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추 추출 성분의 항발암 효과 연구

        박윤자,김미향,배송자,Park, Yun-Ja,Kim, Mi-Hyang,Bae, Song-Ja 한국식품과학회 200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4 No.4

        천연물을 이용하여 생리활성이 있는 성분을 추출 분리하여 그 유효 성분을 탐색함으로써 질병 예방 및 치료제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부터 혈액 순환을 돕고, 지혈 작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탁에 상용되는 야채인 부추를 이용하여 4종의 인체 암세포주인 HepG2, HeLa, MCF7 및 SK-N-MC를 이용하여 암세포 증식억제 및 암예방 QR 유도활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MTT assay를 이용한 암세포 증식억제 실험 결과, 4종의 암세포주 모두 ethylether층인 ATMEE에서 아주 높은 농도 의존적이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다. 즉 본 실험에 사용된 인체 암세포주 4종에서 시료의 농도가 $150\;{\mu}g/mL$일 때 각 세포주 모두 약 90% 이상의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신경아종세포주인 SK-N-MC 에서는 ethylether층의 시료 농도를 다른 층을 첨가시의 농도보다 적은 $100\;{\mu}g/mL$ 첨가에서도 이미 99.8%의 아주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 신경아종세포인 SK-N-MC에서는 ethylacetate층인 ATMEA의 경우에서도 최종 첨가 시료농도를 $200\;{\mu}g/mL$ 첨가했을 때 이미 91%의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암예방 quinone reductase(QR) 유도활성을 측정한 결과, 시료의 butanol 분획물 ATMB를 $50\;{\mu}g/mL$ 첨가했을 때 시료무처리구인 대조군을 1.0으로 한 경우 암예방 QR유도 효과가 아주 높은 3.92배의 활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인체암세포 4종류에 대한 암세포 증식억제(cytotoxicity) 효과는 부추의 ethylether 분배층(ATMEE)에서 제일 뚜렷하였고, 암예방 QR 유도활성 효과는 butanol 분배층(ATMB)에서 가장 유도효과가 좋았다. 나아가 단계적인 생리활성 물질의 분리 동정이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nticarcinogenic effects of various food components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in recent years. However mechanism of anticarcinogens in food materials on cancer cells have rarely been investigat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the cytotoxicity and quinone reductase (QR) activity of Allium tuberusum (AT) on the human cancer cells. The six partition layers which are methanol (ATM), hexane (ATMH), ethylether (ATMEE), ethylacetate (ATMEA), butaonl (ATMB) and aqueous (ATMA) of Allium tuberusum were screened for their cytotoxic effects on HepG2, MCF-7, HeLa and SK-N-MC cells by the MTT assay. Among the six partition layers, ATMEE had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 at concentration of $150\;{\mu}g/mL$ which resulted over 95% on HepG2, HeLa, MCF-7 and SK-N-MC cell lines. The ATMEA also showed significant cytotoxic effect on HepG2 and SK-N-MC cell lines. The ATMB showed the highest induction activity of QR on HepG2 cells among the other partition layers. QR activity of HepG2 cells, grown in the presence of ATMB at the concentration of $50\;{\mu}g/mL$, was increased by 3.9 times, compared to the control value of 1.0. Based on these results, the ATMEE and ATMB may have potentially anticarcinogenic and chemopreventive activit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구기자 추출성분의 항발암 효과 및 비타민 C 첨가에 의한 상승효과

        박윤자(Yun-Ja Park),김미향(Mihyang Kim),배송자(Song-Ja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1

        예부터 약용 또는 식용으로 쓰였으며, 사람의 체질을 강하게 하고, 혈관연화,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구기자를 추출, 분획하여 4종의 암세포주(HepG2, HeLa, MCF-7, C6)를 이용하여 암세포 증식억제 실험을 한 결과, 4종의 암세포주 모두에서 구기자의 ethylether층(LFMEE)이 아주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유방암세포주인 MCF-7에서도 hexane층 (LFMH)에서 아주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인체 간암세포인 HepG2를 이용하여 quinone reductase 효소 유도 활성 여부를 측정한 결과 분획물 첨가농도 100μg/mL에서 1.85배의 높은 효과가 나타났다. 구기자에 미치는 비타민 C의 암세포 성장억제 상승효과를 실험한 결과, 구기자와 비타민 C를 각각 혼합 처리시 낮은 농도에서도 아주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즉, HeLa와 MCF-7 암세포주에서는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구기자 성분과 비타민 C의 조합에 의해 암세포 증식이 억제 또는 사멸되는 상승효과가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 사용한 2종류의 암세포주 모두 구기자와 비타민 C 혼합물의 투여로 인해 증식억제가 현저히 상승됨을 보여주었다. 본 실험을 통해, 구기자의 hexane층(LFMH)과 ethylether층(LFMEE)에서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와 암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비타민 C 와 함께 첨가했을 때 낮은 농도의 첨가 시료에서도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상승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구기자의 항암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비타민 C 일정량을 함께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본 실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We investigated the cytotoxicity effects of Lycii fructus (LF) on HePG2, Hela, MCF7 and C6 cell lines by the MTT assay. We extracted the methanol (LFM) and fractionated to five partition layers. Among partition layers, the ethylether partition layer (LFMEE) was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s on all cancer cell lines. The hexane partition layer (LFMH) also was showed significant cytotoxic activities on Hela and MCF-7 cell lines. We also determined the induction of intracellular quinone reductase (QR) activity on HepG2 cells. Among various partition layers of Lycii fructus; LFMH was showed the most effective QR induced effect such as 1.85 to the control value of 1.0. And we also determined the enhancement of anticarcinogenic effect by combination of Lycii fructus with vitamin C on all cell lin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tentially useful anticarcinogenic chemicals could be isolated from LFMEE and LFMH of the Lycii frutus and also we found the enhanced effect by the combination of various partition layers of LFM with vitamin C.

      • KCI등재
      • KCI등재

        위탁 어린이집 원장의 현실과 대안 모색

        박윤자(Yun Ja Park)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4 지식과 교양 Vol.- No.14

        이 연구는 위탁 어린이집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영유아 교육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국공립・직장 어린이집이 증가하고 있다. 국공립과 직장 어린이집을 운영하는 데 여러 문제가 있는데, 원장의 신분 불안정과 위탁과 관련된 운영주체들과의 문제이다. 위탁 어린이집의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을 두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위탁 심사과정에서 오는 신분의 불안정성이다. 이런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린이집 원장을 근로자로 인정하여야 하며국공립 어린이집은 재위탁 심사보다 지역 내 국공립 어린이집 원장들을 순환 배치하여 운영하고, 그 실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순환보직제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위탁과 관련된 운영 주체들과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관련 주체가 보육업무에 대한 이해 부족과 시장경제 논리, 기업 논리 등으로 어린이집 운영에 관여하기도 한다. 이런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린이집과 관련한 여러 주체와 담당자들은 보육업무에 대한 중요성과 보육 분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교육이 필요하다. 기관 담당자와 학부모들은 어린이집이 직원 복지로 운영하는 기관이지만, 자녀들의 건강한 성장과 양육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보육전문기관임을 인식하고, 보육교직원을 존중하고 협조하려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foster daycare centers and to suggest alternatives. Based on the importance of infant education, it was seen that the number of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and workplace daycare centers increased during reservation integration.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operating national, public, and workplace daycare center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problems related to reconsignment and instability of the director's status. The problems of the entrusted daycare center and their solutions were presented in two ways. First, it is the instability of the status that comes from the consignment screening proces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director of daycare centers should be recognized as a worker. In addition,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need to operate by rotating the heads of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in the region rather than re-entrustment screening, and implement a circular job system so that they can demonstrate their skills. Second, close cooperation with the operating entities related to consignment is required. Related entities are also involved in the operation of daycare centers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childcare work, market economy logic, and corporate logic.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subjects and managers related to daycare centers need to be educated to enhance the importance of childcare work and understanding of the childcare field. Institutional managers and parents need to recognize that daycare centers are not institutions operated by employee welfare, but are specialized childcare institutions that do their best to grow and raise childr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mindset to respect and cooperate with childcare teachers, and the subject of the establishment of daycare centers and the trustee should provide parental education in which daycare centers can be recognized as one institution.

      • KCI등재후보

        도라지 추출물 첨가에 의한 돌나물의 항발암 상승효과

        박윤자(Yun-Ja Park),김미향(Mihyang Kim),배송자(Song-Ja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1

        본 연구는 다른 산채류에 비해 칼슘이 특히 많은 우수한 식품으로 옛부터 물김치나 겉절이 무침, 돌나물 김치로 많이 이용되어온 돌나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및 암예방 효과를 검색하고 나아가 도라지 추출물과의 암세포 증식억제 상승효과를 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돌나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MTT assay로 실험한 결과, 3종의 암세포주(HepG2, HeLa, MCF-7) 모두 돌나물의 ethylether 분획층(SSMEE)에서 아주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ethylacetate 분획층(SSMEA)에서도 유의적인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돌나물 분획물의 암예방 QR유도 활성을 Hep-G2세포주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다른 분획층에 비해 비극성 용매층인 ethylether 분획층(SSMEE)과 hexane 분획층 (SSMH)에서 유의적으로 QR유도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돌나물과 도라지와의 일정비 조합을 통해 상승효과를 본 결과, IC_(50)이 되는 도라지의 butanol층(PGMB)을 일정량 첨가했을 때 용매별 돌나물의 분획층 모두에서 암세포 증식억제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암예방 QR 유도활성 효과도 훨씬 상승하였으므로, 돌나물 조리시 유사한 부재료를 사용하는 도라지의 성분을 일정량 첨가하여 겉절이 무침이나 김치로 이용될 때 돌나물 성분의 생리활성 효과가 더욱 상승될 것으로 사료되며, 이후 돌나물의 생리활성물질 구조 및 기전 규명에 유익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nticarcinogen is one of the major strategies for cancer control. It is well established that dietary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modulating the development of certain types of human cancer. We investigated the anticarcinogenic effects of Sedum sarmentosum Bunge (SS) with Platycodon grandiflorum A. extracts on HepG2, HeLa and MCF-7 cell lines. By the MTT assay, among the five partition layers of methanol extract of SS (SSM), the ethylether partition layer of SS (SSMEE)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s on all cell lines. We also investigated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SS and PG extracts on growth inhibition of the HepG2, HeLa and MCF-7 cell lines compared to the effect of five partition layers of SSM. Combination of SS and PG extracts significantly increased cytotoxic effects on all cell lines. Therefore,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ethylether partition layer, SSMEE might have potentially useful cytotoxic materials on all the human cancer cells which we used. And we could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SS with PG enhanced the anticarcinogenic effect on HepG2, HeLa and MCF-7 cell lines. We also determined QR activity of partition layers of SSM, among them, SSMEE on HepG2 cells showed the highest QR activity, 3.21 as control value of 1.0.

      • KCI등재

        적채 분획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억제 효과

        윤경아(Kyoung-A Yun),박윤자(Yun-Ja Park),배송자(Song-Ja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식품으로 애용되고 있는 적채가 가진 항산 화 효과와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항노화 과정의 기초 자료로서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인지질 리포좀 내부에 적채의 용매별 분획물을 가하고 그 산화 지수를 구하여 각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적채의 ethylether 분획층인 BOMEE와 ethylacetate 분획층인 BOMEA의 결과 이미 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져 있는 BHT와 α-tocopherol을 대조군으로 가하여 비교해 보았으며 이들에 비해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 본 연구에서는 이미 알려진 항산화제인 vitamin C와 α-tocopherol을 DLPC-리포좀에 가했을 때의 항산화 상승효과도 함께 살펴보았다. 즉, DLPC-리포좀에 BOMEE와 BOMEA 일정량을 가했을 때 이미 높은 항산화 상승효과가 나타났으며, vitamin C와 α-tocopherol을 첨가시 더욱 높은 항산화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적채 분획물 단독으로 가했을 때에는 항산화 효과가 없었던 BOMH, BOMB 및 BOMA에서도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DLPC-리포좀을 이용한 적채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이미 공인되어 사용되고 있는 TBA가를 측정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발색정도를 비색 정량하여 유지의 산패도를 측정하는 TBA가를 이용한 실험 결과 DLPC-리포좀을 이용한 항산화 결과와 거의 비슷하였으며, 이 경우 BOMEE와 BOMEA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으로서 불포화 인지질로 구성된 DLPC-리포좀에 시료를 첨가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본 실험의 결과가 TBA가의 결과를 통해 다시 한번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진행되는 활성 산소의 증가로 인한 노화의 한 과정을 적채 중의 멜라닌 색소 형성방지 효과의 면에서 연구 검토하였으며, 요즈음은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하는 물질들에 대한 연구가 천연물을 대상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시험관 내 실험에서 적채 분획물 BOMH, BOMEE, BOMEA, BOMB 및 BOMA를 일정량 취하고, kojic acid를 10, 20, 30 및 40 ㎍/mL의 농도로 각각 처리하여 tyrosin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특히 BOMEA층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활성억제율이 컸음을 관찰하였다. 이상 노화를 예방하는 항산화 및 멜라닌 색소 형성억제 물질을 연구 결과, 적채의 분획물 중 BOMEE와 BOMEA층에서 가장 두드러진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고,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는 BOMEA층이 우세하였다. 이 결과에 의해 현재 식용 식품으로서만 상용되는 적체의 생리활성 성분 중 비극성 부분에서 노화를 억제시킬 수 있는 항산화제 및 피부의 흑화를 방지할 수 있는 미백제 원료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ed cabbage (Brassica oleracea L., BO) fractions on the liposomes consisted of L-α-dilinoleoylphosphatidylcholine (DLPC-liposome) and the tyrosinase activity of BO fractions. The methanol extract of BO (BOM) was fractionated into five different partition layers: hexane (BOMH), ethylether (BOMEE), ethylacetate (BOMEA), butanol (BOMB) and aqueous (BOMA) layer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BOM fractions toward oxidized DLPC-liposome were examined by spectrophotometry measuring oxidized conjugated dine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BOMEE and BOMEA fractions toward oxidized DLPC-liposomes were similar to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α-tocopherol and weaker than that of BHT. The synergy effects of antioxidation of BOMEE and BOMEA fractions added with vitamin C and α-tocopherol had even strong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e fractions without vitamin C and α-tocopherol.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fractions of BOMEE and BOMEA could be developed as a potent antioxidant. Out of five different partition layers of BOM fractions, BOMEA exhibited the strongest tyrosinase activity of 94% at a concentration of 40 ㎍/mL. This result suggests BOMEA fractions inhibit the foramation of melanin and therefore can be used as the inhibitor of melanin synthesis. Result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indicate that useful bioactive substances exist in BOMEE and BOMEA fractions. Both fractions from BO (red cabbage) have the potential of being developed into health related products.

      • KCI등재

        쑥부쟁이 분획물의 in vitro 암세포증식 억제 및 QR 유도효과

        정복미(Bok-Mi Jung),임상선(Sang-Sun Lim),박윤자(Yun-Ja Park),배송자(Song-Ja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는 약용 및 식용 식물로 사용되고 있는 쑥부쟁이 추출물과 분획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와 QR 유도 효과를 실험하였다. 쑥부쟁이의 metanol 추출 및 용매 분획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MTT assay로 실험한 결과, 3종의 인체 암세포주, 간암세포주인 HepG2, 자궁경부암 세포주인 HeLa 및 유방암 세포주인 MCF-7에서 모두 쑥부쟁이의 ethyl ether 분획층인 AYMEE층과 ethyl acetate 분획층인 AYMEA층에서 암세포 성장 저지 효과가 제일 컸다. 특히 HepG2 세포주에서는 AYMEE를 200 ㎍/mL 첨가시켰을 때 94.5%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를 증가 시킬수록 그 효과가 커져 500 ㎍/mL에서는 97.7%의 저지효과를 보였다. MCF-7 세포주와 HeLa 세포주에서도 이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Butanol층인 AYMB와 메탄올층인 AYM에서는 대체적으로 낮은 농도에서는 효과가 약하였으나 300 ㎍/mL 이상에서는 높은 암세포 성장저지 효과를 보였다.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암 예방 지수인 QR 유도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다른 분획층에 비해 비극성 용매층인 hexane 분획층, AYMH에서 QR 유도 활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s on cell survival and quinone reductase induced activity of Aster yomena (AY) on human cancer cells which, using methanol, was extracted and fractionated into five different solvent types: hexane (AYMH), ethylether (AYMEE), ethylacetate (AYMEA), butanol (AYMB) and aqueous (AYMA) partition layer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cytotoxicity of various Aster yomena partition layers on HepG2, HeLa and MCF-7 cells by MTT assay. Among various partition layers of Aster yomena, AYMEE and AYMEA showed the strong cytotoxic effects on all cancer cell lines we used. The quinone reductase (QR) induced activity on HepG2 cells, AYMH at a does of 100 ㎍/mL was 2.46 times more effective compared to the control value of 1.0.

      • 초등학교 학생들의 동백잎에 관한 관찰 능력

        박윤자,한광래,고한중 전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1 科學 敎育 硏究 論文集 Vol.23 No.1

        The enhancement of inquiry skills has been emphasized as a important objective of science education for a long time.Of these, the observation is not only a simple and basic skill but also a very important skill, in aspect of gathering informations about the nature of all things around u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 sense organs of body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ults of observations about the leaf of Camellia made by the elementary student.from the 3rd to the 6th grade, and to make use of them as the basic materials for the observative learning and the evaluation of the observation ability.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 total number of observation items is 75 ( 59 using the sight sense, 10 using the tactile sense, 5 using the olfactory sense, 1 using the auditory sense and 0 using the palate sense).Generally, most of students have observations the sight and the tactile sense.As the grade ascends, the observations with operation is increased, also the quantitative expression and Interpretation about them is increased.Occasionally, the interpretations on the observative (acts made by student are inaccurate.

      • KCI등재후보

        영어 'Wh-의문문'의 습득 순서와 교과서 분석

        김재민,박윤자 대한언어학회 2001 언어학 Vol.9 No.3

        Kim, Jae-Min and Park, Yun.-Ja. 2001. The Developmental Order and the Frequency Analysis of Textbooks for Wh-questions of English.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9(3), 89-108. It is observed that the children speaking English as mother tongue (LI) have the developmental order for Elf -questions . Also the children studying English as L2 showed the similar developmental order for English wh-ques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the developmental order for wh-questions in Korean learners and the distribution for wh questions of English textbooks in middle school. The subjects consisted of 115 middle school students. They were tested by 36 wh-questions composed of 18 subjective questions and 18 objective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Korean students had the sae developmental order (where, what, who, how, why, when) for English wh-questions as L2.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for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wh-questions, English text 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Korea did not reflect the developmental order for English wh-question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