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상장주식거래 플랫폼이 기업 가치와 기업지배구조에 미치는 영향

        박대현(Daehyeon Park),류두진(Doojin Ryu) 한국증권학회 2020 한국증권학회지 Vol.49 No.4

        본 연구는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비상장주식거래 플랫폼의 현황과 기대효과를 개괄적으로 제시하고, 이에 대한 이론모형을 설계하여 해당 플랫폼의 활성화가 비상장기업의 자본투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비상장기업의 가치가 급등함에 따라 관련 주식의 거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자 국내외에서 비상장주식 거래를 전문적으로 중개하는 플랫폼이 활성화되고 있다. 해당 플랫폼은 비상장주식거래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춤으로써 비상장주식거래의 유동성을 높이고 있다. 주식거래의 유동성이 증가하면 거래대상 기업은 자본조달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기업 가치와 기업지배구조도 개선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장미시구조 모형을 바탕으로 비상장기업의 지배구조가 창업주, 지배대주주, 경영자가 일치하는 형태임을 고려하여 비상장주식거래 플랫폼 도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모형을 설계한다. 비상장기업의 경우, 대주주인 경영자가 외부 주주의 이윤이 극대화되는 수준에 비해 적게 투자할 유인이 있는 이중 대리인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비상장주식거래 플랫폼이 활성화되어 유동성이 높아질 경우, 외부 주주의 이윤을 극대화하는 수준까지 장기투자를 늘릴 유인이 생긴다. 이는 비상장주식거래 플랫폼이 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성장을 촉진할 수 있음을 함의한다. This study presents a theoretical model to analyze the effect of private equity trading platforms, which have recently experienced rapid growth, on the investment decisions of unlisted companies. As the value of unlisted companies has soared, demand for these stocks has increased. Accordingly, platforms for the brokerage of private stock transactions are being activated. We find that these platforms increase the liquidity in the unlisted stock market by easing regulations on trading of these stocks, further enhancing the firm values and corporate governance of the corresponding firms. In addition, a significant number of unlisted companies are family-owned, in which a manager is also a blockholder. Our study therefore constructs a framework based on a market microstructure model to analyze the impact of unlisted stock trading platforms. In the case of an unlisted firm, a potential dual agency problem exists where the manager, who is also a blockholder, invests less than the external shareholders’ profit-maximizing levels. We find that managers have the incentives to increase firms’ investment when the liquidity in the unlisted stock market improves with the growth of the private equity trading platform, implying that these platforms potentially enhance corporate governance of unlisted companies and promote their growth.

      • KCI등재

        기계학습 기반 주택시장의 조기경보체계

        박대현 ( Daehyeon Park ),김정환 ( Jeonghwan Kim ),류두진 ( Doojin Ryu ) 한국부동산원 2021 부동산분석 Vol.7 No.1

        This study proposes an early warning system for risks of the housing market based on machine learning models. We adopt a signal approach to detect the housing market risk and establish the early warning system using classification methods. Considering the moment when the housing market falls into recession as a warning signal, we set the signal as the price which is more than the sum of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upcoming prices. The detected signals are consistent with empirical observations in the Korean housing market. We select the best performing function among classification models for machine learning which predicts a warning signal. As a result of an intercomparison of models including the logistic regression, the support vector machine, the random forest and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with the use of inputs such as housing price indices, macroeconomic variables and other housing market variables, we find that the random forest demonstrates the highest prediction performance. Our early warning system yields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relevant detection of price fluctuations in the housing market.

      • KCI등재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보험시장의 정보비대칭 해소방안: 의료정보공유와 보험사기 예방을 중심으로

        박대현(Daehyeon Park),류두진(Doojin Ryu) 한국증권학회 2019 한국증권학회지 Vol.48 No.4

        블록체인 기술은 정보의 신뢰성과 보안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정보의 기록과 관리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은 정보관리의 탈중개화와 스마트계약을 활용한 거래의 자동화를 통해 보험시장을 효율화할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정보비대칭 해소를 통한 보험시장 개선에 관한 학술적 논의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블록체인을 보험시장에 적용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정보비대칭 해소 효과를 의료정보공유와 보험사기감소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블록체인 기술은 보험회사가 피보험자의 의료정보를 의료기관으로부터 직접 획득하게 해줄 뿐 아니라,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스마트계약은 피보험자가 의료정보를 위조할 기회를 없앰으로써 보험사기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의료정보가 자동으로 블록에 기록되어 의료공급자의 정보조작을 제한함으로써 피보험자와 의료공급자가 공모하는 형태의 보험사기도 일부 예방할 수 있다. Blockchain technology is mainly analyzed in terms of efficient insurance transactions with real-time transparency and smart contracts. However, little academic research has focused on reducing information asymmetry in the insurance market and preventing insurance fraud using blockchain technology. This study theoretically suggests that the adop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reduces information asymmetry in the health insurance market by enabling market participants to share medical information effectively and safely. Blockchain technology partially prevents soft insurance fraud by sharing medical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automatically filing insurance claims. Smart contracts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prevent insurance fraud by eliminating the opportunity for the insured party to make false claims. In addition, blockchain technology prevents collusion between insured parties and providers because it can limit information manipulation by automatically recording medical information in blocks.

      • KCI우수등재

        공유경제 플랫폼과 독점력 전이

        박대현(Daehyeon Park),김이정(Yijung Kim),이윤지(Yunji Lee),류두진(Doojin Ryu) 한국경영학회 2020 經營學硏究 Vol.49 No.2

        The cross-network externalities of sharing economy platforms create a risk of monopoly transfers through tying.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the form of transfers of monopolistic power through tying in the sharing economy and presents policy suggestions. This study extends the Hotelling model to analyze the market for a sharing economy platform and provides a model that reflects the matching probability under the assumption that matching between consumers and suppliers is important in the sharing economy. The analysis shows that if consumers’ transportation costs for each platform are small, the monopolistic transfer phenomenon occurs, in which a platform with a large number of initial subscribers monopolizes the market, but if transportation costs are large enough, such a monopoly transfer does not occur. If the overall market has a greater preference for a particular platform, the initial number of subscribers that causes the monopoly transfer varies. Thus, regulatory criteria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ransportation costs and preference. Regulations on sharing economy platforms should be approached with expertise under the new market condi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well as with traditional classical industrial organizational theory. Using the joint regulation method, this study suggests a direction in which subjects can help expand their expertise to the establishment of a regulatory system within the scope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보험시장의 정보비대칭 해소방안 - 의료정보공유와 보험사기 예방을 중심으로 -

        박대현 ( Daehyeon Park ),류두진 ( Doojin Ryu ) 한국금융소비자학회 2019 한국금융소비자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1

        블록체인 기술은 정보의 신뢰성과 보안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분야의 정보관리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은 정보 관리의 탈중개화와 스마트계약을 활용한 거래의 자동화를 통해 보험시장을 효율화할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정보비대칭 해소를 통한 보험시장 개선에 관한 구체적인 논의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블록체인을 보험시장에 적용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정보비대칭 해소 효과를 의료정보공유와 보험사기 감소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블록체인 기술은 피보험자의 의료정보를 보험회사가 의료기관으로부터 직접 획득하게 해줄 뿐 아니라 스마트계약을 활용해 피보험자가 의료정보를 위조할 기회를 없앰으로써 보험계약사기와 연성보험금사기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경성보험금사기의 경우에는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보험계약정보 공유를 용이하게 하는 방식으로 보조적으로 블록체인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활용 방안은 법률 개정이 필요하며, 네트워크 외부성의 특징을 갖기 때문에 정부가 주도하여 형성할 필요가 있다. The blockchain technology is used for information management in various fields because it can enhance the reliability and security of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This technology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way to streamline the insurance market through disintermediation of information management and automation of contracts using smart contracts, but there is little specific discussion on improving the insurance market through information asymmetric resolutio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information asymmetry resolution effect which can be expected when applying the block chain to insurance market, focusing on medical information sharing and reducing insurance fraud. The blockchain technology not only allows insurers to obtatin medical information directly from medical institutions, but also uses smart contracts to prevent insurance contract fraud and soft insurance fraud by eliminating the opportunity for counterfeiters to falsify medical information. In the case of a hard insurance fraud, the block chain can be supplementarily used in a way that facilitates the sharing of insurance contract information for big data analysis. These blockchain networks require legislative amendments and are characterized by public property and network externality, and therefore need to be led by the government.

      • KCI등재

        OCIO 시장에서의 경쟁: 게임이론의 응용

        박대현(Daehyeon Park),류두진(Doojin Ryu) 한국증권학회 2021 한국증권학회지 Vol.50 No.5

        본 논문은 OCIO(outsourced chief investment officer) 시장에서의 경쟁을 게임이론과 경매이론을 활용해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 경매 모형의 틀 하에서 개별 기금의 OCIO 선정 경쟁을 하나의 경매과정으로 구성한다. OCIO가 기금을 운용하는 방식에 따라 두 가지 경우로 나눠 분석한다. 첫번째 운용방식은 기금별로 전담조직을 구성하여 운용하는 형태이다. 이 경우, 규모가 작은 기금은 전담조직 구성에 필요한 비용으로 인해 OCIO 서비스를 사용할 유인이 적다. 두 번째 운용방식은 OCIO가 여러 기금을 총괄적으로 운용하는 형태이다. OCIO가 여러 기금을 총괄적으로 운용하면 규모가 작은 기금도 OCIO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현재 국내 OCIO 시장은 첫 번째 운용방식과 같이 기금별로 전담조직을 구성하여 OCIO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에 해당한다. 이는 기금형 퇴직연금의 도입이 OCIO 시장의 성장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현재와 같은 OCIO 사업구조가 유지될 경우, OCIO 시장의 규모가 급격히 성장하기는 어려우며, 이에 따른 정책과 제도적 보완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mpetition in the outsourced chief investment officer (OCIO) market by utilizing a game-theory approach of multidimensional auctions, which is theoretically identical to the procurement auction system of OCIO selection. Depending on how the OCIO manages the fund, we analyze auctions using two distinct cases. In the first case, the OCIO operates a designated organization for each fund. This case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difficult for small funds to use OCIO services because of the high operational costs. In the second case, the OCIO manages multiple funds collectively, enabling even small funds to use OCIO services. Korea’s OCIO market currently operates according to the premise of the first case, meaning that small private funds are not likely to use the service even if a fund-type retirement pension is introduced. Thus, our conclusion implies that in the current OCIO structure, it is difficult for the Korean OCIO market to grow significantly. Policies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are required.

      • KCI등재

        OCIO의 대리인 문제

        류두진 ( Doojin Ryu ),박대현 ( Daehyeon Park ) 한국금융연구원 2020 금융연구 Vol.34 No.3

        본 논문은 외부위탁운용관리(OCIO; outsourced chief investment officer)와 관련된 계약 기간과 기금의 전문성을 중심으로 OCIO의 대리인 문제를 분석한다. 국내 OCIO의 경우, 대리인 문제로 인하여 해외 OCIO와 비교하여 낮은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지적된다. 본 논문은 OCIO의 기금운용과정에서 나타나는 대리인 문제를 분석하는 모형을 제시하며, OCIO의 계약 기간에 따라 수익성이 증가하고, 기금의 전문성과 OCIO의 위험관리 수준에 따라 재계약 가능성이 변화하는 것을 고려한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 OCIO는 계약 기간이 길수록, 기금의 전문성이 낮을수록 대리인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커진다. 이는 기존 연구의 제안처럼 단순히 계약 기간을 늘려OCIO의 수익성을 개선하려 하면, OCIO가 기금위험관리에 소홀해지는 대리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OCIO의 대리인 문제를 감시하기 위해 기금의 투자 전문성을 일정수준 이상으로 확보한 후, 이에 맞게 계약 기간을 늘려 수익성을 개선해야 한다. 이는 기금과 OCIO 사이의 장기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기금과 OCIO 간 계약과 업무의 효율성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increasing demand and supply for outsourced chief investment officers (OCIOs) in Korea, they are frequently discussed in the literature. Unlike OCIOs in other countries, those in Korea lack institutional efficiency; hence, some problems are being pointed out, such as the provision of low returns by them. Previous discussions define these as an agency problem related to OCIOs. They suggest that the fee system and short contract period cause these low returns and argue that a performance fee should be paid, or contract terms should be extended. However, they overlook OCIOs’ risk management. Even if an OCIO improves revenue, agency problems may arise if risk is not managed adequately. Accordingly, unlik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ssue of OCIOs’ risk management performance. This study provides proof for the argument that improving funds’ expertise is essential. With increased instability and complexity in the financial market, funds are very likely to have limited access to information. Thus, funds use OCIOs’ services because of the high cost of collecting information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ortfolio created by the OCIO according to their own expertise. In these circumstances, we review the impact of the fund’s expertise on the agency problem related to OCIOs. We also consider whether extending the contract period to improve an OCIO’s poor returns could cause agency problems related to OCIOs’ risk management. In this study, we construct a model for analyzing the agency problem related to OCIOs, focusing on the contract period and the fund’s expertise. As the contract period increases and the fund loses its expertise, the OCIO does not manage risk faithfully. However,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contract term to improve profitability. Thus, to prevent agency problems from occurring in the process of improving an OCIO’s returns, the contract period should be extended to an appropriate level after the fund’s expertise has increased. In economics, solutions to agency problems are classified as either proper incentive design or the direct monitoring of agents. We argue that the agency problem related to low returns in the OCIO structure can be solved through incentive design, whereas the problem related to risk management can be solved through monitoring. Increasing the contract term serves as an incentive for OCIOs to improve their returns, and evaluating funds based on an OCIO’s risk management performance induces the OCIO to manage risk. Thus, forging long-term partnerships between OCIOs and funds is essential for resolving agency issues.

      • KCI등재

        산업별 특성과 기업 간 상호작용을 고려한 4차 산업기술기업의 가치평가

        류두진 ( Doojin Ryu ),박대현 ( Daehyeon Park ) 한국금융공학회 2021 금융공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산업별 특성과 기업 간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4차 산업기술기업에 적합한 가치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혁신적인 기술이 주도하는 4차 산업에서는 가변비용보다는 R&D 투자를 포함한 고정비용에 대한 불확실성 요소가 기업가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4차 산업기술은 기존과 달리 융·복합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고정비용에 대한 불확실성을 고려할 필요가 늘어난다. 본 논문에서는 Schwartz and Moon(2000, 2001)이 제안한 가치평가 모형을 확장하여, 비용에 대한 불확실성을 중심으로 모형을 구축한다. 모형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가변비용과 고정비용의 불확실성이 기업의 가치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음을 보인다. 이는 4차 산업기술기업의 가치평가에서 고정비용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기업가치에 추정에 왜곡이 생길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proposes a valuation method suitable for 4th industrial technology companies. In the 4th industrial technology, the uncertainty factor about fixed costs including R&D investments, rather than variable costs, is expected to have a greater impact on corporate value. The need to consider the uncertainty about fixed costs is increasing in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shows strong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gence technology unlike the previous one. In this paper, based on the valuation model of internet companies proposed by Schwartz and Moon (2000), four models are constructed around cost uncertainty. By comparing the simulation results, we show that the uncertainty of variable and fixed cost impacts on firm value differently. It suggests that if the uncertainty of fixed costs is not considered, there may be distortions in the valuation of 4th industrial technology growth companies.

      • KCI등재

        키오스크 산업 분석: 도입 효과와 시장 전망

        임하성(Haseong Im),류두진(Doojin Ryu),박대현(Daehyeon Park) 한국경영학회 2020 Korea Business Review Vol.24 No.1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에 따라 서비스업 분야에서 무인화 기기의 도입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키오스크는 인력이 수행하던 업무를 대체하여, 영업을 위해 요구되던 최소 근무 인원을 감축시킨다. 이는 노동수요가 임금변화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하며, 여러 분야에서 노동생산성과 고용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실제 산업에서 키오스크로 인한 무인화 및 자동화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조사한 연구는 드물다. 본 논문은 키오스크 산업의 현황을 소개하며, 국내외 키오스크 산업의 동향을 분석한다. 키오스크의 도입으로 서비스 산업의 무인화가 가속화되며, 키오스크가 대체하는 서비스가 점차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확장될 것으로 전망한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아직 관련 정책 및 제도의 정비가 미비하고, 파급효과에 대한 대책이 미진하므로 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키오스크 기술의 도입 효과에 대한 측정방법을 개괄적으로 제시한다. 등량곡선과 생산자균형에 대한 경제분석결과, 키오스크 기술진보와 설비도입으로 인해 장기 및 단기에서 노동요소 투입이 감소하며, 더 적은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해질 수 있음을 보인다. With the rapid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the use of kiosks to provide unmanned services is growing at a fast pace. Such kiosks can replace the work previously performed by employees, reducing the minimum number of employees required for a given operation. This growth in the use of kiosks increases the responsiveness of labor demand to wage changes; furthermore, it affects labor productivity, employment, and operating profits in the service industry.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kiosks in the service sector; therefore, we analyze the trends and future prospects of the domestic kiosk industry. In addition, this study explains the quantification of unattended work in the restaurant and retail sectors due to kiosk technology. Microeconomic analyses of isoquant curves and producer balances show that the introduction of kiosk technology and equipment can reduce labor input in the short and long runs and can enable lower-cost production. Owing to these various advantages, the kiosk market has been actively growing, and the use of unmanned environments has become a trend.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analyze the impact of unmanned technology on society as a whole, prepare for the coming era of change, and revise the related policies and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