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폭시수지가 도포된 폴리이미드와 스크린 프린팅 Ag 사이의 계면접착력 평가

        박성철,김재원,김기현,박세호,이영민,박영배,Park, Sung-Cheol,Kim, Jae-Won,Kim, Ki-Hyun,Park, Se-Ho,Lee, Young-Min,Park, Young-Bae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10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17 No.1

        스크린 프린팅된 Ag 박막과 에폭시 수지로 코팅된 폴리이미드 사이의 계면접착력을 $180^{\circ}$ 필 테스트를 통해 정량적으로 구하였다. 스크린 프린팅된 Ag 박막과 에폭시 수지 코팅된 폴리이미드 사이 필 강도는 $164.0{\pm}24.4J/m^2$이었다. 오븐에서 $120^{\circ}C$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열처리 한 Ag/폴리이미드의 필 강도는 $220.8{\pm}19.2J/m^2$로 증가하였고, $85^{\circ}C/85%$ 상대습도 조건에서 120시간 동안 유지한 Ag/폴리이미드의 필 강도는 $84.1{\pm}50.8J/m^2$로 감소하였다.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과 XPS를 통해 박리된 시편 표면을 분석한 결과, 열처리 및 고온/다습조건처리 시 스크린 프린팅 Ag 박막과 에폭시 수지 코팅층 사이의 계면접착력은 에폭시 수지와 수분 사이의 가수분해 결합 반응으로 인해 계면접착력 증가 및 감소하는 경향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interfacial adhesion strengths between screen-printed Ag film and epoxy resin-coated polyimide were evaluated by $180^{\circ}$ peel test method. Measured peel strength value was initially around $164.0{\pm}24.4J/m^2$, while the heat treatment during 24h at $120^{\circ}C$ increase peel strength up to $220.8{\pm}19.2J/m^2$. $85^{\circ}C/85%$ RH temperature/humidity treatment decrease peel strength to $84.1{\pm}50.8J/m^2$, which seems to be attributed to hydrolysis bonding reaction mechanism between metal and adhesive epoxy resin coating laye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국내 학교시설 천장재의 내진성능 분석

        박성철,조진일,정태환,Park, Sung-Chul,Cho, Jin-Il,Jung, Tae-Hwan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16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학교현장의 안전교육 과정에서 학교시설 비구조재 중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천장재의 내진성능을 평가하고 대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평가도구의 개발을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4단계로 진행되었다. 첫 단계에서는 국내 외의 내진성능평가 가이드라인들을 분석하여 주요 천장재의 구성품목과 각 품목별 평가방법들을 조사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문헌조사의 결과를 기반으로 주요 품목들의 내진성능 실태를 면밀하게 조사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조사된 천장재 구조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지반 및 지진의 유형에 따른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학교시설 천장재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내진성능보강 대책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of school facilities in terms of seismic performance during safety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This study is composed of four stages with a view to developing user oriented evaluation models that can be utilized during earthquake safety education on ceiling system. and First stage analyze the evaluation guidelines to find evaluation methods and items. Based on the items, site survey was conducte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seismic performance of domestic school buildings in terms of ceiling system. Third stage analyzes the seismic performance of ceiling system. Final stage is to derive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학교 현장 중심의 학교공간혁신사업을 위한 개선방안 - 강원도교육청 학교 감성화사업을 중심으로 -

        박성철,유해연,김현진,이상민,신은경,Park, Sung-Chul,Yoo, Hae-Yeon,Kim, Hyun-Jin,Lee, Sang-Min,Shin, Eun-Gyeong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21 교육·녹색환경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교육부에서 2019년부터 국가수준에서 추진하고 있는 학교공간혁신사업의 학교 현장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시도교육청 사업 중 하나인 강원도교육청의 학교 감성화 사업을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학교 감성화사업의 추진프로세스와 단계별 주요 추진주체를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단계별 주요 참여자들 대상의 면담조사를 통하여 주요 문제점들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사업설명회 실효성 증대, 퍼실리테이터 역량 강화, 가이드라인 개발 등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포괄적인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지속적으로 추진되는 학교공간혁신사업을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정책 대안으로 활용되어 보다 학교 현장에 부합하는 혁신적인 학교 공간이 만들어지길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policy alternatives which can assist schools to effectively carry out the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SSIP)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Emotional Space Project (ESP) of Gangwon-do School District was analyzed as one of representative SSIPs. Chapter II analyzed the project process and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ESP. Chapter III carried out the interview with the representative stakeholders that had participated in each step. The interview described the major problems ESP and SSIP have. Finally, Chapter IV proposed the comprehensive alternatives to deal with the problems, such as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project information sessions, strengthening the competencies of facilitators, and developing guidelin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alternatives can be applied for developing innovative school spaces more suited to school scenes as well as helping effective operation of SSIP in schools.

      • KCI등재후보

        한국과 일본 유치원의 공간구성 실태 비교

        박성철,송병준,조진일,Park, Sung-Chul,Song, Byung-Joon,Cho, Jin-Il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16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유치원의 공간조사 및 비교분석을 통해 향후 한국 공립유치원의 바람직한 공간구성 방향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유치원 공간구성의 최근 경향을 조사하기 위해 최근 5년간 신축되거나 리모델링된 유치원을 추천 받아 시설도면, 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진입 및 배치, 옥외공간", "스페이스프로그램", "평면구조 및 단위공간계획"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공간의 구성형태, 배치형태, 실 면적, 면적구성 비율 등 공간 조직의 관점에서 한국과 일본 유치원은 유사성이 매우 많았으나, 대지면적과 옥외면적에 있어서 일본 유치원이 한국 유치원보다 대지면적은 $11.89m^2$, 체육장을 포함한 옥외면적은 $9.75m^2$(유아1인 기준) 만큼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일본의 유치원은 "아뜰리에" 및 "PTA"와 같은 특성화된 공간 확보를 통해 다양한 교육활동 및 교육지원을 실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유치원의 시설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모형 및 지침 등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a direction for desirable space organization in future Korean kindergarten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space organization in Japanese kindergartens. This study includes comparisons and analyses of Korean and Japanese curricula, facility standards on the national level and standards of national subsidy, current numbers of kindergarteners and preschoolers, and changes in kindergarten facilities over the last 5 years. Six kindergartens each in Korea and Japan, which were constructed after 2011 or are recommended as being good in space organization and kindergarten planning, are selected. The contents of space organization analysis are 'entry and placement, outdoor space', 'space program,' and 'plan design and organization of unit space'. In conclusion, in terms of space organization, Korean and Japanese kindergartens are very similar to each other. However, Japanese kindergartens have more outdoor space about $9.75m^2$ and lot area about $11.89m^2$ than Korean kindergartens. The extra space was used to educate students in various contents regarding social network and physical activity. Furthermore, in Japan, special spaces such as "atelier classes" and "PTA" were used for various types of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developed, such as specific models and guidelines for the improvement of facilities Korea kindergarten.

      • KCI등재

        간접적 언어행위연구의 화용론적 토대에 대하여

        박성철,Park Song Chol 한국독어학회 2000 독어학 Vol.2 No.-

        In der vorliegenden Arbeit wurde versucht, eine $ad\"{a}quate\;Basis\;f\"{u}r$ die Untersuchung der indirekten Sprachhandlung dadurch zu schaffen, die das $Indirektheitsph\"{a}nomen$ konstituierenden sozial-kommunikativen Faktoren ans Licht zu bringen. Dazu $mu{\ss}ten\;zun\"{a}chst$ einige Unstimmigkeiten der Searleschen Theorie der indirekten Sprechakte, die lange Zeit in der linguistischen Pragmatik dominierte, auf ihre $Erkl\"{a}rungskraft$ sowie ihre Haltbarkeit hin $\"{u}berpr\"{u}ft$ werden. In dieser Theorie wird davon ausgegangen, mit einer indirekten $\"{A}u{\ss}erung\;w\"{u}rden zwei\;illokution\"{a}re$ Akte gleichzeitig realisiert. Diese Annahme beruht ihrerseits auf der Auffassung, dem Satz wohne eine $illokution\"{a}re$ Rolle inne, wie z.B. dem Interrogativsatz die Rolle der FRAGE. So ist die bei Tisch oft verwendete $\"{A}u{\ss}$erung 'Kannst du mir das Salz reichen?' einerseits aufgrund des Fragesatztyps FRAGE und andererseits aufgrund der ihr konventionell zuzuordnenden Funktion eine BITTE. Die Frage ist, ob dem sog. $sekund\"{a}r\;illokution\"{a}ren$ Akt, also in diesem Fall der FRAGE, der Handlungscharakter verliehen werden kann. Denn die Handlungsintention des Sprechers liegt eindeutig darin, vom $H\"{o}rer$ das Salz $\"{u}berreicht$ zu bekommen, und nicht darin, sich vom $H\"{o}rer$ etwa uber seine $F\"{a}higkeit$ zum Salzreichen zu informieren. Die schwerwiegendsten $M\"{a}ngel$ der Searleschen Analyse der Indirektheit liegen z.T. darin, bei der Bestimmung des kommunikativen Zwecks einer $\"{A}u{\ss}erung$ von den sprachlichen Eigenschaften des Satzes ausgegangen zu sein und nicht von dem $Proze{\ss}$ der gemeinsamen Sinnkonstituierung durch die Kommunikationsteilnehmer, wie etwa durch die gegenseitige Annahme und die reflexive Intention. In diesem Zusammenhang erweisen sich die-von Grice so genannten­partikularisierten konversationellen Implikaturen als das Musterbeispiel $f\"{u}r$ die Entstehung und Interpretation der indirekten $\"{A}u{\ss}erung$. Hier wird man vor allem - wenigstens auf der abstraktiven Ebene der Gegenstandsanalyse - der kommunikativen $Realit\"{a}t$ gerecht. Die kommunikative Indirektheit in der Alltagskommunikation, so $hei{\ss}t$ der allgemeinere Begriff als etwa die Indirektheit auf der $illokution\"{a}ren$ Ebene, zeichnet sich dadurch aus, $da{\ss}$ sie eine in besonderem $Ma{\ss}e$ partnerorientierte, kooperative und auf die $Intersubjektivit\"{a}t$ unter den Kommunikationsteilnehmem abzielende Handlungsweise darstel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