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피커 속 ‘지식IN’: 보이스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설계

        박상아(SangAh Park),조수빈(Soobin Cho),이윤영(Yoon Young Lee),이중식(Joongseek Lee)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특정 집단 및 도메인의 지식을 축적하거나, 사용자들이 정보를 직접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지식 공유 서비스는 아직 스마트 스피커에서 시도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스피커의 지식 공유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지적 지식의 교류가 필요한 코리빙 하우스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질의응답 서비스를 고안하였다. 프로토타입은 대화 매니지먼트, 대화 디자인, 지식베이스의 세 가지 수준에서 가이드라인을 두고 제작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19명의 코리빙 스페이스 거주자에게 Wizard of Oz (WoZ) 및 프로토타입 배포를 진행하여 사용 기록을 수집하고,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정보 검색 및 공유 단계를 모두 사용한 경우가 총 사용량의 80%였으며, 인터뷰 결과 대화 내 사회적 단서와 제공되는 지식 범위에 대해 대다수의 참가자가 만족하였다. 이를 통해 스피커 내 지식 공유 서비스는 분류 체계를 우회한 직접 검색 및 음성 정보의 전략적 활용이 가능함을 도출하였으며, 문제 상황으로서 사용 환경의 한계와 즉각적 정보 요구에 대한 부담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스마트 스피커에서 시도되지 않았던 지식 공유 및 참여형 서비스를 새롭게 제시한다.

      • KCI등재

        국내 남성복에 나타난 색채 및 배색특성에 대한 연구

        박상아(sangah Park),양수현(soohyun Yang),방민서(minseo Bang)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1

        본 연구는 국내 남성복의 트렌디한 색채 특징을 분석하고 배색특징을 시즌별과 연도별, 아이템별로 살펴봄으로써 배색트렌드를 파악하여 남성복 색채기획의 기초가 되는 실증적인 대표 색채 정보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2011 S/S부터 2012 F/W까지 서울컬렉션에서 참가한 남성복 브랜드 15개로 한정하고 컬렉션 사진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대상의 선정기준으로 상의와 하의 구성의 2pcs, 상의와 하의, 아우터 3pcs의 아이템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남성복 컬렉션의 색채 특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적인 색상 분포의 특성은 무채색의 비중이 높다는 것이다. 시즌별로는 S/S가 F/W보다 고명도의 색채의 비중이 높은 계절적인 특징을 보였다. 연도별로는 2012년도에 다른 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PB가 많이 활용되었다. 색조와 무채색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컬렉션의 색조 분포는 무채색과 회색조가 높게 나타났으며, 계절별로는 S/S보다 F/W에 저명도 색채 비중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연도별로는 2012년도에 무채색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특징을 보였다. 국내 남성복 컬렉션을 색상 중심으로 배색 특성을 분석한 결과, 비교적 고른 색상 분포를 나타냈다. 시즌별, 연도별에 차이가 있었으며, 아이템별로는 2pcs에서 대조색상 배색, 3pcs는 동일색상 배색의 경향을 보였다. 색조를 기준으로 한 배색을 분석한 결과, 유사색조 배색과 대조색조 배색이 높은 비율을 보여 국내 남성패션에서 이와 같은 배색이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이템별로 2pcs는 대조색조 배색, 3pcs에서는 유사색조 배색 경향이 있었고, 시즌별, 연도별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이처럼 국내 디자이너 남성복의 경우 시즌별, 연도별, 아이템별로 모두 배색경향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아이템별 특성은 아이템의 수가 적을수록 대조적인 색상과 색조 배색의 활용 빈도가 높았으며, 아이템의 수가 많아질수록 동일, 유사 색상과 색조 배색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rendy colors of men"s wear in Korea and observe the color scheme characteristics by season, year, and item to identify the color scheme trends and propose empirical and representative color information that can serve as the basis for color planning in men"s wear. The study limited the subject to 15 brands of men"s wear that were part of the Seoul Collection from 2011 S/S to 2012 F/W and gathered photo data of the collection. As the selection basis for analysis, it consisted of top and bottom 2pcs, top and bottom, and outer 3pcs items. Analysis results of color schem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men"s wear collection are as follows. There was a higher ratio of achromatic colors for the overall color scheme. By season, there was a seasonal characteristic of higher proportion for brighter colors in S/S rather than F/W. By year, PB was used much more in 2012 in comparison to other year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one and achromatic color distribution, the collection"s tone distribution showed a higher ratio of achromatic and greyish colors, while by season, F/W showed a characteristic of having higher proportion of less brighter colors than S/S. By year, 2012 showed characteristic of having higher proportion of achromatic colors in comparison.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color scheme characteristics focused on colors of domestic men"s wear collection, a fairly even color distribution was shown. Differences did exist by season and year, while for item, trends of contrast color schemes were seen in 2pcs and same color schemes in 3pcs.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color schemes based on tones, there was higher proportion of similar tone and contrast tone color schemes, which showed such color schemes were being widely used in domestic men"s wear fashion. By item, 2pcs showed trends of contrast tone color scheme while 3pcs showed trends of similar tone color schemes, and there were also differences by season and year. Thus, the results showed there were varying trends of color schemes by season, year, and item for domestic designer men"s wear. Characteristics by item, in particular, showed contrasting color and tone color schemes being used more often when there were in 2pcs items, while same and similar color and tone color schemes were being used more often when there were in 3pcs items.

      • “대체가 아닌, 새로운 뱅킹”: 사용자-기계 대화를 통한 은행 서비스의 VUI 유즈 케이스 탐색

        류명균(Myeonggyun Ryu),박상아(Sangah Park),유지수(Jisu Ryou),이중식(Joongseek Lee)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은행의 새로운 채널로 VUI(Voice User Interface)가 대두되고 있다. 현재 은행의 VUI 접근 방법은 기존 모바일 기능을 음성 인식으로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모바일 기능을 음성으로 대체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다. 상호작용 방식이 변하면 사용자의 니즈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기계 대화를 통해 은행 서비스의 VUI 유즈 케이스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조사를 진행했다. 첫 번째 조사에서는 참가자들(n=12)에게 금융 활동을 유발하는 장면을 보여주며 WoZ(Wizard of Oz) 방식을 통해 유즈 케이스를 도출했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 스피커에서 작동되는 은행 서비스 프로토타입을 제작했다. 두 번째 조사에서는 도출된 유즈 케이스를 검증하기 위해 참가자(n=10)들에게 프로토타입 사용을 요청하였다. 조사를 통해 세 가지 결과를 얻었다. 1) 사용자는 이체, 조회와 같은 가벼운 은행 업무를 원했고, 2) 지출 요약 또는 비교와 같은 계산을 동시에 요청하였으며, 3) 캐주얼한 대화로 금융 전반에 대해 조언을 얻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VUI 기반 은행 서비스의 유즈 케이스가 기존과 다름을 밝혀 냈고, 프로토타입을 활용하여 VUI 유즈 케이스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교사의 소명의식,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의 관계: 소명실행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수란 ( Suran Lee ),박상아 ( Sangah Park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論叢 Vol.55 No.-

        본 연구는 교사의 소명의식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 때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또한, 소명의식이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통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소명실행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중등교사 35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결과, 소명의식은 직무만족을 정적으로 예측했고 이는 낮은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의해 부분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관계는 소명실행 수준에 따라 조절되었다. 소명실행 수준이 높을 때는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약화된 반면 소명실행 수준이 낮을 때는 낮은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간접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점, 제한점 및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ow interpersonal stress as a mechanism by which calling affects job satisfaction.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living a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59 secondary school teachers via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calling positively predicts job satisfaction, which was partially mediated by low interpersonal stress. Also, when the level of living a calling was high, the negative effect of interpersonal stress on job satisfaction was weakened,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living a calling. Besides,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tress between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was moderated by living a calling, suggesting that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was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 “스마트 스피커는 1인 가구의 ‘심심이’가 될 수 있을까?”: 1인 가구의 스마트 스피커 사용에 대한 탐구

        조수빈(Soobin Cho),이윤영(Yoonyoung Lee),박상아(SangAh Park),이중식(Joongseek Lee)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국내에서 꾸준히 증가하는 1 인 가구의 문제점 중 하나는 외로움이며, 1 인 가구는 이를 스마트폰, TV 등의 기기를 통해 해소하고 있다. 스마트폰이나 TV 와 달리, 스마트 스피커는 음성 대화를 통해 사용자가 기기 자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담소와 놀이를 포함한 1 인 가구의 스마트 스피커 전체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1 인 가구를 위한 대화형 놀이 상대로서 스마트 스피커의 가능성을 탐구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1 인 가구 19 명에게 스마트 스피커를 배포하고 6 주 간의 사용기록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이후 스피커와 활발히 상호작용한 참가자를 대상으로 스피커에 대화를 시도한 동기와 좋았던 점 및 안 좋았던 점에 대해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6 주 간 총 2491 개의 명령이 입력되었으며, 그 중 약 3.89%인 97 개의 명령이 담소와 놀이를 위한 명령이었다. 사용자들은 특별한 동기 없이 스피커와 대화를 시도했으며 스피커의 답변 패턴이 파악되자 담소와 놀이를 이어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존에 탐구되지 않은 1 인 가구의 스마트 스피커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1 인 가구를 위한 대화형 놀이 상대로서 스마트 스피커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