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트랜스미디어콘텐츠의 변이와 확산

        박선민(Sunmin Park),이상우(Sangwoo L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7

        본 연구는 컨버전스 시대의 트랜스미디어콘텐츠가 ‘적극적 향유자’ 집단을 중심으로 어떻게 변이와 확산되는가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그 과정을 문화연구의 측면에서 어떻게 이론적으로 정립될 수 있는지BTS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극적 향유자’는 네트워크의 주체로서자신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자발적이고 상호 협조적으로 활동한다. 둘째, ‘적극적 향유자’들에 의해 트랜스미디어콘텐츠가 형성되고 변이·확산되는 과정은 ‘콘텐츠 접합(소우주)-반접합(분절과 변이)-초접합(확산과 대우주)로 도식화할 수 있다. 셋째, 그 사례인 BTS의 음반 및 콘텐츠는 하나의 소우주 성장서사로서 형성되어 캐릭터와 미디어로 분절되고, 멤버들의 다양한 에피소드는 향유자들의 적극적 퍼포먼스를통해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으로 변이, 확장되었다. 넷째, 결국 소우주는 분절, 변이와 확산을 지나면서트랜스미디어의 확장된 세계관으로서 대우주를 형성하게 된다. 트랜스미디어콘텐츠는 향유자 또한 생산자와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how transmedia content in the convergence era mutates and spreads around the 'active enjoyers' group. Furthermore, how the process can be theoretically established in terms of cultural research was analyzed through the case of B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e enjoyer' is the subject of the network and acts voluntarily and cooperatively based on their creativity. Second, the process of forming, mutating, and spreading transmedia content by 'active enjoyers' can be schematized as 'content bonding(microcosmos), semi-bonding(segment and mutation), and superbonding(diffusion and big universe). Third, BTS's albums and contents, which are examples, were formed as a microcosmic growth narrative and divided into characters and media, and various episodes of the members were transformed and expanded to various media platforms through active performances of the enjoyers. Fourth, in the end, as the microcosmos passes through segmentation, variation, and diffusion, it forms big universe as an expanded world view of transmedia. It has been found that transmedia content can also have the same meaning as the creator.

      • KCI등재

        천년초 추출물과 식이유황의 첨가가 계란의 생산성, 품질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선민(Sunmin Park),안일성(Il Sung Ahn),홍상미(Sang Mee Hong),김다솔(Da Sol Kim),권대영(Dae Young Kwon),양혜정(Hye Jeong Y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2

        천년초에는 유기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을 뿐 아니라 항균 효과가 탁월하다는 보고가 있고, 식이유황도 체내 기능을 향상시켜 산란계의 계란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산란계에게 천년초와 식이유황을 사료에 첨가한 기능성 사료를 산란계에게 급여할 때 계란의 생산성과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지를 조사하였다. 실험은 35주령의 Lohmann Brown 산란계 총 640마리를 4 처리 8 반복, 반복당 20수씩 완전임의배치를 하여 1) 천년초 0.12%, 2) 식이유황 0.1%, 3) 천년초 0.12%+식이유황 0.1% 또는 4) 물(대조군)을 사료에 골고루 혼합하여 5주 동안 급여하였다. 산란율, 계란 중량, 중량별 계란 생산량, 사료효율은 세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파란율은 천년초, 식이유황, 또는 천년초+식이유황을 급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고 이러한 차이는 난각두께와 난각강도가 높은 것과 관련이 있었다. 계란의 신선도를 나타내는 Haugh unit, 난백과 난황의 점도도 천년초, 식이유황, 또는 천년초+식이유황을 급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천년초군이 식이 유황군보다 신선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는 않았고 천년초+식이유황군도 천년초군이나 식이유 황군과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저장기간에 따른 계란의 신선도도 천년초, 식이유황, 또는 천년초+식이유황을 급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훈련된 대학생을 대상으로 반숙난백과 난황에 대한 관능검사를 하였을 때도 난백과 난황에서 모두 질감, 달걀 특유의 비린맛, 느끼함 등에 대한 선호도가 천년초, 식이유황, 또는 천년초+식이유황을 급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결과적으로 천년초 추출물 0.12% 또는 0.1% 식이유황을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였을 때 산란계의 파란율을 감소시키고 저장기간 중에서도 신선도를 유지시키는 등 계란의 품질을 향상시켜 간접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천년초 추출물과 식이유황을 함께 첨가 하였을 때 추가적으로 생산성이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지는 않았으므로 천년초 추출물 0.12%이나 0.1% 식이유황을 산란계 사료에 첨가함으로써 계란의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겠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puntia humifusa (OPH) extracts and methyl sulfonyl methane (MSM) supplementations on the laying productivity, egg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eggs in hens. Six hundred forty, 35-wk-old Lohmann brown, laying hen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1) water (control), 0.12% OPH extract, 0.1% MSM, and 0.12% OPH extract+0.1% MSM. They were mixed into the feed and given for 5 weeks. Egg production rates, egg weight, feed demand ratio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However, OPH or MSM decreased broken egg rates by increasing thickness and firmness of egg shell but they did not show the additive effects. In addition, OPH or MSM enhanced Haugh unit, an indicator of freshness of egg, and viscosity of egg white and egg yolk. OPH or MSM maintained the freshness of eggs better the control during their storage for 10 day at 4℃. However, OPH+MSM did not show additive effects in their freshness. Sensory test revealed that OPH or MSM decreased fishy taste and greasy flavor and they improved texture. Overall OPH or MSM enhanced the preference of eggs. In conclusion, the supplementation of either OPH or MSM enhances egg freshness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but they should not be supplemented together due to no additive effects.

      • SCOPUSKCI등재
      • [특집 : 비만ㆍ당뇨 조절과 건강기능식품] 제2형 당뇨병 병인 : 인슐린 / IGF-1 신호전달 장애

        박선민(Sunmin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식품산업과 영양 Vol.10 No.3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능의 장애에 의해서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대사성 증후군 중 하나이다. 인슐린 저항성은 용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인슐린 신호전달의 저하로 인한 인슐린 작용 감소가 나타나고 이는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더라도 포도당 이용은 감소된 상태이다. 인슐린 분비능은 직접적으로 인슐린 작용과는 무관한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인슐린 분비능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췌장 베타세포의 성장과 생존은 인슐린/IGF-1 신호 전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인슐린 분비능도 인슐린/IGF-1 신호전달과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인슐린/IGF-1 신호전달의 장애는 제2형 당뇨병의 병인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므로 제2형 당뇨병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는 근육, 지방세포와 간 등에서 인슐린 신호전달을 향상시켜 포도당 이용을 증가시키고, 시상하부에서 인슐린 신호전달을 향상시켜 식욕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과체중이나 비만의 발생을 방지하고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인슐린/IGF-1 신호전달을 향상시켜 베타세포의 성장과 생존을 향상시켜 포도당에 대한 인슐린 분비능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최근에 FDA에서 승인받은 Exenatide는 glucagons 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로 시상하부에 작용하여 식욕조절도 하고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IRS2의 발현을 증가시켜 인슐린/IGF-1 신호전달을 향상시켜 insulinotropic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Exenatide는 도마뱀의 독침에서 분리한 peptide로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약물이므로 천연물로부터 제2형 당뇨병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을 발견할 가능성은 매우 높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 SCOPUSKCI등재
      •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느릅나무 추출물의 C2C12 세포사멸 억제 효과

        박선민 ( Sunmin Park ),권예은 ( Yeeun Kwon ),김태희 ( Tae-hee Kim ),정영환 ( Young Hwan Jeong ),최선은 ( Sun Eun Choi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2

        노화 또는 운동 부족, 질병 등으로 나타나는 근력저하로 인해 운동 능력이 감소하고 이는 많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느릅나무 추출물이 근육모세포인 C2C12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과산화수소 처리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시료는 느릅나무 뿌리 60% 주정추출물(UR), 느릅나무 수피 60% 주정추출물(UBC), 느릅나무 고함량 추출물(USCFR) 3가지로 실험하였다. 각 시료가 C2C12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실험은 무처리한 세포의 생존율을 100%로 설정하였다. 3개의 시료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산화수소로 세포 사멸을 유도하였을 때 나타나는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실험에서는 과산화수소 처리를 하지 않았을 때의 손상율을 100%로 설정하였다. 모든 시료에서 과산화수소만 첨가하였을 때보다 각각의 시료도 추가로 첨가하였을 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시료는 모두 10μg/㎖, 50μg/㎖, 100μg/㎖의 농도에서 실험하였다. UR은 39.7±0.1%, 43.4±0.8%, 49.8±2.5%의 효과를 보였고 UBC는 40.7±1.3%, 50.9±0.9%, 52.6±1.6%로 증가하였다. USCFR은 35.5±0.8%, 36.6±0.7%, 44.1±1.7%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결과로 느릅나무 추출물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근섬유세포 사멸의 억제에 효과가 있어 향후 근육감소와 관련된 천연물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개발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진달래 유래 Taxifolin aglycone 고함량 추출물의 모발 성장 촉진 효능

        박선민 ( Sunmin Park ),권예은 ( Yeeun Kwon ),김태희 ( Taehee Kim ),김민석 ( Minseok Kim ),정영환 ( Younghwan Jeong ),최선은 ( Sun Eun Choi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1

        최근 탈모는 단순한 미용 목적이 아니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탈모에 대한 주위 사람들의 부정적인 인식으로 스트레스가 쌓이고 미적인 면에서의 자존감이 하락하여 일상 생활을 지속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러한 탈모의 치료 약물이 시중에 많이 있지만 심혈관계 장애, 피부 자극 등 수반되는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탈모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의 증대와 탈모 환자 증가에 보다 안전한 천연물 유래의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탁시폴린 비당체는 배당체보다 활성이 좋지만 천연에서는 미량으로만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부작용이 없고 효과가 우수한 탈모 억제제의 소재 발굴을 위하여 진달래 추출물에 효소가수분해를 실행하여 고함량의 탁시폴린 비당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진달래 효소분해물에서 taxifolin을 분리정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H2O2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였을 때 taxifolin 비당체의 모유두세포 내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항산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최고 농도에서는 99.77%의 세포사멸억제 효과를 보여 모유두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였을 때, 세포사멸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발모촉진인자 IGF-1과 탈모유발인자 TGF-β에 대한 실험을 한 결과, IGF-1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고 TGF-β의 발현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남성형 탈모의 직접적인 원인인 DHT 생성에 대한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 모유두세포에 테스토스테론을 처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taxifolin 비당체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DHT 생성 억제 효능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향후 진달래 뿌리 유래 taxifolin 비당체가 안전하고 유용한 탈모 관련 의약품 개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기술에 따른 감각 변화가 케이팝 산업에 미치는 영향

        박선민 ( Sunmin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기술의 영향으로 급변한 2000년 이후 대중음악의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기술과 인간, 문화의 상호작용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 대중음악으로 음악 사이트 멜론의 각 시기별 100곡씩, 모두 300곡을 사례분석 하였으며 이론적 배경으로는 키틀러의 이론을 바탕으로 서술하였다. 연구자는 사례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이 달라진 대중음악의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네트워크 발달로 유튜브나 1분 듣기를 통해 곡의 앞부분만을 듣는 향유자들이 많아지면서 멜로디의 핵심이 되는 후렴구를 앞으로 끌어내는 형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주 향유자들이 대부분의 음악을 유튜브로 접하면서 음악과 영상의 일체화를 이끌었다. 셋째, 2000년 이후 음악산업의 결합구조가 눈에 띄게 증가하면서 가수 간 융합양상은 전체의 30%가 넘는 하나의 경향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디지털 기술로 대중의 감각 또한 변화했음을 알 수 있는 유의미한 결과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music since 2000, which has rapidly changed due to the influence of digital technology, and to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technology, humans, and culture through thi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Korean popular music, 100 songs for each period of Melon, a total of 300 songs, and based on Kittler’s theor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the researcher was able to derive the following changed characteristics of popular music. First,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network, as more and more people enjoy listening to only the front part of the song through YouTube or one-minute listening, a change in the form of bringing out the chorus, which is the core of the melody, has emerged. Second, most of the music was accessed through YouTube, leading to the integration of music and videos. Third, as the combination structure of the music industry has increased noticeably since 2000, the convergence pattern between singers has become a trend of more than 30% of the total. This change can be said to be a significant result of showing that the public’s sense has also changed due to the influence of digital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