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P980 강판의 이방성이 파단변형률에 미치는 영향

        박남수(Namsu Park),임성준(Sung Jun Lim),허훈(Hoon Huh) 한국자동차공학회 2013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3 No.5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anisotropy effect of DP980 sheets on the fracture strain. The use of advanced highstrength steels (AHS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gradually increases since AHSS generally has high strength as well as high formability from their high strain hardening capabilities. In sheet metal forming, the anisotropy effect on the fracture strain should b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to reflect the fracture behavior of materials more properly since they show different mechanical behavior resulting from their crystallographic struc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rolling proces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loading path on the fracture strain, three different types of tests were conducted to the fracture including uniaxial tensile tests on classic dog-bone specimens, pure shear specimens, and plane strain grooved specimens. Each specimen was made along three different orientations: the angle of 0° (rolling direction, RD), 45° (diagonal direction, DD), and 90° (transverse direction, TD) with respect to the rolling direction of sheet metal to consider the anisotropy effect on the fracture strain. The fracture strain was evaluated to vary with the different orientation of sheet metal and each loading path.

      • KCI등재

        패널모형을 활용한 스마트폰의 기존 미디어 이용량에 대한 영향 분석

        박남수 ( Namsu Park ),남윤미 ( Yunmi Nam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6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3 No.3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 기존 미디어 이용에 여러가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기존 미디어 이용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고, 그 결과들도 일관적이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이용시간의 증가가 기존 미디어(종이미디어, TV, 오디오, PC)의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횡단면 분석에 기반한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패널모형(고정효과모형, 확률효과모형)을 사용하여 스마트폰과 기존 미디어 간의 관계를 추정하였다. 미디어 다이어리 자료를 이용한 패널모형 추정결과에 따르면, 스마트폰 이용시간은 기존 미디어 이용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스마트폰 이용이 증가할수록 종이미디어, TV, PC 이용시간은 감소하여 미디어 간 대체 관계가 나타난 반면 오디오 이용시간은 증가하여 스마트폰과 보완관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디어 간 동시이용으로 인해 기존 미디어 대체 가설이 기반하고 있는 한정적 시간이라는 전제가 성립하지 않을 경우 기능의 유사성이나 우월성에도 불구하고 대체관계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패널모형의 장점을 활용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미디어 간 경쟁 혹은 보완구도와 관련한 논의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dvent of smartphones brought radical changes to the use of traditional media. However, only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smartphones and traditional media, providing inconsistent conclusions. Therefore, this study assesses how the amount of time spent on smartphones affects the time spent on other traditional media such as paper-based media (newspaper, book, magazine), TV, audio, and PC.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reliance on cross-sectional data and general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in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conducts panel data analysis, using media diary data. The results point to the existence of a displac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smartphones and other media, such as paper-based media, TV and PC, and a sup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smartphones and audio. This implies that media displacement theory may not hold when media can be used simultaneously. Th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discussion regarding the competitive relationships between traditional and new media in the multimedia environment.

      • KCI등재

        Nature of Youth Smartphone Addiction in Korea

        Namsu Park(박남수),Hyunjoo Lee(이현주)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4 언론정보연구 Vol.51 No.1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 스마트폰 이용자를 중독정도에 따라 구분하고, 중독성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성별, 스마트폰 이용 동기, 스마트폰 이용행태, 성격요인, 사회적 관계 유지를 위한 스마트폰 이용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스마트폰 중독 성향이 높았으며, 이용동기에 있어서 중독 성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채팅, 타인에 대한 보살핌, 타인에 대한 접근성이 더 높았다. 스마트폰 이용행태에서는 중독 성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전화, SNS 이용, 채팅에서 더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성격요인에서는 중독 성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내향성(shyness)과 외로움은 높았으나, 자존감(self-esteem)은 더 낮았다. 마지막으로 중독 성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결속적, 교량적 사회관계 유지에 있어 스마트폰 이용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smartphone users with high and low addiction tendencie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The analytical results revealed that more females were among the respondents with high addiction tendency. Highly addicted smartphone users have a greater level of motivation for chatting, caring for others, and accessibility to others than the low addictive users. The preference of smartphone activities, such as voice calls, social network sites(SNSs), and chatting, is shown among addicted smartphone users. In addition, those who showed higher level of addiction perceived smartphones more positively for bonding and bridging social relationships than those who have lower addictive tendency. As for the psychological traits, the respondents with high addiction tendency have higher shyness, loneliness and depression scores, and a lower self?esteem score.

      • 변형률속도에 따른 점용접 너겟부의 기계적 물성 평가

        박남수(Namsu Park),박문수(Moonsu Park),허훈(Hoon Huh) 한국자동차공학회 2014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4 No.5

        This paper deals with the tensile properties acquisition of the nugget region in spot-welded joint at various strainrates using micro material testing machine. The driving and load measuring part of Static Micro Material Testing Machine (SMMTM) and High-Speed Micro Material Testing Machine (HSMMTM) were replaced by considering the load requirement. A jig and a gripping device are design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specimen shape and strength. Two kinds of specimens for the tensile tests were obtained each from the center of the welded spot and 1 mm away from the centerline at the spot welded joint of the DP980 by wire electric discharged machining (EDM). The thickness of the specimen was 0.3 mm and the gage length of the specimen was 1 mm. Digital image correction method (DIC) was applied to measure the longitudinal strain. The speckle pattern generation method was also improved for DIC method application. Quasi-static tests were performed with SMMTM at strain-rates of 0.001s<SUP>-1</SUP> and 0.1s<SUP>-1</SUP>. Dynamic tests were performed with HSMMTM at strain-rates of 1s<SUP>-1</SUP>, 10s<SUP>-1</SUP> and 100s<SUP>-1</SUP>. A comparative evaluation was performed between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base metal and the nugget region in spot welded joint, based on the obtained stress-strain curves.

      • KCI등재

        페이스북 이용자의 자기노출, 페이스북 이용강도, 프라이버시 인식과 프라이버시 관리 능력이 페이스북 지속적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박남수(Namsu Park),백강희(Kanghui Baek)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1

        본 연구는 페이스북 이용자 중 프라이버시 관리 능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자기노출(self-disclosure)과 페이스북 이용강도, 프라이버시 염려와 신뢰 정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인들이 페이스북의 지속적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프라이버시 관리 능력이 자기노출, 페이스북 이용강도, 프라이버시 염려와 신뢰가 지속적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절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19~49세 성인 남녀 페이스북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프라이버시 관리 능력이 높은 이용자들이 낮은 이용자들 보다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가 낮은 반면, 페이스북 이용강도와 사이트에 대한 신뢰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분석 결과, 프라이버시 관리능력은 자기노출 및 신뢰가 페이스북의 지속적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self-disclosure, Facebook use intensity, privacy concern, and trust between Facebook users with high and low levels of the privacy protection skills and th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Facebook. Results revealed that Facebook users with high level of privacy protection skill than those with low level of the skill show lower level of privacy concern, but higher level of Facebook use intensity and trust. In addition, privacy protection skill presented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disclosure, trust,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Facebook.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이용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 중재 효과

        박남수(Namsu Park),오하영(Hayoung Oh)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9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일상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이용 및 중독이 학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부모의 중재 효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13~18세)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이용 전반에 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오락적 목적의 스마트폰 이용 및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이 청소년의 학업 장애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간 갈등, 학업, 미래에 대한 압박감 차원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이용에 따른 학업장애를 이끈다는 것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부모의 중재는 그 유형에 따라 스마트폰 이용 및 중독, 학업장애 요인에 대해 서로 다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용시간을 제한할수록 오락적 이용이 증가하고, 이용하는 앱을 제한할수록 정보적 이용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적 형태의 부모 중재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폰 이용이 증가하며, 앱을 추천하는 방식의 부모 중재는 스마트폰 중독지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adolescents life stress and smartphone use on academic impairment an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arents involvement on smatphone use. Online survey are performed among Korean adolescents from 13 to 18 years old. The results show that entertainment use of smartphone and high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dolescent academic impairment. In addition,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academic impairment and the dimensions of life stress, such as family conflict, academic, and pressure on the future. With respect to the impact of parent involement on academic impairment and smartphone use, time limit has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entertainment use of smartphone, while restriction on the specific smartphone application use has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information use of smartphon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