adaptive routing protocol that modifies itself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network parameters. As a logical first step for the development, an analytical model considering all the dynamic features of a WLAN mesh network is requir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reactive and a proactive routing schem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nalytical model that makes us scrutinize the impact of the network and station parameters on the performance of each routing protocol. Our model includes the size of a mesh network, the density of stations, mobility of stations. and the duration of network topology change. We applied our model to the AODV that is a representative reactive routing protocol and DSDV that is a representative proactive routing protocol to analyze the tradeoff between AODV and DSDV in dynamic network environments. Our model is expected to help developing an adaptive routing protocol for a WLAN mesh network.

      • KCI등재

        무선 LAN 시스템에서 계층 2 트리거 발생기 설계를 위한 적응성 있는 수신 신호 강도 예측 모델

        박재성,임유진,김범준,Park, Jae-Sung,Lim, Yu-Jin,Kim, Beom-Jo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4 No.3

        무선 LAN 시스템에서 고속 핸드오프를 위한 계층 2 트리거는 정확한 핸드오프 예측 모델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계층 2 트리거 발생기 설계를 위한 단말의 이동성 모델로 수신 신호 강도 (received signal strength: RSS)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짧은 시간 동안 사용자 단말과 억세스 포인트 (AP) 사이의 거리 변화양은 물리적으로 제한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측정된 RSS 값들에 대해 적응성 있게 동작한다. 제안 모델 설계를 위해 우선 ns 2 모의 실험을 통해 측정된 RSS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일정 시간 측정된 RSS 데이터는 차수 1인 자기 회기 (autoregressive: AR(1)) 프로세스로 모델링 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후 AR(1)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향후 RSS 값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예측 오류를 확률적으로 정량화 하였으며 모의 실험을 통해 현재까지 측정된 RSS 값들을 이용하여 적어도 1-step 이후의 RSS 값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received signal strength (RSS) prediction model to timely Initiate link layer triggers for fast handoff in a wireless LAN system. Noting that the distance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n access point is not changed abruptly in a short time interval, an adaptive RSS predictor based on a stationary time series model is proposed. RSS data obtained from ns-2 simulations are used to identity the time series model and verify the predictability of the RSS data. The results suggest that an autoregressive process of order 1 (AR(1)) can be used to represent the measured RSSs in a short time interval and predict at least 1-step ahead RSS with a high confidence level.

      • 고온고압용 단조밸브의 용접후열처리 조건 선정

        박재성,허기무,윤성훈,문윤재,이재헌,Park, Jae-Seong,Heo, Ki-Moo,Yoon, Sung-Hoon,Moon, Yoon-Jae,Lee, Jae-Heon 한국플랜트학회 2014 플랜트 저널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고온 고압 배관용 단조밸브 용접부의 품질확보를 위하여 단조밸브 제작현장에서 활용할 용접후열처리의 유지시간 및 유지온도를 연구했다. ASTM A182 F92 재료를 단조밸브의 용접부에 해당되는 밸브 끝단부 및 누설방지용접부와 동일한 형상의 두께 1 inch 쿠폰으로 가공하고, 쿠폰을 가스 텅스텐 아크용접(GTAW: Gas Tungsten Arc Welding) 방법으로 완전용입 용접하여 시편을 제작했다. 용접부 호칭두께가 1 inch인 시편을 $705^{\circ}C$, $735^{\circ}C$, $750^{\circ}C$, $765^{\circ}C$, $795^{\circ}C$ 및 $825^{\circ}C$에서 1시간 유지하여 용접후열처리를 실시(Group 1)하였다. 그리고 용접부 호칭두께가 1 inch인 시편 3개를 $735^{\circ}C$에서 30분, 1시간 및 2시간으로 달리 유지(Group 2)하여 용접후열처리를 실시하였다. 다른 유지시간과 유지온도에 따른 경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모재부, 열영향부 및 용착금속부에서 경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에 따라, 1 inch당 1시간 온도를 유지할 경우는 용접후열처리가 $750^{\circ}C{\sim}765^{\circ}C$에서 수행되어야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조밸브 제작규격에서 요구하는 최소 유지온도 보다 $5^{\circ}C$가 높은 $735^{\circ}C$에서 1 inch당 1시간 유지할 경우에 요구된 경도 값을 만족하지 못하여, 요건보다 긴 시간인 1 inch당 2시간 용접후열처리 시 경도 값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용착금속부의 조직은 템퍼드-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확인되었다. Coupons which have same figure as weld joint of the forged steel valves and 1 inch nominal weld thickness were manufactured using ASTM A182 F92 material. After welding with GTAW method, the welded specimens have been post-weld heat treated at $705^{\circ}C$, $735^{\circ}C$, $750^{\circ}C$, $765^{\circ}C$, $795^{\circ}C$ and $825^{\circ}C$ for 1 hour per 1 inch nominal weld thickness each (Group 1)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welds based on various holding temperature. Indeed, 3 welded specimens were post-weld heat treated for 30 minutes, 1 hour and 2 hour (Group 2) at $735^{\circ}C$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welds based on various holding time. Hardness values were measured at the weld metal, heat affected zone and base metal to observe hardness change depending on the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appropriate holding temperature for PWHT is proved as $750^{\circ}C$ and $765^{\circ}C$ for 1hour per 1 inch nominal weld thickness. Indeed, holding for 1 hour per 1 inch nominal weld thickness was insufficient for PWHT effect when the holding temperature was at $735^{\circ}C$. The microstructure of post-weld heat treated weld metal was determined as tempered-martensite structure.

      • KCI등재

        신호 강도 측정 기반 핸드오버 결정 방법의 성능 분석

        박재성,임유진,Park, Jae-Sung,Lim, Yu-Ji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4 No.7

        이동 중인 사용자에게 연속성 있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핸드오버 결정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를 이용한 핸드오버 결정 방법의 성능을 늦은 통보와 오보율 측면에서 평가하기 위한 분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핸드오버 결정 기법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의 이동성, 핸드오버 프로토콜 메시지 교환 지연, 셀 크기 및 안정적인 수신 신호 강도 측정을 위한 수신 신호 강도 측정 주기를 모두 고려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분석 모델을 통해 각 인자들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고찰하여 효과적인 고속 핸드오버 시작 시점 결정을 위한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Effective handover decision is important for providing seamless services to mobile us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nalysis framework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handover decision based on received signal strength (RSS) measurements in terms of the late notification and false alarm probability. In our framework, we consider mobility of a mobile user, signaling delays for exchanging messages related to handover protocols, cell sizes and RSS measurement interval to stabilize RSS reading due to random measurement errors. By quantitatively scrutinizing the impact of each parameter on the late notification and false alarms, we suggest the research directions for effective handover decision mechanism that may provide fast and reliable handover.

      • KCI등재

        효율적이고 공정한 대역폭 할당을 위한 제휴 게임과 협상 게임의 성능 평가

        박재성,Park, Jae-Su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7 No.4

        공리적 접근 방법을 이용한 제휴 (Coalition) 게임 이론과 협상 (Bargaining) 게임 이론을 이용하여 다수의 노드가 대역폭을 공유하는 환경에서 각 노드의 트래픽 입력율에 따라 공정하고 효율적으로 대역폭을 할당하는 방안들이 제시되어 왔다. 이들 기법들은 게임 이론이 제공하는 수학적 근거에 따라 공리적 공정성을 만족한다. 그러나 이들 게임들의 공리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동일 통신 환경에서도 각 송신 노드에게 할당되는 대역폭은 달라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들 게임 이론들을 이용하여 대역폭 할당 문제를 모델링하고 다양한 통신 환경에서 각 게임 기법들에 의해 송신 노드에 할당되는 대역폭과 이로 인한 손실율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협상 게임은 입력율이 낮은 노드보다 입력율이 높은 노드에게 상대적으로 대역폭을 적게 할당하고 제휴 게임은 송신 노드들의 입력율에 비례하여 대역폭을 할당한다는 것을 보였다. Fair and efficient bandwidth allocation methods using the coalition game theory and the bargaining game theory following the axiomatic approach have been proposed when sending nodes with different traffic input rate try to share the bandwidth. These methods satisfy the axiomatic fairness provided by the mathematical ground of the game theories. However, since the axioms of the two game models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the allocated bandwidths to each sending nodes become different even in the same communication environments. Thus, in this paper, we model the bandwidth allocation problem with these game theories, and quantitatively compare and analyze the allocated bandwidth and loss rate of each sending nodes in various communication environm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bargaining game allocates relatively less bandwidth to a node with a higher sending rate than that with a lower sending rate while coalition game allocates bandwidth according to the sending rate of each node.

      • KCI등재

        협력 게임 이론을 이용한 대역폭 할당 기법의 성능 비교

        박재성,임유진,Park, Jae-Sung,Lim, Yu-Jin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8 No.2

        게임 이론은 다수의 사용자에게 공유 자원을 효율적이고 공정하게 분배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므로 이를 대역폭 할당에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게임 이론에 의한 대역폭 할당 기법들은 적용한 게임 기법들에 따라 동일 조건에서 할당하는 대역폭이 달라진다. 그러나 현재까지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게임 이론의 수학적 근거만을 차용하고 있으며 이들이 대역폭 할당 문제에 적용될 때 각 기법 별 특성에 대한 정량적 비교 분석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노드가 대역폭을 공유하는 경우 파산(Bankruptcy) 게임 이론과 협상(Bargaining) 게임 이론을 이용하여 송신 노드의 입력율에 따른 각 노드 별 대역폭 할당 기법들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이에 따른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Since the game theory provides a theoretical ground to distribute a shared resource between demanding users in a fair and efficient manner, it has been used for the bandwidth allocation problem in a network. However, the bandwidth allocation schemes with different game theory assign different amount of bandwidth in the same operational environments. However, only the mathematical framework is adopted when a bandwidth allocation scheme is devised without quantitatively comparing the results when they applied to the bandwidth allocation problem. Thus,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ndwidth allocation schemes using the bankrupt game theory and the bargaining game theory when they applied to the situation where nodes are competing for the bandwidth in a network. Based on the numerical results, we suggest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 KCI등재

        무선랜 환경에서 IPTV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AP 선택 기법

        박재성,임유진,Park, Jae-Sung,Lim, Yu-Jin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8 No.4

        무선랜 환경에서 사용자 데이터 수신율은 RSS (received signal strength) 뿐만 아니라 AP (access point)의 채널 경합 수준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현재 사용자 단말은 AP로부터의 RSS를 기반으로 접속할 AP를 선정하므로 IPTV 서비스의 최소한의 요구사항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IEEE 802.11 표준에 대한 수정없이 무선랜 환경에서 IPTV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AP 선택 기법을 제안한다. 사용자 단말은 주변 AP들의 채널 경합 수준과 현재 진행중인 IPTV 서비스의 품질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서비스 품질이 일정이하로 떨어지면 AP 부하정도가 가장 작은 AP로 재접속함으로써 IPTV 서비스의 최소한의 요구사항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In a WLAN, the data reception rate of a user station depends not only 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SS) from an AP (Access Point) but also on the contention level of the AP. However, since only the RSSs measured at the physical layer have been used for a station to select an AP to associate with, the station may not satisfy the minimum quality requirements necessary for a seamless IPTV service. Thu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 selection method to support quality requirements of the IPTV service in a wireless LAN without modifying the IEEE 802.11 standard. A user station keeps monitoring a contention level of APs around it and a quality of an ongoing IPTV service. If the quality deteriorates below a threshold, the station reassociates with another AP having the least load so that the ongoing IPTV program is played without disruption.

      • KCI등재

        휴대용콘의 선단저항값을 이용한 모래의 상대밀도 및 내부마찰각 추정

        박재성,손영환,노수각,봉태호,Park, Jae-Sung,Son, Young-Hwan,Noh, Soo-Kack,Bong, Tae-Ho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4 No.4

        Sand is one of the essential materials used for social infrastructure construction such as embankment, landfill and backfill. It was known that mechanical properties and shear strength of sand are closely related to relative density.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accurate relative density. In this study, Portable Cone Penetration Tester (PCPT) was used to estimate the relative density and the internal friction angle of sand. PCPT cone-tip resistance ($q_c$) was measured changing the relative density of the two soil samples.Standard sand (JMJ) and Busan sand (BS). Also, a direct shear tes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density and internal friction angle. The size and shape of soil particles were confirmed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s a result, the log value of $q_c$ was linearly correlated with relative density and internal friction angle. In particular, the internal friction angle of BS sample was greater than that of JMJ, which was due to difference of the shape and mean size of particles. This result shows that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shape and size of particles as well as relative density to define mechanical property of sand.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more effectively and conveniently to investigate relative density and shear strength of sand by using PCPT in situ.

      • KCI등재

        다수의 부스트림을 이용한 분산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을 위한 공정하고 효율적인 부스트림 할당 기법

        박재성,Park, Jae-Su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9 No.2

        비디오 소스를 다수의 부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향상된 코딩 기법을 이용하는 분산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의 경우 시스템의 용량 증대를 위해서는 피어들이 자발적으로 많은 양의 부스트림을 재전송할 수 있는 장려책이 필요하다. 또한 참여 피어들은 자원 제공자인 동시에 서비스 소비자인 특성을 가지므로 시스템의 전체 용량은 참여 피어들의 부스트림 제공량에 따라 공정하게 할당되어야 하며 시스템의 효율성 측면에서는 참여 피어들의 전체 서비스 인지 품질이 최대화 되도록 할당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최적화기법을 이용한 부스트림 할당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자원 제공자이자 소비자인 피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참여 피어의 자발적 자원 제공을 장려함으로써 기존 최적화 기법과 달리 분산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공정한 배분을 보장한다는 것을 모의실험을 통해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In a distributed streaming system using an advanced coding scheme that encodes a video into multiple substreams, the capacity of the system depends on the amount of contribution of participating peers. Thus, an incentive mechanism for peers to contribute voluntarily is needed to increase system capacity. In addition, since peers are not only a provider but also a consumer in the system (i.e. prosumer), the overall capacity of the system must be allocated fairly among the peers while it must be allocated in a way that can maximize the net quality of experience of peers to increase system efficiency. In this paper, we propose a substream allocation method to solve the problems taking an optimization approach. Unlike the other optimization approaches,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quantitatively in a simulation study that it can use the capacity of video streaming system efficiently while allocating fair amount of substreams among peers because it considers explicitly the prosumer characteristics of pe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