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케이팝 글로벌 시장세분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박승배,홍재원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2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케이팝이 전 세계적인 확산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케이팝 아티스트들이 유행(fed)을 넘어 문화적, 지역적 시장세분화를 통하여 케이팝 아이돌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케이팝이 확산되어 있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홉스테드의 6가지 문화적 차원을 적용하고 국가들의 선호 아티스트와의 관계를 유형화하였다. 이후, 유형화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장세분화 측면에서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케이팝 확산 국가의 문화적 특성에 대한 유형화를 한 결과, 국가 간 문화적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아티스트들의 유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케이팝의 국가별 확산은 남성성(MAS) 문화를 가진 국가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권력거리(PDI)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은 케이팝 아티스트별로 상이하였는데, 에스파나 트와이스의 경우, 권력거리가 큰 국가에서는 더 인기가 있으며, 아이유의 경우 남성성이 강한 국가에서 더 인기가 있는 것으로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블랙핑크, BTS, 잇지, 레드벨벳, 세븐틴, 스트레이키즈 등은 권력거리가 크고 남성성이 강한 국가에서 인기가 있는 것으로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케이팝 아티스트들의 문화적, 지역적 글로벌 시장세분화에 시사점을 제공하여 케이팝 아티스트들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과학적 환원이 물질론에 함축하는 바

        박승배 범한철학회 2006 汎韓哲學 Vol.41 No.2

        The identity theory of mind holds that a mental state is reducible to a brain state, just as water is reducible to H2O. Kripke (1972) and Levine (1997) argue that there are important respects in which the water/H2O case and the pain/C-fiber case are disanalogous. I criticize their objections by appealing to Goldman and Pust’s discussion (2002) on intuitional evidence, and to Nagel’s observation (1979) on the epistemic aspect of scientific explanation. Finally, I attempt to expose a real problem with Churchland’s argument (1997) for the identity theory. I argue that the distinctness of mind is an ontological basis for reductions in science. So, contrary to what identity theorists believe, the existence of reductions in science actually proves that mind is not reducible to brain. Reductions in science falsify both the identity theory and materialism. 동일론자(identity theorist)는 물이 H2O로 환원되었듯이 정신상태도 두뇌상태로 환원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동일론에 반대하는 Kripke(1972)와 Levine(1997)은 물이 H2O로 환원되었듯이 통증이 C-섬유 활성화로 환원될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 물과 H2O의 관계는 통증과 C-섬유 활성화의 관계와 중요한 차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Goldman과 Pust(2002)는 직관이 증거로 간주되기 위해 갖추어야할 조건을 제시하고 있고, Nagel(1979)은 과학적 설명에서 설명항보다 피설명항이 더 잘 알려져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나는 Goldman, Pust, Nagel의 주장에 호소하여 Kripke의 논증과 Levine의 논증을 비판한다. 마지막으로, 동일론을 옹호하기 위해 Churchland(1997)가 제시한 논증에 내재하는 진짜 문제점을 드러낸다. 나는 정신이 물질로 환원될 수 없다는 사실이 과학에서 환원이 존재하는 존재론적인 토대이다. 과학에서 환원이 존재한다는 것은 정신이 두뇌로 환원될 수 없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나의 이런 주장은 동일론자의 입장과 상충한다.

      • 광고와 커뮤니케이션의 기호학에 관한 연구

        박승배,김일석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08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1 No.1

        오늘날 광고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시간과 공간의 구별 없이 영리의 전 생활 영역 속으로 스며들어 있다. 즉 광고는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현실로 경험되는 하나의 세계로서 상품의 경제적 실현이라는 경제적 기능 뿐 아니라, 우리의 생활을 반영하고 구성하는 중요한 문화적 기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들 광고에서 각개의 텍스트의 의미는 텍스트 내의 기호들의 구조적 관계를 구성하는 문법, 즉 사회적으로 약속된 규칙의 반복인 것이다. 기호는 인간에 의해 사용되는 도구이자, 동시에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 독자적인 삶을 영위하는 유기체처럼 기능한다. 그러므로 인간 생활에 있어서, 광고란 텍스트 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의 구조를 밝혀냄으로서 그 의미를 밝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문화적 도구의 하나로서 우리 생활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광고가 실생활에서 어떻게 표상하고 있는지를 기호학적 분석을 사용해, 커뮤니케이션의 역할과 광고텍스트의 의미 구성방식이 지니는 이데올로기적 측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수학적 도구론

        박승배 범한철학회 2005 汎韓哲學 Vol.37 No.2

        I state and criticize various theories of truth: the correspondence theory, the coherence theory, the consensus theory, the relativistic theory, the proof theory, the pragmatic theory, the biblical theory and the passion theory. At the end of the paper, I reply to three standard objections to the correspondence theory. The first one is that we cannot know that a belief corresponds to a fact. Second, the theory cannot handle a mathematical statement. Third, sentence-like entities do not exist in the world. Although I make small original claims here and there, the central aim of this paper is not to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at the cutting edge of research on the nature of truth. I rather have a modest aim of showing the essence of philosophy in plain language to undergraduate students upon whom this paper is directed. I believe that the essence lies in rigorous argumentations of criticizing and defending a theory in a clear manner. There are undergraduate students out there who are predisposed to enjoy such argumentations. This paper is intended to attract them to higher philosophical pursuits. 나는 이 논문에서 진리에 관한 대응론, 정합론, 합의론, 상대론, 증명론, 실용론, 성경론, 열정론을 서술하고 비판하고 있다.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대응론에 가해진 다음의 전통적 반론 세 가지에 응수하고 있다. 첫째, 신념이 사실에 대응하는지 알 수 없다. 둘째, 대응론은 수학적 진술의 진리성을 설명할 수 없다. 셋째, 세계에는 문장 비슷한 존재들이 없다. 나는 논문의 여기저기에서 독창적인 주장들을 조금씩 하고는 있지만, 이 논문의 주요 목표는 진리에 관한 연구의 첨단에서 괄목할 만한 공헌을 하는 것이 아니다. 이 논문은 학부생들을 염두에 두고 쓰여졌는데, 그들에게 쉬운 언어로 철학의 정수를 보여주고자 한다. 명료하고 엄격한 방식으로 어떤 이론을 비판하고 옹호하는 데에 철학의 정수가 있다고 나는 믿는다. 이런 토론을 즐기는 학부생들이 있고, 그들을 더욱 세련된 철학세계로 끌어들이는 것이 이 논문의 주목표이다.

      • KCI등재

        과학에서의 법칙과 이론에 대한 고찰

        박승배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2 No.1

        A law consists of a single statement. It is a general, necessary, synthetic, and highly confirmed statement. It is controversial whether truth is a requirement of a law. According to an instrumentalist, a scientific theory is merely an instrument for making future predictions. Hempel claims that a scientific theory is composed of internal principles and bridge principles. A logical positivist asserts that theoretical terms of a scientific theory can be translated into observational terms, and a scientific theory is a collection of statements. A semanticist, on the other hand, holds that a scientific theory is a collection of models. The semantic view of scientific theories has the following absurd consequences: the axioms of the past theories that turned out to be false are true, Aristotle's correspondence theory of truth is false, a model is both a truth-maker and truth-bearer, both an axiom and a model are a truth-bearer, and a part of the world is a part of a scientific theory. 과학에서 법칙은 단 하나의 진술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진술이고, 필연적 진술이며, 종합적 진술이고, 고도로 입증되었다. 법칙이 진리이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법칙에는 보편법칙과 확률법칙, 관찰법칙과 이론법칙이 있다. 도구론자에 의하면, 과학이론은 미래사건을 예측하는 도구에 불과하다. Hempel에 의하면, 과학이론은 내적원리와 교량원리로 구성되어 있다. 논리실증주의자들에 의하면, 과학이론의 이론용어는 관찰용어로 번역될 수 있으며 과학이론은 문장들의 합이다. 이에 반해 의미론자들은 과학이론이 모델들의 합이라고 주장한다. 의미론적 견해가 옳다면, 과학사에서 허위로 드러난 과학이론들의 공리들은 모두 진리이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진리에 대한 대응론은 그르며, 모델은 truth-maker이면서 동시에 truth-bearer이고, 공리와 모델이 모두 truth-bear이며, 세계의 일부가 이론의 일부이다. 이런 불합리한 결론들이 도출되므로 의미론적 견해는 수용될 수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