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억새경관보전의 경제적 가치 추정에 대한 연구 - 영남지역 대규모 억새군락을 대상으로 -

        박슬기,이상철,강기래,최송현,Park, Seul-gi,Lee, Sang-Cheol,Kang, Gi-lae,Choi, Song-Hyu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4

        생태계서비스중 문화서비스 측면에서 억새경관 보전 가치를 경제적으로 추정하기 위해 부산 도심지에 위치한 승학산과 경남지역 억새명산으로 유명한 화왕산 및 재약산을 조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각 대상지의 탐방객들을 대상으로 억새경관보전가치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설문조사한 후, 수집된 지불의사액(Willingness To Pay)으로부터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해 각 대상지의 1인당 억새경관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였으며, 카이제곱검정으로 대상지간 차이를 분석한 후, 변수별 상관관계도 알아보았다. 억새경관보전에 대한 지불의사액은 응답자의 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일상생활에서 환경보전노력을 많이 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제시액이 높을수록 "예"의 응답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각각의 투입된 변수로 추출된 계수를 이용하여 추정한 1인당 억새경관가치에 대한 평가는 승학산(38,277원), 화왕산(38,648원), 재약산(48,891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전체 평균 지불의사액은 38,679원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억새경관의 경제적 가치는 영화 관람비나 놀이 공원입장료 등의 현 시세 물가와 비교하였을 때 탐방객들의 지불의사가 비교적 높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탐방객들이 억새경관에 대해 자연이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중 문화서비스(cultural services)의 측면에서 자연자산자원으로의 가치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할 수 있다. To detail a picture of the economic value of Miscanthus landscape conservation in terms of cultural services aspects of Ecosystem Services, Sunghaksan(Mt.), Hwawangsan(Mt.) and Jaeyaksan(Mt.), which are known for their Miscanthus colonies, were chosen as survey sites. After examining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value of Miscanthus landscape conservation by targeting of visitors each study area, the economic value of Miscanthus landscape conservation per capita aspects was evaluated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s(CVM) from the collected willingness to pay for economic value of Miscanthus scenery by site. After using the target Chi-square test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each site, the correlation between specific variables was investigated. Willingness to pay for the Miscanthus landscape conservation was found to increase as the respondents' income became higher. The more environmental conservation efforts were being made in their daily life, the higher willingness to pay was for Miscanthus landscape conservation. Likewise in other studies, the higher the bid was, the less willingness to pay was. The per capita assessment of the Miscanthus landscape value of the logit models in the dual estimated using the factor extracted with each of the injected variable bounds was estimated for Seunghaksan (\38,277), Hwawangsan(\38,648), and Jaeyaksan(\48,891). The average of the three sites was estimated to be \38,679. Assessment of the economic value of these Miscanthus landscape sites saw high willingness to pay by visitors when compared to the current market price inflation, such as watching movies or amusement park admission, which could mean that visitors recognize the value of ecosystem services from nature in evaluating the Miscanthus landscape.

      • KCI우수등재

        승학산 참억새군락의 생육환경 특성 및 쇠퇴에 관한 연구

        박슬기,최송현,홍석환,이상철,유찬열,Park, Seul-Gi,Choi, Song-Hyun,Hong, Suk-Hwan,Lee, Sang-Cheol,Yu, Chan-Yeol 한국조경학회 2017 韓國造景學會誌 Vol.45 No.5

        억새군락은 생태계 서비스 중 문화서비스 측면에서 하나의 경관자원으로 가을이면 전국적으로 많은 탐방객들이 찾는다. 하지만 참억새군락은 우리나라 산림 천이의 특성상 빠른 쇠퇴가 진행되는 공간이라 경관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며, 인위적 관리가 필요하다. 참억새군락은 척박한 토양에서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건조지 천이초기식생으로써, 우리나라 산림에서 지속성을 가지는 군락은 아니며, 산림천이과정 중 2차 천이 초기에 발생하는 식물군락으로 기존 산림식생의 훼손이후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군락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 숲의 경관다양성을 위해 대도시의 대규모 참억새군락으로 접근성이 뛰어난 승학산 억새군락의 생육환경 특성을 조사하고, 억새군락의 급격한 쇠퇴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승학산 참억새군락의 토양은 승학산 정상부 일대 참억새군락의 경우, 일부지역을 제외하고 일반적 산림토양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전 질소함량과 유기물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토양으로 일반적 산림토양에 비해 비옥한 토양으로 볼 수 있다. 현존식생 현황은 화재 등 교란이후 숲의 천이가 진행되는 과정으로 복잡하고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고, 주요 식물 군락별 면적비율에 있어 리기다소나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일부 곰솔군락 및 벚나무군락이 소규모로 분포하고 있었다. 참억새우점군락은 전체면적의 8.7%로 대부분 지역에서 참억새군락의 쇠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칡과 비목나무의 이입으로 인한 참억새군락의 쇠퇴가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어, 참억새군락의 쇠퇴는 보다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어졌다. 식물군집구조 현황에서 당분간은 참억새군락으로 유지될 것이나, 목본식물이 이입되는 과정으로 비목나무의 생장에 따라 참억새 생육에 부정적 영향이 작용할 것이고, 억새-계요등군락은 경관개선을 위해 상부에 식재한 왕벚나무군락의 그늘로 참억새군락은 향후 급격히 쇠퇴할 것이다. 참억새-비목나무군락은 비목의 생육에 따라 참억새의 본격적인 쇠퇴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고, 칡-참억새 군락은 탐방객에게 부정적 영향이 큰 지역이다. 칡 우점군락들은 참억새의 피도는 낮고, 교목과 관목의 유입은 거의 없으나, 칡이 우점 하는 군락으로 향후 지속적으로 참억새군락은 쇠퇴할 것이다. 경관관리 측면에서 참억새군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용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여러 가지 대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승학산 곳곳에 조성된 묘지와 참억새군락 내부 샛길은 억새 생육에 어려움을 주고 있는 반면, 참억새군락의 보호를 위해 조성된 목책 및 로프 울타리는 사람들의 출입을 억제하여 많은 샛길들이 자연스럽게 복원되고 있다. 참억새 경관을 즐기기 위해 상대적으로 관찰이 용이한 지점과 참억새군락을 설정하여 이들 지역을 중점적으로 관리한다면 관리예산을 줄이면서 보다 효과적인 억새군락 관리가 될 것이다. Mt. Seunghak's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is not only a landscape resource in terms of cultural services within the Ecosystem Services but also a site that is visited by many mountaineers in autumn. As the current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has been experiencing a rapid decline due to Korean forest succession characteristics, ongoing artificial management is thought to be needed for landscape resource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growth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the cause of the rapid decline of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in Mt. Seunghak, which is located inside a large city with a large scale and outstanding accessibility. As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is the representative early vegetation that appears temporarily in dry, barren soil,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in Korean forest succession tends to be unsustainable. As the current soil on Mt. Seunghak is inappropriately fertile for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other wetland woody plant communities are anticipated to succeed it. If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maintenance is needed for Miscanthus sinensis landscape scenery, various alternatives apart from overall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maintenance should be determined for cost-effective management. For example, while many byways toward the inside of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have affected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growth environment, the installation of wooden fences and ropes has been a control in approach. As a result of this positive effect, many byways toward the inside of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have been restored naturally. Through viewable range analysis, as good scenery sites on the observatory have a good viewable range on the main trail as well, if these scenery sites are intensively managed, effective Miscanthus sinensis ccommunity management will be done despite maintenance budget cutback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material regarding the alternatives for a sustained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and the possibility of cultivating other growth in poor soils of fallow fields and unused land.

      • KCI등재

        복숭아 과즙과 젤라틴을 이용한 복숭아 푸딩의 품질특성

        박슬기(Seul-Gi Park),송태희(Tae-Hee Song),김동호(Dong-Ho Kim),김길하(Gil-Hah Kim),장금일(Keum-Il J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2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를 이용한 가공 방법의 범위를 확대하고자 복숭아 과즙과 젤라틴을 첨가한 푸딩을 제조하고, 푸딩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품질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으로 수분함량, pH, 당도, 색도 및 조직감을 분석하였고, 관능적 품질특성은 색, 맛, 풍미, 조직감, 전체적인 선호도를 실시하였다. 먼저 복숭아 과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과 pH는 감소하였으나, 당분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젤라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으나, pH는 일정하게 유지하였고 당도는 매우 약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색도의 경우 복숭아 과즙 첨가량에 따라 L값과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a값과 ΔE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젤라틴 첨가량에 따라 L값은 증가한 반면 b값은 약간 감소하였으나 a값과 ΔE값은 일정한 범위를 유지하였다. 조직감 비교에서는 복숭아 과즙 첨가량에 따라 경도와 탄성은 감소하였으나 점착성, 씹힘성 및 응집성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젤라틴 첨가량에 따라 경도, 점착성, 씹힙성, 응집성 및 탄성은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복숭아 과즙 첨가량과 젤라틴 첨가량에 따라 제조된 푸딩의 색, 풍미, 맛, 조직감,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60%의 복숭아 과즙 첨가와 1.5%의 젤라틴 첨가한 푸딩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과즙과 젤라틴 첨가가 푸딩의 품질과 관능적 특성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으며, 푸딩특성을 이용한 복숭아의 고부가가치의 가공 제품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quality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pudding added with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juice and gelatin. The water content and pH of pudding decreased with increased peach juice content, whereas the sugar content increased. Further, the water content of pudding decreased with increased gelatin content, whereas the pH was constantly maintained and the sugar content slightly increased. Regarding the color of pudding, the L and b values decreased with increased peach juice content, whereas the L value increased with increased gelatin content. Regarding the texture of pudding, hardness and springiness decreased with increased peach juice content, whereas adhesiveness, chewiness, and cohesiveness all increased. All texture properties increased with higher gelatin content.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color,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pudding with 60% (w/w) peach juice and 1.5% (w/w) gelatin showed the highest value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using high value-added products for peach processing in the food industry, as the addition of peach juice and gelatin enhanced the quality and sensory properties of pudding.

      • KCI등재후보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 〈대곡사명 감로도〉연구 - 민화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박슬기(Park Seul-gi) 한국민화학회 2022 한국민화 Vol.- No.17

        감로도(甘露圖)는 천도의례에 사용된 대표적인 불화로, 의례의 목적과 내용, 신앙 등을 종합적으로 도설하고 있어 종교적 성격 뿐 아니라 당대의 사회적 분위기까지 읽을 수 있는 귀중한 작례이다.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 〈대곡사명 감로도〉(1764)가 조성된 18세기는 전통양식을 계승하면서 불화가 전형 양식을 이루며 발전한 시기였다. 이에 따라 감로도도 다양한 도상이 등장하며 전통양식과 어우러져 발전하였는데, 이 시기 감로도에서 주목할 것은 사회상을 반영한 도상이다. 본고에서는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 〈대곡사명 감로도〉의 양식적 특징을 살펴본 후, 민화 작품과의 비교를 통해 감로도와 민화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대곡사명 감로도〉의 상단 도상의 배치는 〈남장사 감로도〉(1701)에서 정립된 이후 정형화되었지만, 〈대곡사명 감로도〉의 상단에는 비명횡사한 고혼들을 천도하기 위해 내영하는 아미타삼존이 재등장하여 16세기 감로도의 양식을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18세기 상단 도상이 정형화되는 과정 속 과도기적 모습을 담고 있는 귀중한 예이다. 다른 감로도와는 달리 중단의 작법승과 아귀가 시식대에 비해 유독 작게 그려진 것은 『수륙무차 평등재의』에 의거하여 무주고혼에게 차별 없이 항시 음식을 베풀 수 있는 시식의례가 강조되고 이에 따라 시식대와 공양물이 부각된 것으로 생각된다. 하단의 전쟁장면은 넓은 화면에 양 진영이 대립하는 참혹한 모습을 과감하게 묘사하였으며, 지옥·환난 장면과 함께 표현된 일상생활 장면은 서민들의 일상사를 그대로 옮겨 놓은 듯 생생하게 묘사하여 주변을 환기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대곡사명 감로도〉와 민화에 동일하게 등장하는 요소들을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 등장 소재·색채 및 표현력·내포된 상징성에서 일맥상통하는 부분들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민화의 수요가 대폭 증가했던 19세기보다 이른 18세기 민간에서 향유했던 회화의 양상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감로도는 이미 여러 방향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된 주제이지만, ‘민화와의 관련성’이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작품을 고찰하고자 노력하였다. 다른 회화의 주제와 화풍을 수용하여 서민의 취향에 맞게 변용시켜 전개된 민화의 포용성에 착안하여 〈대곡사명 감로도〉와 민화의 여러 작품과 비교하고 그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기회로 시대에 따른 감로도에 보이는 회화 양식과 민화의 양식 특징을 비교하면 민화의 편년을 정할 수 있고 민화 연구의 주요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감로도와 민화의 비교연구에 대한 관심과 심도 깊은 연구들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향후 과제로 생각된다. Nectar Ritual Paintings(Gamrodo) is a representative Buddhist painting used in Funerary Rituals, and it comprehensively illustrates the purpose, content, and faith of the ritual, which is a valuable example of reading not only the religious character but also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 The 18th century, when the 〈Daegoksa Temple Gamrodo〉(1764), owned by the Wonkwang University Museum, was a time when Buddhist paintings developed into a typical style while inheriting the traditional style. Accordingly, various figures appeared in Gamrodo and developed in harmony with traditional styles, and what to pay attention to in Gamrodo during this period is a map reflecting social aspects. This study examines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Daegoksa Temple Gamrodo〉 in possession of Wonkwang University Museum, the relationship between Gamrodo and Minhwa was examined through comparison with folk paintings. The upper parts of 〈Daegoksa Temple Gamrodo〉 was standardized in 〈Namjangsa Temple Gamrodo〉 (1701), but amitabhatriad appeared at the upper parts of 〈Daegoksa Temple Gamrodo〉 to show that it inherited the style of Gamrodo in the 16th century. It also contains the transitional appearance of the upper parts of the 18th century. It is thought that the small painting of the Buddhist ritual dancers and preta(餓鬼) of the emphasized the ritual of tasting to give food to the deceased without discrimination. The war scene at the lower part of harrowing scene, and the daily life scene depicted along with the hell scene vividly depict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lements that appeared in the same folk paintings with 〈Daegoksa Temple Gamrodo〉, it was possible to see common points in the material, color, expressiveness, and implied symbolism. Through these factors, it was possible to infer the aspects of painting enjoyed by the private sector in the 18th century. Although many studies have already been conducted in various directions, Gamrodo tried to examine the work from a new perspective. Folk paintings were intended to compare with 〈Daegoksa Temple Gamrodo〉 and examine their relevance, focusing on the inclusiveness developed by adapting the themes and painting styles of other paintings to suit the tastes of the common people. As an opportunit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 style and the style of folk paintings seen in Gamrodo according to the times can be used as a major data for folk painting research. Therefore, interest in comparative studies of Gamrodo and Minhwa and in-depth studies are considered to be future tasks that should be continued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