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과 창의적 활동을 포함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박영신(Youngshin Park),박호걸(Hogul Park),백성혜(Seoung-Hey P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본 연구에서는 포디프레임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오르골을 만들고 창작활동에 참여하는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조사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과 창의적 활동을 포함하는 융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중학생 명4, 초등학생 8명 등 총 1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4개 팀으로 나누어 수업을 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 항목의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6.또한 질적 연구를 위하여 명의 연구자가 학생들의 3활동, 심층 인터뷰, 관찰 기록, 평가 회의 등을 포함한 영상 녹화 및 전사 내용을 독립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10차시로 구성된 융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에게 투입하여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음악교육과 공학, 과학, 기술 활동을 연계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오르골 만들기의 즐거움, 과학적 탐구능력에 대한 자기평가, 창작 능력에 대한 인식, 음악 협주에 대한 선호도, 악보공부과 악기연주에 대한 도움, 음악 창작에 대한 욕구 등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확인되었다. 특히, 학생들이 악보를 읽으면서 피아노를 연주하는 전통적인 음악 수업과 달리, 포디프레임으로 오르골을 만들고,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는 창의적 활동을 통해 음악 연주에 대한 구체적이고 직관적인 이해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음악 관련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었다. 결론 교사는 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자극하기 위해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학생들이 만들어낸 작품을 인정하고, 이러한 활동의 중요성을 탐구하기 위해 학생들과 협력하여 노력함으로써 교육적 성공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기술로 인해 작곡가, 연주자, 청취자의 역할을 동시에 맡는 것이 가능해졌다. 앞으로 교육에서 학생들이 음악에 참여하는 방식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교사들은 새로운 기술이 제공하는 기회를 활용하는 교수법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in which students make music boxes and participate in creative activities using 4Dframes. Methods For the purpose, we developed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at includes music box production and creative activities using 4Dframes. An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2 students, including 4 students of middle school, and 8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teams and took classes, and a survey consisting of 6 items on a Likert scale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dditionally, for qualitative research, three researchers independently analyzed video recordings and transcriptions, including students' activities,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 records, and evaluation meetings. Results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of a total of 10 sessions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students to confirm its educ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at links music education, engineering, science, and technology activities developed in this study, changes in perception regard-ing students' enjoyment of music box making, self-evaluation of scientific inquiry ability, awareness of creative ability, preference for music concerto, heip with studying sheet music and playing musical insturments, and desire for music creation were confirmed. In particular, unlike traditional music classes where students play the piano while reading sheet music, they were able to gain a specific and intuitive understanding of playing music through creative activities such as making a music box with a 4Dframe and modifying it in various ways, and had a positive experience with music related activities. Conclusions Teachers can contribute to educational success by actively listening to students' ideas to stimulate their thinking processes, acknowledging the work students produce, and working collaboratively with student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ese activities. Additionally, as digital technology makes it possible for students to take on the roles of composer, performer, and listener simultaneously. As future changes may occur in the way stu-dents engage with music in education, teachers must be equipped to design teaching methods that take advant-age of the opportunities offered by new technologies.

      • KCI등재

        동시과제의 처리 적절성이 미래계획기억 수행에 미치는 효과

        박영신(Youngshin Park),임재희(Jaehee Rim),장미숙(Misuk Jang) 한국인지과학회 2011 인지과학 Vol.22 No.4

        본 연구는 동시과제의 처리적절성이 미래계획기억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동시과제와 미래기억과제 간의 처리적절성을 동시과제 단어목록 유형과 미래기억과제 목표단어들의 범주를 통해 조작하였다. 동시과제의 단어목록은 의미연합 목록과 모양연합 목록으로 구성되었으며, 미래기억과제 목표단어들은 의미처리를 중심으로 기억 할 수 있는 단어들과 글자모양 중심으로 기억할 수 있는 단어들로 구성되었다. 과제처리적 절성 이론에 따라서, 동시과제의 연합차원이 미래계획기억과제의 연합차원과 동일할 때에, 미래계획기억의 수행이 좋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총 60명의 참가자들이 두 개의 실험에 참가하였다. 실험 결과, 미래계획기억과제의 수행은 동시과제와 미래계획기억과제의 연합차원 이 같을 때에 좋게 나타났다. 또한 미래계획기억 목표단어와 동시과제의 처리적절성이 높은 목록에 대해 동시과제의 목록 재인율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과제처리적절 성 이론의 최근 연구 결과들에 비추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ask appropriate processing on prospective memory(PM). The TAP was manipulated with list type within study phase and association category type among PM target words. Associated word lists used for ongoing task were consisted of semantically associated lists and orthographically associated lists. Target words for PM task were consisted of city names or words for ending with the letter of '도'. Accordi ng to the TAP view, PM performance would be better in the condition of task appropriate processing rather than in the condition of task inappropriate processing. Total fifty students volunteered for two experiments for the present study. The main finding was that PM performance was influenced by the task appropriate processing with ongoing task. In other words, PM performance was facilitated when association type between ongoing list and PM target word was same. Second, ongoing rask performance was also influenced by task appropriated processing. These results~were discussed in task appropriated processing theory and previous studies.

      • KCI등재

        부모자녀관계와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효도에 미치는 영향

        박영신(Youngshin Park),이임순(Yimsoon Lee),이상희(Sanghee Lee),김태우(Taiou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3

        이 연구에서는 부모자녀관계와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모자녀관계는 부모 희생, 부모 존경, 부모에 대한 죄송함을 하위변인으로 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부모관계효능감, 자기조절학습효능감, 어려움극복효능감을 하위변인으로 포함하여 경로분석을 하였다. 분석 대상은 중학교 1학년 298명(남 169, 여 129)이었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α=.78∼.90이었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자녀관계(희생, 존경, 죄송함)는 자기효능감에 대해 정적인 영향이 있었는데, 특히 부모에 대한 존경심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둘째, 자기효능감(부모관계효능감, 자기조절학습효능감, 어려움극복효능감)은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이 있었는데, 특히 자기조절학습효능감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내었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효도에 정적인 영향이 있었는데, 특히 부모관계효능감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부모에게 효도하였다. 넷째, 부모자녀관계는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학업성취와 효도에 대해 간접효과가 있었는데, 특히 부모에 대한 존경심이 높은 청소년이 부모관계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가 증진되고 부모에 대한 효도를 많이 하였다. 다섯째,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효도는 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elf-efficacy on adolescent academic achievement and filial piety. This is end, various path analyses were conducted while rotat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variables (conceptualized as parental sacrifice, respect towards parents and indebtedness towards parents), and self-efficacy variables (conceptualized as adolescent``s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nd resiliency of 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98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169 males, 129 females). The questionnaires displayed Cronbach alpha coefficients ranging from 0.78 to 0.90.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path coefficient of parent-child relationship (sacrifice, respect, and indebtedness) on self-efficacy, the direct effect was especially stronger with regards to the influence of respect for parents on adolescent self-efficacy, that is the higher the level of respect for parents the greater the adolescent self-efficacy. Second,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and positive path coefficient of self-efficacy (relational efficacy,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nd resiliency of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the direct effect was especially stronger with regards to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that is the higher level of self 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results also showed a significant and positive path coefficient of self-efficacy on filial piety, the direct effect was especially stronger with regards to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on filial piety, that is the higher level of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resulted in greater displays of filial piety. Fourth, indirect effects were seen for parent-child relationship upon academic achievement and filial piety, with the effects stronger for respect for parents and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that is the higher the level of respect for their parents the higher the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resulting in greater academic achievements and display of filial piety. Fifth,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filial piety.

      • KCI등재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박영신(Youngshin Park),안현아(Hyunah Ahn),장미숙(Misuk Jang),양길석(Gilseok Yang),김경이(Kyungyee Kim)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기관과 대학생들이 대학생 핵심역량을 손쉽게 자기-평가할 수 있는 척도의 문항을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었다.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정의되고 있는 대학생 핵심 역량을 구성요인으로 추출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95개 예비문항을 개발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C대학교를 중심으로 대학생 2,677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한 뒤,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51개 문항으로 구성된 1차 본검사 문항을 확정하여 1,625명을 대상으로 역량평가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선정된 문항들에 대한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본검사 문항을 확정하였다. 최종 본검사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내적합치도를 통해 신뢰도를 산출하여 최종 검사의 양호도를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공인 타당도 확보를 위해 본조사에 응했던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K-CESA를 실시한 후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학생 핵심역량 평가도구에서 정의된 총 4개 요인인 문제해결역량, 인성윤리역량, 세계시민역량, 학문 역량의 구성요인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 4개 요인으로 구성된 41개 문항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신뢰도 계수는 .94로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적합도 검증 결과 모든 부합도 지수들 역시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학생들이 본인의 핵심역량 수준을 스스로 측정해 볼 수 있도록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는 타당한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타당화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측정도구가 갖는 의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evaluating Core Competency Assessment for college students. Ninety-five preliminary items that represented the four sub-components(problem solving competency, moral competency, learning competency, and global competency)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experts research and consulting. A preliminary survey was administered to 2677 college students and an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termined on 51 items. A main survey with 51 items was administered to 1625 college students. Based on preliminary analysi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alize items. Total 41 items for the scale were extracted.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scale were tested for developed 41 item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s conducted. Reliability of items were verified by intrinsic consistency coefficients( Cronbach s α) . And also correlational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from reliabilities test were satisfactory. Evidences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ggested valid constructs with acceptable every fit indices. Also, good concurrent validity wes shown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is developed self-evaluating core competency assessment and K-CESA scales. The core competency scale for college was composed of four factors including problem-solving competency, moral competency, global competency, and learning competen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results.

      • 거시적인 접근방법을 통한 공급지장비 추정

        박영신(Youngshin Park),전동훈(Donghun Jeon),박정제(Jeongje Park),오태곤(Taegon Oh),조경희(Kyeonghee Cho),최재석(Jaeseok Choi)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The utilities have to integrate consumers' interruption cost representing reliability worth of electricity into the process of assessing investment level. In order to do so, the estimated outage cost must be included into quantitative index corresponding to system capital and operation investment cost to establish an optimal expansion plan.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outage cost assessment by using macro approach for calculating IEAR(Interrupted Energy assessment Rates) and the TRELSS(Transmission Reliability Evaluation for Large-Scale Systems) program was used for EENS(Expected Energy Not Served)

      • KCI등재

        부호화 전략 유형과 동시과제 처리 적절성이 미래계획기억 수행에 미치는 효과

        박영신(Youngshin Park) 한국인지과학회 2016 인지과학 Vol.27 No.1

        본 연구는 미래계획기억(PM) 수행에서 기억전략과 동시과제 처리적절성의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실험 1에서 목표단어 파지를 위한 기억전략 유형이 부호화 단계에서 조작되었다. 먼저 메타 전략을 통해 목표단어를 기억해야했던 참가자들은 PM 과제 수행에 대한 수행 난이도에 대한 주관적 평정과 자신의 수행 예측 정도를 판단해야 했으며, 인지 전략을 통해 목표단어를 기억해야 했던 참가자들은 목표단어에 대한 문장 산출과 주관적 호감도 평정을 해야 했다. 또한 모든 참가자들은 목표단어와의 처리적절성이 높은 동시과제와 낮은 동시과제 두 종류 모두를 수행하면서 PM 과제를 수행해야 했다. 실험 2는 실험 1의 반복검증을 위해 수행되었으며, 처리적절성에 대한 동시과제의 종류를 제외하고 실험 1과 모든 것이 동일하였다. 실험 결과, 두 실험 모두에서 메타 전략 조건의 참가자들이 인지 전략 조건의 참가자들보다 PM 수행 정확률이 더 높았다. 또한 처리적절성이 높은 과제에서 PM 수행 정확률이 더 높았다. 두 조건들 간에 상호작용도 나타났다. 메타 인지 조건에서는 처리적절성이 높은 동시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PM 정확율이 좋았던 반면, 인지 전략 조건에서는 처리적절성에 따라 PM 정확율에 차이가 없었다. 동시과제에서는 조건들 간에 아무런 수행의 손실이나 이득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미래계획기억 수행에서 메타 인지처리과정에 의한 수행의 향상은 인지자원의 영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meta-cognitive strategy and transfer appropriate processing(TAP) on prospective memory performance. In two experiments, encoding strategy for PM target words was manipulated by instructions. Participants who were assigned to meta strategic condition were engaged to rate task difficulty(EOL) in addition to predict their own performance(JOL), while participants in cognitive strategy condition were to remember target words by pleasantness ratings and sentence generation. In experiment1 and experiment 2, all participants in both conditions performed not only TAP ongoing task but also TIP ongoing task. Results revealed the benefit of meta cognition and transfer appropriate processing on PM performance. Furthermore, the benefit of TAP was diminished in cognitive strategy condition. There were no-costs on judgement tasks across condi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meta-cognition allows to sustain PM targets and intention without regard to cognitive resource.

      • TRELSS와 PSS/E에서의 신뢰도 평가 비교분석

        박정제(Jeongje Park),오태곤(Taegon Oh),조경희(Kyeonghee Cho),최재석(Jaeseok Choi),전동훈(Donghoon Jeon),박영신(Youngshin Park)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11

        The quantity evaluation of transmission system reliability is very important under competitive electricity environment. The reason is that the successful operation of electric power under the deregulated electricity market depends on transmission system reliability management. This paper introduces the comparative analysis in reliability assessment of Transmission Reliability Evaluation for Large-Scale Systems(TRELSS) and Power System Simulator for Engineering(PSS/E) for the evaluation of transmission system reliability.

      • TRELSS를 이용한 전력계통의 상정사고 해석

        박정제(Jeongje Park),오태곤(Taegon Oh),조경희(Kyeonghee Cho),최재석(Jaeseok Choi),전동훈(Donghoon Jeon),박영신(Youngshin Park)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11

        This paper presents the contingency analysis of power system using Transmission Reliability Evaluation for Large-Scale Systems (TRELSS) program.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ELSSS program are illustrated briefly and the contingencies causing system problem are analyzed using the results from TRELSS program.

      • KCI등재

        대학생 인문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지원(Kim Jiwon),박영신(Park Youngshin),양길석(Yang Kilseok),김경이(Kim Kyungy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기관 및 대학생들이 대학생 인문역량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것이었다. 문항 개발 단계에 앞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대학생 핵심역량들의 개념들과 중첩되지 않도록 대학생 인문역량과 그 하위요인들을 정의하고, 이를 기초로 62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C대학교를 중심으로 학부 재학생 426명이 참여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 수정 과정을 통해 30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예비조사에서 구성된 30개 문항에 대한 타당화를 위해 640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한 다음, 탐색적 요인분석, 내적합치도를 통한 신뢰도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확정된 문항의 양호도를 확인하였다. 공인타당도 확보를 위해 추가적으로 1,237명에게 대학생 역량평가를 실시한 뒤, 학생들의 대학생 핵심역량 평가 점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인문역량 평가도구의 학생 전공별 점수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도구의 준거 관련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학생 인문역량 평가도구에서 정의된 총 3개 요인인 성찰역량, 심미역량, 리터러시역량의 구성 요인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 3개 요인으로 구성된 30개 문항에 대한 신뢰도는 매우 양호하며 구성타당도는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체 신뢰도 계수는 .96으로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모든 부합도 지수들이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학생들이 스스로 본인의 인문역량 수준을 스스로 측정해볼 수 있도록 개발된 대학생 인문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는 분석 결과를 통해 타당한 평가도구임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타당화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인문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가 지니는 의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assessment tools for self-evaluating Humanities Competency for college students. Prior to the questionnaires development stage, 62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efinition of university students humanities competencies and their sub-factors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concepts of the core competencies already in use.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survey involving 426 undergraduate students at C University, 30 questions were selec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odifying proces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640 people to make the 30 question items constructed from the preliminary survey, and the final questionnaires were final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trinsic consistency coefficients(Cronbach s α),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so, the final survey with 30 items was administered to 1,237 undergraduates and correla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Evidences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ggested valid constructs with acceptable every fit indices. Results from reliabilities test were satisfactory. Also, good concurrent validity was shown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is developed self-evaluating humanities competency and core competency assessment for college students. A total of three factors defined in the humanities competency assessment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ere found to be reasonable: reflection competence, aesthetic competence, and literacy competence. The reliability of the 30 statements was very good and the construct validity was satisfactory. The overall reliability coefficient was .96, and the conformit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all the fit indices were very good. The self-evaluating humanities competency assessment for college students, which was developed to allow students to measure their level of humanities on their own, was proved to be a valid evaluation tool for assessment.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대학 내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이 튜터와 학습자의 학업역량과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안현아(Ahn, Hyunah),박영신(Park, Youngshin),김경이(Kim, Kyungy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본 연구는 대학생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업역량과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7년 3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C대학교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438명의 학생들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튜터링 시작 전과 종료 후 총 2회에 걸쳐 학업역량과 핵심역량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튜터와 학습자들의 역량 점수 변화를 비교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동료 튜터링은 대학생의 학업역량과 핵심역 량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튜터와 학습자의 학업역량 변화 양상은 상이 하게 나타났다. 튜터는 튜터링 활동을 통해 학습전략과 메타인지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학습자는 학업성취도(GPA)와 학업몰입도, 메타인지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료 튜터링은 튜터와 학습자 모두의 핵심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튜터링 활동은 튜터와 학습자의 문제해결역량과 학문역량을 향상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에서 교과목 보충학습을 위해 진행되는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학업성취 향상뿐 아니라 역량 향상에도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튜터링 활동은 참여 학습자뿐 아니라 튜터의 역량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대학생들의 역량 향상을 위한 노력으로 대학 내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se and evaluate the effect of peer tutoring program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competency and core competency. Total 438 students which enrolled in 2017 peer tutoring program participated in survey research. The methodology for analysis was to compare the change of both students’ learning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he results revealed that both learning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at posttest have been enhanced in comparison to a pretest. In addition,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differed in students’ role on tutoring program. Students as a tutor showed the improvement of learning strategies and meta-cognition. Students as a learner presented with the facilit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learning engagement and meta-cogni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er tutoring program have beneficial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competencies for both tutors and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