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리눅스 클러스터기반 유전자서열분석 병렬처리 모형 개발 및 성능 검증

        박미화(Mi Hwa Park),김재우(Jae Woo Kim),춘구(Chungoo Park),유승식(Seung Sik Yoo)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A

        Human Genome Project와 같은 대형 Sequencing 프로젝트와 High-throughput Sequencing 기술의 발전으로 현재 Expressed Sequence Tag(EST)와 같은 대량의 DNA 서열들이 생산되고 있다. 이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대부분의 실험자들의 서열 분석을 위해 우선적으로 BLAST 검색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대량의 서열, 검색 DB의 크기, BLAST 검색 결과의 복잡성에 의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빠르고 정리된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BLAST 검색 시스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미국생명공학연구소(NCBI)에서 제공하는 유전자 서열 검색 툴인 BLAST(Basic Logical Alignment Tool)를 클러스터수퍼 컴퓨터 구축 기술을 기반으로 한 병렬처리와 Gene Ontology를 이용하여 방대한 양의 서열 검색 결과를 요약하는 모형을 제시한다. 이것은 신약개발 및 유전자 발굴 등의 연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신약 개발, 농업, 화학, 의료, 환경 등 생명공학 연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성능 실험을 통하여 분석결과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는 병렬처리모형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족학교 음악교재에 반영된 다문화 내용 분석 연구

        박미화(Park, Mi Hwa)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6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조선족학교 음악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새로운 음악교육과정에서 반영된 다문화적 내용은 어떠한지, 이러한 다문화적 관점을 교과서에서 얼마나 충실히 다루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바람직한 음악교과서의 개선 방향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족학교 음악교육은 초, 중학교를 통합한 “의무교육 음악과정표준”에 준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음악과정의 내용은 감수와 감상, 표현, 창조, 음악과 관계되는 문화 등 4개 영역으로 나누었으며 각 영역별 내용 표준에서는 다양한 나라와 민족의 음악문화를 체험하도록 하는 다문화적 내용 요소들이 반영되어 있었다. 둘째, 교과서에 수록된 민요곡 수는 전체 게재곡의 13.17%의 극히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조선 민요는 외국 민요에 비해 5.9% 더 높은 차이를 나타냈으며, 수록된 민요들은 대부분 아세아와 유럽의 곡들에 편중되어 있었다. 세계의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을 체험할 수 있도록 많은 나라와 지역의 민요를 고르게 수록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교과서는 악곡선정 취지에서 다문화적 내용 요소와 활동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다른 문화를 이해시킬 수 있는 관련 자료들이 수록되어 있지 않았다. 보다 효율성이 있는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교과서에 민요의 배경, 그 지방의 특징 및 역사성과 관련된 설명을 좀 더 상세하게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essay aims to view the situation of Chinese Korean musical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e reflected by the musical education, and analyze the degree of multi-culture embodying in music textbooks to contribute to musical textbook improvement. The consequence of this essay as follows. First, the Chinese Korean musical education includes junior high school musical education and senior high school musical education. And the content includes four aspects, such as appreciation, presentation, creation and the culture about music. Every aspect asks for the cultural experience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nationalities which could reflect the multi-culture. Second, the folk music in textbooks accounts for 13.17%, a all this musical form. The Koreanfolk music accounts 5.9% more than foreign folk music, and most of them from Asia and Europe. All of different music should be included in order to experience different folk music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nationalities. Third, the textbooks just include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multi-culture, but don’t include the relative information of multi-culture. The textbooks should include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the historical explanations of the folk music in order to make the multi-culture education more effectively.

      • KCI등재

        악교정 수술후 근주와 자가통증조절장치(PCA)의 제통효과 비교

        박미화(Mi-Hwa Park),김재현(Jae-Hyun Kim),백상흠(Sang-Heum Baek),차두원(Duwon Cha),이상한(Sang-Han Lee)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5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31 No.3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has been widely used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in medical surgery parts. Conventional intramuscular analgesia(IMA) is also effective in postoperative pain control, but it has some disadvantages that depend on patients’perception of pain and the anxiety that they endure caused by the delay of the injection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icacy and postoperative outcomes of intravenous PCA compared to IMA injections in 36 patients (BSSRO). Three factors were compared: amount of pain in PCA and IMA group ; amount of pain according to the sex in PCA and IMA group and the amount of pain according to the analgesia use. Results of this study did not demonstrat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ny of these, using a p value of 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VAS pain score between IMA group and PCA group.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x.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PCA. The history of PCA is about 30 years and many literatures have reported about its effects, complications, method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So,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of small sample size to conclude the effects of PCA. But when the decision about the method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has to be made, it should be made based on patient or physician preference and cost factors rather than on the trend.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발효 중인 양조식초에서 분리한 고산도 초산균의 생육특성

        박미화(Mi-Hwa Park),류동규(Dong-Kyu Lyu),류충호(Chung-Ho Ryu)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3

        양조식초발효탱크에서 9% 이상의 고산도 초산 생성균을 분리하여 그 균주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분리된 초산균은 AE중층 한천배지에서 연한 베이지색의 colony를 형성하였고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간균, Gram 음성의 세균으로 flagella가 관찰되지 않아 운동성이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배양액을 검경한 결과 분리균은 단일균 또는 2개가 짝을 지어 있는 쌍구균임을 알 수 있었다. 이 분리균주의 최적 생육온도와 pH는 30℃와 2.7이었다. 4~8% 초산을 함유한 AE배지에서 잘 생육하였고 pH 2.5의 초산을 첨가한 배지에서 잘 생육하였으나 초산을 첨가하지 않은 AE배지에서는 생육하지 않았다. Glucose를 이용하여 2-, 5-ketogluconate를 형성하였다. Ethanol 존재 하에서는 잘 생육하였으나 lactate 존재 하에서는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cellulose를 생성하지 않았다. HPLC로 분석한 DNA 염기 중의 G와 C 함량(mol%)은 56.2 mol%이었다. 분리된 초산균은 탄소원으로 fructose, maltose, sucrose, mannitol, sorbitol을 첨가한 배지에서 잘 생육하였고 AE액체배지에 ethanol을 첨가하였을 경우와 propanol를 첨가한 경우 모두 잘 생육하였다. 생화학적 특성 및 G와 C 함량을 다른 표준균주들과 비교한 결과 분리된 균주는 Gluconacetobacter europaeus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cetic acid bacteria have been isolated from running high-acid vinegar fermentation. The color of the isolated colony was beige-yellowish. Isolated cell was rod-shaped, small, pale, absolutely aerobic and gram-negative. Microscopically the cells appeared as non-motile and non-flagellated, preferentially occuring in pairs.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culture were 30℃ and 2.7, respectively. The strain was able to grow in the presence of acetic acid, ethanol and glucose. Ethanol was oxidized to acetic acid which was not oxidized any more. The isolated strain utilized glucose, fructose, maltose, sucrose, mannitol and sorbitol as carbon source. Cellulose formation was not detected on bouillon. The DNA (G+C) content of isolated strain was determined to be 56.2 mol%. The strain isolated from industrial vinegar fermentation was identified as Gluconacetobacter europaeus.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장애학생 지도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적 수정 실행 분석

        박미화 ( Mi Hwa Park ),송명숙 ( Myong Suk S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장애학생 지도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를 파악하고, 두 변인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특수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 42개교의 통합학급 담임교사166명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를 묻는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전반적으로 보통수준이었다. 둘째,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교수적 수정 실행은 물리-사회적 환경조성이 보통 수준으로 실행되고 있고, 교수내용 및 방법수정은 보통이하로 실행하고 있었다. 셋째,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실행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학급 담임교사에게 장애학생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연수와 장애학생을 접하고 지도해볼 수 있는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통합학급 운영을 위해 특수교사와의 협의를 자주 가질수 있도록 그리고 협력교수를 실행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준다면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높아질 것이며, 수업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교수적 수정의 실행정도를 높일 수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elf-efficacy of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describe their performance of the instructional adaptations for teaching.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166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drawn from 42 elementary schools which had inclusive classrooms integrating non-regular students into a regular classroom. A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It was the first conclusion that the level of self-efficacy among inclusion classroom teachers was neither high nor low. Second, the level of adapting to the physical-social environment was at the average; however the level of adapting to their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was below the average. Third, the level of the self-efficacy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at of the instructional adaptations. Ergo, in order to enhance the level of self-efficacy of the inclusion classroom teache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with various in-service training, the opportunities to contact and teach disabled students, and the chances for the teachers to discuss with special teachers for management of inclusive classrooms. Therefore, to the augment quality of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usage, it is required to have certain conditions that can buttress the teachers’ initiation of using the collaboration teaching method.

      • KCI등재

        집합금지명령 등에 따른 상가건물임대차계약의 위험부담 - 임차인과 임대인의 형평성을 중심으로 -

        박미화(Park, Mi Hwa),종찬(Park, Jong Cha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東亞法學 Vol.- No.93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정부의 방역 조치인 ‘집합금지명령 등’으로 영업이 정지된 기간에는 상가건물의 임대인이 임대료를 청구할 수 없는가의 물음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일부 학설은 민법의 ‘급부불능으로 인한 위험부담’ 이론을 적용하여 임차인의 임차료 부담을 줄이려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집합금지명령 등으로 임차인의 영업이 정지된 상황을 임대인의 급부불능으로 보는 것과 임대인이 임대료를 청구할 수 없다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 왜냐하면 ‘방해제거의무’는 ‘상가건물 자체’의 직접적 사용과 관련한 ‘사용․수익할 상태 유지’라고 보아야 하고, 이와 별개의 행정조치로 인한 간접적 영향으로 인한 문제까지도 임대인의 급부의무에 포함하여 급부불능을 도출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배관리영역관점에서 볼 때도 집합금지명령으로 인한 영업정지 기간에도 임차목적물을 여전히 임차인이 ‘직접 지배하면서 사용 중’이므로 임대인의 급부불능을 인정할 수 없다. 한편 임대인의 급부불능으로 인한 위험부담 원칙을 인정하거나 일명 ‘임대료 멈춤법(안)’이 제정되어 시행된다고 하더라도, 현실적으로 구체적인 상황에서 개별 사례를 증명하는 등, 그 충족요건과 관련하여 소송 등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경제적․시간적․정신적 비용이 더 클 것이다. 나아가 집합금지명령 등으로 영업이 정지된 기간을 임대인의 급부의무 불능으로 보아 임대인이 임대료를 청구할 수 없다는 것은 헌법상 재산권 침해라는 주제의 헌법재판을 양산할 것이다.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의 피해에 대한 대책으로 임차인 보호 정책에 동의하지만, 임대인의 책임이 없는 희생을 강요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임차인과 임대인 양자의 법적 형평성을 고려해야 함을 강조한다. Recently, it has been active discussed whether lessors of commercial buildings are unable to claim their fees during the period when lessees" operations were suspended because of the government"s quarantine measures such as “prohibiting gathering of people” due to the coronavirus. The academic community is also discussing ways to reduce the burden of rent on lessees by applying the private law “Burden of Risk Due to Frustration.” However, I don"t agree that the lessor cannot claim the rent because of a situation in which the lessee"s operation has been suspended in view of frustration of the lessor. This is because even if the obstruction obligations include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lessee"s ability to use and make a profit, the obstruction obligations should be considered only a “maintenance of use and revenue”associated with the direct use of the commercial building itself, and frustration should not be derived from the lessee"s obligation, which includes problems caused by indirect administrative measures for lessors.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trol area, the lessee"s frustration should not be recognized because the lessee is still “directly controlling and using” the objectives even during the suspension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economic, time, and psychological costs required to resolve disputes would be fairly high due to litigation to prove individual cases, even if the principle of the burden of risk due to frustration is acknowledged and so-called “Rent stop COVID-19” is enacted. Furthermore, if the period of suspension due to a restraining order is considered a frustration of the lessees, this will result in too many constitutional trials in which it is argued that the measure is an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s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Law. As a measure against damage from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we agree to the tenant protection policy, but we should not force the landlord to make sacrifices that are not responsible. Emphasizes the need to consider the legal equity of both the lessee and the lessor.

      • SCOPUSKCI등재

        전나무 잎 추출물이 알코올 대사 효소활성과 H₂O₂ 및 에탄올로 유도된 HepG2 세포에서의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박미화(Mi Hwa Park),최영주(Young Ju Choi),김윤세(Yoon Se Kim),정경임(Kyung Im J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1 No.6

        본 연구에서는 전나무 잎 추출물이 알코올 분해 활성(ADH, ALDH)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H₂O₂ 및 알코올로 손상된 간세포의 apoptosis 과정에서 전나무 잎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H₂O₂와 에탄올을 이용하여 HepG2 인간 간암 세포주에 산화스트레스를 유도한 후 항산화 효과와 간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알코올 분해의 1차 효소인 ADH 활성과 1차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하는 ALDH 활성에 대한 전나무 잎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 두 가지 효소 모두 전나무 잎 추출물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1 mg/mL 농도에서의 ADH 및 ALDH 활성은 각각 155.53% 및 130.89%로 나타났다. 산화적 스트레스 및 알코올성 간 손상으로부터 전나무잎 추출물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H₂O₂ 및 에탄올로 스트레스를 유도한 HepG2 세포에 전나무 잎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H₂O₂ 및 에탄올 단독 처리구에 비해 세포생존율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H₂O₂ 및 에탄올로 유도된 HepG2 세포의 ROS level은 전나무 추출물에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전나무 잎 추출물이 H₂O₂ 및 에탄올로 유도된 HepG2 간세포의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Bax, Bcl-2 및 caspase-3 유전자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H₂O₂ 및 에탄올로 처리된 배지에서 배양한 HepG2 세포에서의 pro-apoptotic gene인 Bax 유전자 발현은 증가하였으나 전나무 잎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발현이 감소하였다(P<0.05). 또한 H₂O₂ 및 에탄올로 처리된 배지에서 배양한 HepG2 세포에서의 anti-apoptotic gene인 Bcl-2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H₂O₂로 간 손상을 유도했을 때 Bcl-2의 발현은 전나무 잎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으나(P<0.05), 에탄올로 간독성을 유도했을 때는 전나무 잎 추출물 처리에 의한 발현량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Caspase-3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H₂O₂ 및 에탄올로 간독성을 유도했을 때는 발현이 증가했으며, 전나무 잎 추출물 처리 시 발현을 감소시켜 산화적 손상 및 apoptosis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전나무 잎 추출물은 알코올 분해 활성과 함께 산화적 스트레스 및 알코올성 간독성으로 인한 ROS level을 낮추고 산화적 스트레스 및 알코올에 의한 apoptosis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간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Abies holophylla leaf extract on the alcohol metabolism enzyme activity and against H₂O₂ and ethanol-induced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s. The effect of Abies holophylla leaf extract on alcohol metabolism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generation of reduced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H) by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DH and ALDH activities of Abies holophylla leaf extract wer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P<0.05), and were determined to be 155.53% and 130.89% at 1 ㎎/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Exposure to the Abies holophylla leaf extract resulted in decreased levels of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in H₂O₂ and ethanol-induced HepG2 cells (P<0.05). Moreover, H₂O₂-induced HepG2 cells treated with the Abies holophylla leaf extract showed reduced expression of the pro-apoptotic protein Bax and increased expression of the anti-apoptotic protein Bcl-2 (P<0.05). Furthermore, Abies holophylla leaf extract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Bax in ethanol-induced HepG2 cells (P<0.05). However, the protein expression of Bcl-2 remained unaltered. Treatment with the Abies holophylla leaf extract also reduced the caspase-3 protein expression in H₂O₂ and ethanol-exposed HepG2 cells. In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Abies holophylla leaf extract exerts a cytoprotective effect against H₂O₂ and ethanol-induced cell damage. We believe that the Abies holophylla leaf extract has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a natural hepatoprotective agent.

      • KCI등재

        고품질 산머루 와인 제조를 위한 Tannin 강화 조건 확립

        박미화(Mi-Hwa Park),이정옥(Jeong-Ok Lee),김은정(Eun-Jung Kim),김종원(Jong-Won Kim),이효형(Hyo-Hyung Lee),김희훈(Hui-Hun Kim),이상인(Sang-In Lee),김영훈(Young-Hun Kim),류충호(Chung-Ho Ryu)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7

        국내산 산머루 와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와인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능성 인자인 tannin 성분을 강화시키기 위한 조건을 확립하고 tannin이 강화된 산머루 와인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머루 와인용 tannin을 강화하기 위한 최적 tannin 추출 조건은 녹차를 40℃에서 주정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높은 추출율을 나타내었다. 고품질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 제조를 위한 tannin 첨가 최적 농도는 6.5 ㎎/mL이며 산머루 와인 발효 전에 첨가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생각되어 산머루 와인 제조 시 발효 전 최종 tannin 농도를 6.5 ㎎/mL로 조절하여 발효하였다. 최적 발효 조건으로 제조된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의 pH, 산도, 알코올 함량, 총당, polyphenol, tannin 및 resveratrol 함량을 측정하고 수입 와인 3종과 품질 특성을 비교한 결과,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은 pH 3.69±0.01, 산도 0.96±0.01%, 알코올 함량 12.20±0.01%, 총당 60.00±1.15 ㎎/mL, polyphenol 함량 79.50±0.55 ㎎/mL, tannin 함량 7.40±0.05 ㎎/mL 및 resveratrol 함량 5.00±0.11 ㎎/mL로 기능성 물질 함량이 매우 높아 품질이 우수하고 단맛, 떫은맛과 산머루 자체의 강한 신맛이 균형을 이룬 산머루 와인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색된 조건으로 tannin을 추출하여 산머루 와인의 tannin을 강화함으로써 기존의 산머루 와인에 비해 단맛과 떫은맛이 강화되었으며, 머루 자체의 강한 신맛과 잘 어우러져 고급 와인의 평가 기준이 되는 단맛, 떫은맛, 신맛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룬 고품질의 산머루 와인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Wild grapes contain lots of organic acids, vitamins and inorganic salts compared to other fruits. Also, it has known to have excellent effects on preventing cancer and heart disease. Wild grapes are supposed to be superior material for fermentation of wine. Tannin contents of wine, which is an important functional factor in flavor of wine, were enhanced to develop quality of Korean wild grape win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annin extraction conditions and analyzed quality properties of tannin-enhanced wild grape wine. The most suitable tannin extraction condition for enhancing tannin of wild grape wine was extraction of tannin from green tea using spirits at 4oC. For producing high quality wild grape wine, added concentration and time of tannin extract were 6.5 ㎎/mL before wild grape wine fermentation. Tannin contents of tannin-enhanced wild grape wine was 7.4±0.05 ㎎/mL. Quality properties of tannin-enhanced wild grape wine fermented under optimized fermentation conditions were analyzed. pH, acidity and alcohol contents were 3.69±0.01, 0.95±0.01% and 12.2±0.03%, respectively. Total sugar, tannin, polyphenol and resveratrol contents of tannin-enhanced wild grape wine were 60.00±1.15 ㎎/mL, 79.50±0.55 ㎎/mL, 7.40±0.05 mg/mL and 5.00±0.11 ㎎/mL, respectively showing significantly higher value than that of commercial wine. Production of high quality wild grape wine is expec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 and tannin-enhancing process of wild grape w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