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음악교육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교사의 의미 만들어가기

        박소연(Park So-Yeun),이진희(Lee Ji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는 2017년 4월 말부터 2018년 2월 중순에 걸쳐 유아음악교육을 실천하고 반성하는 실행연구의 과정을 통해, 한 사립유치원교사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실천과정과 이 과정에서 참여교사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의미 만들어가기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참여교사는 자신의 유아음악실제에 대한 경험적 성찰과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단조로운 음악활동유형을 탈피하고자 그림책 「괴물들이 사는 나라」를 중심으로 노래 부르기와 악기 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창작하기 등의 다양한 활동유형에 따른 통합적인 음악활동을 실천하여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영역확장하기를 만들어 나갔다. 이러한 실천의 과정을 통해 참여교사는 즐겁고 의미 있게 유아음악교육을 바라보게 되었으며, 변화 실행을 통해 실천지를 쌓아가는 한편,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의미를 재구성하는 교사로 변화되어 가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참여교사가 자신의 음악교육 실천을 되돌아보고 의미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지원해 주는 매개로써 실행연구가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실천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axis process and meaning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made by a private kindergarten teacher through action research which practiced and reflected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from the end of April 2017 to the middle of February 2018. Based on her music empirical reflections and problem recognition, the participating teacher practiced expanding the field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hrough integrated music experience by using various types of music activities such as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s, expressing their bodies, and creating music centering on picture book, which is 「Where The Wild Things Are」, to escape the monotonous type of musical activity. In the process of the action research, the participating teacher showed to be changed as a teacher who looking at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s pleasant and meaningful activities, accumulating of practical knowledge through implementing changes of music activities, and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ave significance in that action research may perform meaningful roles in assisting early childhood teacher to look back and critically reflect upon thei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meaning-making, and it is also suggested that it should be practic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 KCI등재

        음악 감상활동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교사의 실천지식 쌓아가기

        박소연(Park So-Yeun),이진희(Lee Ji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2017년 9월 말부터 2018년 2월 중순에 걸친 실행연구를 통해 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실천과정과 이 과정에서 참여교사의 실천지식의 변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참여교사는 자신의 경험적 성찰과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단조로운 음악 활동유형을 탈피하고자 음악동화를 활용한 감상활동, 악기소리를 활용한 감상활동, 음색, 선율 등의 개념적 요소를 접목한 음악 감상활동을 통해 음악활동유형에 대한 확장하기를 실천해 나갔다. 음악 감상활동의 실행연구를 통해 참여교 사는 부담감 벗어나 즐거운 ‘음악하기’와 음악 감상의 변화 실행을 통한 실천지 쌓아가기, 그리고 실천 행위를 통한 ‘교사-되기’로 실천지식의 변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행연구를 통해 질 높고 의미 있는 유아음악을 만들어가기 위한 교사의 성찰과 변화를 통한 끊임없는 의미 생성의 과정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axis process and the change of practical knowledge of music listening activity made by a public kindergarten teacher through action research from the end of September 2017 to the middle of February 2018. Based on her empirical reflections and problem recognition, the participating teacher practiced the extension on the type of music activity through music listening activities by using music-related storybooks, instrumental sounds, and by grafting music conceptual elements such as tone and melody into the music appreciation to break out the monotonous music activity type. In the process of the action research, the participating teacher showed a change of practical knowledge, which were ‘musicing’ as pleasant out of the pressure, accumulation of practical knowledge through implementing changes of music listening, and ‘becoming-teacher’ through practical 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teachers’ reflection to make high quality and meaningful early childhood music and the process of continuous generation of meaning through change assisted by action research.

      • KCI등재

        달크로즈 음악활동이 유아의 신체표현능력과 사회, 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

        박소연 ( So Yeun Par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1

        본 연구는 달크로즈 음악활동이 유아의 신체표현능력과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달크로즈 음악활동이 유아의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달크로즈 음악활동이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B유치원의 만 5세 유아 70명으로 하였으며, 얻어진 자료는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달크로즈 음악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유치원 교육과정에 근거한 음악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에 비해 유아의 신체표현능력과 사회·정서 발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달크로즈 음악활동이 유아의 신체표현능력과 사회·정서 발달을 향상시키는 활동으로 활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alcroze musical activities on children`s ability of physical movement expression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e research questions set as follows: First, how dalcroze musical activities affect children`s ability of physical movement expression. Second, how dalcroze musical activities affect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70 young children at their age of 5 from B kindergarten in Daegu.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as calculated and an ANCOVA test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ldren`s physical movement expression and in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between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s that dalcroze musical activity can be utilized as an activity for improving children`s physical movement expression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유아음악 PCK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음악교육 실천과 의미생성

        박소연 ( Park So-yeun ),이진희 ( Lee Jin-h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2

        본 연구는 PCK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실행연구를 통해 유아교사의 실천과정과 의미생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행연구의 과정에서 참여교사는 PCK의 구성요소(박소연, 이진희, 2019)중 박과 리듬과 관련된 음악활동을 통해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영역 확장하기를 실천해 나갔다. 이러한 실천의 과정을 통해 나타난 참여교사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의미생성은 ‘유아음악교육 새로운 시선으로 마주하기’, ‘유아음악교육의 변화 실행하기’, ‘실행을 통해 PCK 의미 재구성하기’라는 세 가지 주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참여교사가 깊게 성찰하고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가며 실천적 지식을 쌓는 과정에서 교육현장에서의 유용한 도구로서 PCK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아울러 의미 있는 유아음악교육을 만들어가기 위한 교사-되기의 여정이 실행연구를 통해 계속적으로 실천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axis process and meaning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generat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action research o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using PCK as an initiating point. In the course of the action research o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he participating teacher started with some pedagogical knowledge, which was ‘enriched musical activities related to the meter and rhythm’, then practiced expanding the field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he sense-mak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al education in the process of the action research viewing was categorized into three themes: facing a new look about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mplementing changes in thei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reconstructing meanings of PCK through prax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e possibility of administering PCK as a useful tool in the educational field for deep reflection, meaningful changes, and continuous accumulation of practical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also suggested that action research may perform meaningful roles in assisti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o look back and critically reflect upon he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axis.

      •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 운영성과에 관한 연구

        박소연(Park, so-yeun),윤천성(Youn, Chun-Sung)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2020 평생교육리더십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자격제도 개정이후 자격제도 변화에 따라 새로이 도입되어 운영되어 오고 있는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의 운영성과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NCS(국가직무능력표준)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와 검정형 자격제도를 비교하고, HRD-Net 과정평가형 직업능력개발훈련 운영기관의 운영성과 자료와 한국 산업인력공단 통계자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이와 함께 선행연구자의 학위논문과 문헌자료를 토대로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 운영성과에 대한 문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 운영의 문제와는 달리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 참여 훈련생의 만족도와 자격증 취득률뿐만 아니라, 취업률과 취업후 고용유지기간도 검정형 자격참여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결과에 따라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의 중요성과 운영체계 안정화및 산업사회 변화에 따른 실무위주의 자격요건의 형평성에 맞는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 운영의 전문화가 필요하여, 운영의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운영기관 선정과 운영의 중요성 그리고, 개선방안 제시로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fficient operation plan of the course evaluation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training course evaluation system, which has been newly introduced and operated since the revision of the qualification system in Korea. The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Course Evaluation-typ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was compared with the HRD-Net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Operating Institution s operational performance data and Korea Occupational Manpower Corporation s stat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nlike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for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and training, not only the satisfaction rate and certification rate of trainees participating in the course evaluation system, but also the employment rate and post-employment period were higher than the qual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specialization in the operation of the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training course evaluation-typ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was needed to meet the importance of the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training course evaluation system and the fairness of working-level qualif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importance of selecting and operating a courseevaluat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management institution, and suggesting improvement measures will help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training course-evaluat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 KCI등재

        여대생의 진로결정자율성과 관계성이 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소연(So Yeun Park),이숙정(Sook Jeong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결정관계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의 여자대학에 재학 중인 32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결정관계성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진로결정관계성의 4가지 하위척도 중 지지, 모델링, 조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함께 진로준비행동을 하는 동료들과의 관계를 묻는 척도인 활동은 유의하지 않았다. 진로결정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척도 중에서 직업정보, 미래계획과 관련된 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증가하는 반면 목표선택과 문제해결 척도는 유의하지 않았다. 구조모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완전매개모형과 부분매개모형 각각의 모형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두 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양호하게 나타났다. 두 모형 중 더 나은 모형으로 최종모형을 확정하고자 X2검증(△X2(1)=18.29, p<.01)을 하여 부분매개모형이 더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최종 모형에서 진로결정관계성은 직접 및 간접 경로가 모두 유의하나 진로결정자율성의 직접 경로는 유의하지 않고 간접 경로만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decision relatedn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tudy samples were composed of 323 female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Seoul. For data analysis, the use of correlational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SEM),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ch of career decision-makingautonomy, career decision relatedn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effects significantly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information of job and the future planning subscal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support, modeling and advice subscale of career decision relatedness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econd, mediating effects were examined that the link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decision relatedn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partially mediated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s study suggests especially that a career counseling program or career coaching progra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can incarease th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hich will positively affect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 KCI등재후보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보급 현황과 발전 방안

        박소연(Park, So-yeu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6 No.1

        한국어가 2007년에 세계지식재산권기구의 국제특허협력조약의 국제공개어로 공식 채택되면서 한국어의 위상은 더욱 높아졌다. 시대의 변화와 함께 본격적인 활성화를 띤 한국어 교육 정책은 그 범위가 확대되었고, 이와 관련하여, 큰 비중을 차지하기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하는 영역이 재외동포에 대한 한국어교육이라고 본다. 재외동포들의 한국어 능력은 세계화시대에 한국의 소중한 국가적 자산이며 가치이다. 21세기 글로벌 시대에는 인적자원 역량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이기에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보급 정책을 재조명해 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행 재외동포를 위한 국외 한국어교육기관의 현황을 진단해 보고, 향후 추진해야 할 발전 방향에 대해서 제안한다.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been soared since it was selected as an official language of the International Patent Cooperation Treaty of the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In rela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is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and therefore should be given attention. Overseas Koreans’ Korean language skil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national capitals and value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ey not only play an important role as mediators between Korean people home and abroad, but also keep and promote Korean culture and spirit in the world. In this globalized world of the 21st century, a nation’s competitiveness depends on its human resources, so the Korean language policy should be reviewed. Thus, this study diagnoses the present state of the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s, and discusses the directions it should take.

      • KCI등재

        대학생용 조직생활 성공역량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이숙정(Sook Jeong Lee),박소연(So Yeun Park),유지현(Ji Hyun Yu)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1

        이 연구는 대학생의 조직생활에 필요한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직에서 요구하는 심리사회적 역량에 대한 개방형 설문지를 제작하여 교수 50명, 대학생 46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기업체의 인재상 및 개방형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항을 개발한 후 전문가에 의한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총 333개의 예비문항을 만들고 문항내용의 수정과정을 거쳐 예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예비검사의 분석을 통해 241문항을 확정하였다. 본 검사 대상자 중 2,266명의 자료를 근거로 하여 신뢰도를 살펴보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시민윤리, 규정준수, 친화력, 영향력, 성취지향, 인내심, 전문가교류, 트렌드이해, 자기관리, 조직이해, 학습태도, 지적개방성, 기획력, 변화지향태도, 변화추진태도, 창의적태도, 위기대응,협상력, 글로벌능력, 글로벌마인드 등 20개 하위척도가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내적 합치도는 .66∼.91로 나타나 신뢰로운 검사임이 확인되었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4요인이 추출되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만들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정지수를 참조하여 3개 척도의 오차 요인 간 상관을 허용하여 연구모형을 수정하였으며, 수정된 연구모형은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다. 학업태도 검사와 글로벌마인드 역량검사의 척도 중 본 검사에서 개발한 척도와 유사한 척도들이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어 공인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조직생활 성공역량 검사는 대학생들이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자신의 역량 수준을 확인하고 필요한 역량을 강화 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도구로 활용이 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development and validate a test to diagnose necessary psycho-social competences for successful school life and coming occupation of college students. Psycho-social competences is named organizational competence and a group of components of organizational competence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competency, corporate talent and the content of the open-ended questionnaire.Total 333 preliminary items were made up based on the components of organizational competence. Of them, 92 items were excluded after taking mean,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s among items, and correlations between items and total scores into consideration. Thus the final test consisted of twenty factors and 241 items. As results, the factor analysis results identified twenty factors, namely citizenship, rule observance, friendship, influence, achievement intention, endurance, interchange with professional, trend comprehension, self management, comprehension about organization, learning attitude, intellectual openness, planning, change-oriented attitude, change-promoting attitude, creative attitude, coping with crisis, negotiating power, global ability, global mind. Cronbach`s α figures as internal consistenc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ronbach`s α figures was .66∼.91, reliability was goo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scales, 4 factors were confirmed as the most appropriate model. Also to see whether the developed successful competence test of organizational life for college students could be generalized carried out concurrent validity test. Based on the test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a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