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편악(하악)수술후 연조직 변화의 평가

        박광수,이희경,진병로,Park, Kwang-Soo,Lee, Hee-Kyung,Chin, Byung-Rho 영남의대학술지편집위원회 1997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mount and interrelationship of the soft and hard tissue change after mandibular setback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The sample consisted of 25 adult patient (12 male and 13 female) who had severe anteropostrior skeletal discepancy. These patient had received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and surgical treatment which is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The presurgical and postsurgical lateral cephalograms were evaluated. The computerized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SPSS/PC program.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After mandibula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lower facial soft. tissue horizontal posterior changes were high significance value. but vertical soft tissue changes were low significance value. 2. After mandibula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relative upper lip protrusion increased(p<0.01) and relative lower lip protrusion decreased(p<0.01) and lower facial soft tissue thickness increased(p<0.01). 본 연구는 골격성 III 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하악골 후방이동수술을 시행하였을 때 경, 연조직 변화를 관찰하고 수술전후의 경, 연조직 변화의 상관성을 산출하여 교정-악교정 수술 복합 치료 계획의 수립과 결과의 예측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영남의료원 치과에 내원하여 상하악골의 수직적인 부조화는 경미하고 전후방적인 부조화가 심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수술전 교정치료를 받고 1989년 10월부터 1997년 1월 중에 하악골 시상분할 골절단술로 하악골의 후방이동을 시행한 성인 환자 25명(남자 12명, 여자 13명)을 대상으로 수술전후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계측,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하악골의 시상분할 골절단술로 하악골의 후방이동에 따른 하안면부의 연조직의 수평적인 후방 이동은 상당한 유의성을 가지고 나타났으나 수직적인 변화는 거의 없었다. 2. 하악골의 시상분할 골절단술로 하악골의 후방이동을 시행한 경우 상순의 상대적인 돌출도는 증가하고 (p<0.01) 하순의 상대적인 돌출도는 감소하였으며(p<0.01) 하악골 전방부의 연조직의 두께는 증가하였다(99% 유의수준).

      • KCI등재

        유로 국채시장 통합에 관한 계량적 분석

        박광수(Kwang Soo Park),유상희(Sang Hee Yoo),정중영(Jung Young Jeong) 한국유럽학회 2006 유럽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유로지역의 국채시장의 통합에 관한 객관적인 측정을 위한 방법론을 조사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제 국채시장의 통합정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매우 높은 시장통합이 유로국채시장에서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 계량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일의 국채수익률을 벤치마크로 하여 국채수익률을 분석해 본 결과 유로화가 도입된 1999년 이후 각국의 수익률 스프레드, 수익률 스프레드의 횡단면 표준편차 및 만기 2년, 5년의 국채수익률 스프레드의 횡단면 표준편차 등이 모두 수렴현상을 보였다. 둘째, 회귀식 추정을 통한 분석 결과 유로화 도입 이후 베타는 1로 수렴하고 있으며 절편인 알파는 0으로 수렴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의 수익률 변동이 공통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그러나 모든 국가의 국채수익률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으며, 비록 작은 부분이지만 개별국가 요인은 여전히 국채수익률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개별국가의 신용리스크, 유동성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s main objective is to analyze the state and evolution of government bond market integration in the euro area. We reviewed a common methodological framework based on a precise definition of financial integration. The significant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ingle currency and a common monetary policy, government bond yields converged swiftly in all countries. Second, we found that yields became increasingly driven by common news, less by purely local risk factors. It suggests a very high degree of integration in euro area bond markets. However, we also found that yields on government bonds have not fully converged and local factors continue to play a role, though small, in explaining yield movements in individual countries. Apart from imperfect integration, differences in perceived credit risk and liquidity risk among bonds, can also explain this finding.

      • KCI등재

        한국에서의 포트폴리오 리벨런싱에 관한 실증적 연구

        박광수(Kwang Soo Park) 한국FP학회 2009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2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시장에서 적절하게 자산배분된 포트폴리오에 대한 효과적인 리벨런싱방법에 관하여 1999년 1월부터 2008년 9월까지의 데이터를 가지고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경우 리벨런싱을 하는 포트폴리오가 리벨런싱을 하지 않는 포트폴리오에 비해 더 높은 수익률과 더 낮은 위험을 보임으로써 더 높은 성과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외국의 다른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서 우리나라에서도 포트폴리오 리벨런싱이 효과적인 포트폴리오 관리방법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둘째, 가장 좋은 성과를 내는 리벨런싱방법은 포트폴리오의 자산구성비율, 투자기간, 시장상황 등에 영향을 받으나 대체로 연간 리벨런싱과 10% 조건부 리벨런싱 방법은 대부분의 경우 상당히 좋은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주가가 상당기간 추세를 가지고 움직임에 따라 이러한 추세를 충분히 이용하여 수익을 획득하고 주가반전을 대비하는 전략이 높은 성과를 얻게 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셋째, 주가가 일방적으로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국면에서는 리벨런싱을 하지 않는 포트폴리오가 수익률 면에서 더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어 매입후보유(Buy & Hold) 전략이 유효한 포트폴리오 관리전략이 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주가가 반전되는 시장 상황에서는 리벨런싱을 하는 것이 하지 않는 것보다 월등히 높은 성과를 나타냈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ive portfolio rebalancing methods in Korea using data from Jan. 1999 through Sep. 2008. The significant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balanced portfolios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no rebalanced portfolio. It is consistent with the overseas studies and suggests the portfolio rebalancing is the effective portfolio management method in Korea. Second, annual rebalancing and 10% contingent rebalancing showed good performance, high returns and low standard deviations in most cases. It implies that stock price moves with trend and annual rebalancing and 10% contingent rebalancing can exploit the trend movement of stock price. Third, in bull markets or bear markets no rebalanced portfolio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rebalanced portfolios. In the case, the buy & hold strategy will be the effective portfolio management method. However, rebalancing does better than no rebalancing in volatile markets.

      • KCI등재후보

        국제통화로서 유로화의 역할에 관한 연구

        박광수(Park Kwang Soo) 한국유럽학회 2003 유럽연구 Vol.17 No.-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euro in global market and analyzes the possibility that euro can replace the US dollar in the long run. This study focuses on whether the euro plays well the three main roles of money in the international markets. And it also reviews the role of euro in international debt market and foreign exchange market and international markets for trade in goods and services. And it covers the monetary authorities` choice of the euro as anchor, reserve or intervention currency in their policies. The main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the euro only has a short history, the euro is second most widely used international currency, after the US dollar and ahead of the Japanese yen. Overall, in nay points the share of the euro is about 25-35%, compared with the US dollar with 50% the Japanese yen with 5-15% But it doesn`t support the earlier prediction that the international role of euro will be rapidly growing after the start of EMU in 1999. In many cases the international role of euro is limited to the roles of Deutsch Magic before EMU. Second, the international role of euro shows a strong regional features. The euro is mainly used in the countries which have a strong historical and economic linkage with the European Union. And i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the euro`s role as vehicle currency is confined to countries neighbouring the euro area. In particular, the euro plays a role of key currency in the eastern and central Europe countries. Third, the euro`s role is driven by the euro area itself. Especially in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s, a significant share of euro-denominated securities issues are targeted at, and purchased by, euro area investors. This point contrasts with the international role of the US dollar. This suggests the euro area itself is an important source of growth in the international role of its currency. In this points, the recent increases of countries involving EMU provide the international role of the euro with the positive perspective.

      • KCI등재

        아일랜드의 금융시장 발전요인 분석

        박광수(Kwang-Soo Park),임동순(Dong-Soon Lim) 한국유럽학회 2018 유럽연구 Vol.36 No.4

        본 연구는 아일랜드의 펀드산업을 중심으로 아일랜드 금융산업의 발전요인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일랜드는 1987년 사회협약을 통해 정치사회적인 안정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사회협약을 통해 사회경제적 목표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집단의 합의를 이끌어내고 노사관계의 안정과 산업평화를 달성함으로서 경제발전을 위한 외자유치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둘째, 아일랜드는 정부의 주도하에 과감한 대외개방정책과 적극적인 FDI의 유치전략을 통해 경제발전에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고 금융산업을 비롯한 국내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셋째, 아일랜드는 세계최대의 국제금융허브인 런던과 가까이 있다는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더블린에 국제금융센터(IFSC)를 세우고 더불린을 국제금융중심지로 발전시켰는데 이는 아일랜드 펀드산업발전에 결정적인 촉매제가 되었다. 넷째, 아일랜드는 유럽에서 펀드산업의 발전이 본격화하기 전이었던 1980년대 후반부터 법률 및 조세지원, 우수한 젊은 노동력, 시장 친화적인 정부정책 등을 활용하여 펀드산업과 고용효과가 높은 백오피스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함으로써 아일랜드를 전세계 펀드산업의 중심지로 발전시킬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in Ireland, centered on Ireland`s fund industr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reland was able to establish a political and social stability base through the 1987 social agreements. This social agreements helped Ireland government lay the foundation for attracting foreign capital for economic development by drawing up consensus among different interest groups on social and economic goals, achieving industrial relations stability and industrial peace. Second, the Ireland government took bold external opening policy and FDI attracting activities, which contributed to raise the financial resources necessary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companies. Third, Ireland took full advantage of its proximity to London, the world`s largest international financial hub. She establishe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Services Centre (IFSC) in Dublin and developed it as an international financial center, which would be crucial catalyst for the development of the Irish fund industry. Fourth, since the late 1980s when the development of the fund industry in Europe was still in its early stage, Ireland has actively fostered the fund industry and the back-office industry with high employment effects by utilizing legal support and tax incentives, excellent young labor force, and market- friendly government policies, which led Ireland to the center of the global fund industry.

      • KCI등재

        한국 사회의 평화 구축과 종교 역할

        박광수(Park Kwang-Soo)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4 No.-

        현대사회는 다양한 민족과 문화, 그리고 종교가 공존하는 사회이다. 르네상스 이후 서구의 근대화 과정과 19-20세기에 걸쳐 서구 중심의 근대 산업화 및 세계의 식민지 건설과정에서 다양한 문명의 대립과 충돌, 안전에 대한 위협과 갈등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일어났다. 세계 2차 대전이 1945년 막을 내린지 70년 이상의 세월이 지났다. 이는 곧 한반도 분단의 역사이기도 하다. 동북아시아 삼국은 종전 이후 정치적 혼란과 경제적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국가 경쟁력을 국제사회에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데 성공하였다. 한중일 삼국은 경제적 교류의 확대와 협력을 추구하면서도, 중국뿐만 아니라, 일본과 미국, 그리고 남북한 군사력의 경쟁적 증강은 이웃 국가 간의 상호 신뢰가 확고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현대의 경제적 신자유주의 시대에 동북아시아의 평화공동체 건설은 가능한 일인가? 한국, 중국, 일본 모두에게 주어진 과제는 건강한 공동체 의식을 확보해 동북아시아의 평화공동체를 이루는 것이다. 격변하는 시대적 혼란기에 형성된 한국 민중종교의 개벽사상과 평등사상을 토대로 한 구세이념은 새로운 사회를 갈망하고 대다수 민초들의 희망을 대변하며 당시의 시대인식과 세계인식, 사회변화인식과 윤리의식, 가치관과 민족관 등을 응축하고 있다. 이러한 평화의 문명사회를 구현하고자 한 새로운 종교운동인 원불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원불교를 창시한 소태산 박중빈(少太山 朴重彬, 1891-1943) 대종사를 비롯하여 정산 송규의 삼동윤리(三同倫理), 대산 김대거의 UR(United Religions)운동, 여산 류병덕의 평화통일사상 등에서 평화의 철학과 실천운동은 현 시대에 매우 중요한 비전과 실천을 담고 있다. 이 글에서는 세계화 과정에서 나타난 남북의 분단과 동서의 차별 시대, 배타적 근본주의 시대, 약육강식의 패권주의 시대를 넘어서야 하는 문명전환이 요청되는 시점에서, ①평화공동체를 위한 세계보편적 공공(公共)윤리 실천, ②탈종교시대의 열린 종교에 대한 논의를 중점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In modern societies various nations, cultures, and religions live together. In the course of Western modernization since the Renaissance, and in the course of modern industrialization and the world-wide colonialism of the West through the 19th and 20th century, various opposing forces within and collisions among civilizations, as well as threats to safety and conflicts have occurred all over the world. Since World War Ⅱ ended in 1945, over 70 years have passed. It is also the history of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r. The three nations of Northeast Asia – Korea, Japan and China – overcame the situation of political confusion and economic crisis after the end of the war and succeeded in stably securing national competitiveness in international society. While they pursued economic interchange and cooperation, Japan and the USA, and South and North Korea increased their military power in a competitive manner alongside China. It is proof that mutual confidence among neighboring nations was not established firmly. In the modern age of economic neo-liberalism, is it possible to build a community of peace in the Northeast Asia? The common task assigned to Korea, China and Japan is to recover a spirit of healthy community and achieve a community of peace in Northeast Asia. The ideology of saving the world that was formed in the chaotic time-period of rapid changes, based on the thoughts of the Great Opening (kaebyŏk) and the concept of equality embraced by ‘religions of the general people (minjung),’ seeks to establish a new society and represents the hopes of most people. It embraces an awareness of the times, world and social changes, and a sense of ethics, values, and provides a perspective on the nation at that time of upheaval and rapid change. It can be found in Won-Buddhism which was a new religious movement that strived to realize a peaceful civilization among societies. The philosophy of peace and it’s practice movements such as the Ethics of Threefold Unity of Jeongsan Song Gyu, the UR movement of Daesan Kim Dae-geo, the thought of peaceful reunification and the practice movement of Yeonsan Ryu Byeong-deok as well as the thought of the Founding Master of Won-Buddhism, Sotaesan Park Jung-bin, contain very important notions and practical activities that are relevant in this ag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1) the practice of ‘common public ethics’ that are universal and need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peaceful community, and 2) engage in discussion about the open or inclusive religions in a post-religion era, at this time when a cultural transformation is required in which we should go beyond the age of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prejudices and biases that still hold in relation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e age of exclusive fundamentalism, and the age of hegemony of the law of the jungle which occurred in the course of globalization.

      • KCI등재

        환경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사회적 구성

        박광수(Kwang Soo Park),박범순(Buhm Soon Park) 한국환경사회학회 2015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9 No.1

        최근 현대사회의 특징을 분석하는 틀로서 위험사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논의도 활발해졌다. 이 논문은 한국에서 석면에 대한 위험인식이 역사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에 주목하여, 환경 위험 커뮤니케이션이 각 시대의 맥락에서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것임을 주장한다. 이러한 시각은 과학기술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과학지식의 사회적 구성주의’의 입장을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적용하여 얻은 것으로, 위험 커뮤니케이션을 단순히 전문가와 대중 사이의 인식차이를 줄이기 위한 일종의 대중관계(public relations)의 도구로 보지 않고 역사적으로 그 내용이 변할 수 있는 지식의 발현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일간지 석면 보도의 내용분석을 시도했다. 석면 위험이 처음 보도된 1966년 부터 2013년까지 47년간,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 매일경제신문 등 4개의 주요 일간지에 실린 총 918건의 보도내용을 분석하여, ‘외신’ 위주의 초기 보도시기를 거쳐 ‘산업보건’ 위주의 보도에서 ‘환경보건’ 관련 보도로, 보도 프레임이 뚜렷이 변했음을 보일 수 있었다. 더불어 위험에 대한 보도내용에 있어서도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초기에는 정부발표의 단순인용을 바탕으로 하는 스트레이트 기사가 주를 이루었는데, 개연성(위험노출 가능성)과 심각성(노출 뒤 피해 심각성), 효능감(피해 저감 방안 제시)이 포함돼 위험 메시지가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었던 보도의 수가 꾸준히 증가했다. 단순하든 심층적이든, 보수적이든 진보적이든, 언론보도는 각 시대의 사회적 관심과 지적 풍토를 드러내는 거울이며 조성자이다. 석면보도의 기본적 관점과 내용 전달에 있어서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보임으로써, 이 논문은 언론이 단순히 환경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 사회적 구성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This paper shows the changing media coverage of asbestos risk in the four major newspapers of Korea (Dong-ah, Kyunghyang, Hankyoreh and Maeil business) since its first appearance in 1966. Primarily drawing on foreign sources, the earlier reports were limited in number and tended to be fact-oriented. Yet a notable change took place in the late 1980s, during the heydays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when the media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issue of occupational hazards of asbestos in the workplace. Subsequently, environmental risk of asbestos in open spaces such as subway stations and elementary schools was exposed, and the public concerns about asbestos risk peaked during the “baby powder scandal” in 2009-2010. Analyzing more than 900 media reports for 47 years in terms of the coverage of susceptibility (possibility of risk exposure), severity (damage severity after exposure) and efficacy (countermeasure for reduction), this paper argues that environmental risk communication is a manifestation of risk concerns constructed in specific historical contexts. It aims to offer a way of interpreting the contents of risk communication from the standpoint of social constructivism that sees science as a body of “constructed” or “situated” knowledge, instead of that of unchanging, truth-defining one.

      • KCI등재

        제주도 단군성주교(檀君聖主敎) 현장조사 연구

        박광수(Park Kwang Soo)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6 한국종교 Vol.39 No.-

        한국 민족종교에 대한 다양한 연구에서 필요한 과제는 현장조사이다. 근대 1860년대 이후 발생하였던 다양한 새로운 민족종교운동의 생존주기는 매우 짧은 편이다. 종교문화 인류학적 접근(Anthropological Approach) 방법은 종별 집회 장소 또는 수행단체의 종교의례에 직접 참여하여 참여관찰, 현장조사와 인터뷰 등을 통한 기초자료를 종합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는 작업으로, 종교의 종합적이며 심층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독특한 종교 문화적 성격을 갖고 있는 한국 신종교의 상징과 의례의 사상적 체계를 무시한 채 서구적 종교학의 입장으로만 이해하려는 것은 적잖은 무리가 있다. 종교에 있어서 교리와 사상이 이념적 체계를 가지고 있다면, 종교의 의례(儀禮)는 이념의 체계가 공간적 행위로 나타난 것이다. 새로운 민족종교 운동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생성, 발전, 소멸의 과정이 급속도로 전개되기에 이에 대한 집약적인 현장조사와 더불어 지속적인 관찰조사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필자는 2015년 1월 12일부터 15일까지 제주지역 신종교를 답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증산계파의 영향을 받아 제주도 태생인 강승태가 설립한 수산교 ․ 무극대도를 시작으로 토착화한 민족종교의 하나인 단군성주교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일제시대 강승태에 대한 「판결문」, 신문과 월간지 등에 소개된 자료를 기초자료로 삼았다. 또한, 현재 단군성주교총본부에 ‘통일신단’을 모시고 있는 강봉옥 대표를 방문하여 대화를 나누었다. 단군성주교의 개벽주창과 제주도 토착화과정에 나타난 특성을 살펴보고, 단군전승과 증산계 상제신앙이 어떻게 혼합적 특성을 지니는지를 중심으로 조사 연구하였다 Studies on the religion of Korean people requires more on-site research. Various new religious movements that appeared after the 1860s experienced very short survival periods. An anthropological approach to religion and culture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mprehensive and in-depth phenomena of religions. By 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rituals of religious groups or places of religious assembly, researchers can collect and analyze basic materials of religions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on-site study, and interviews. Korean native religions do not necessary have to be examined from a western theological perspective while ignoring the ideological symbols and rituals of new Korean religions, which have unique religiou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f doctrines and thoughts have an ideological system in a religion, the ideological system represents religious rituals (儀禮) as spatial behavior. The movements of new religions experience cycles of survival, development, and extinction very rapidly, indicating there must be intensive on-site studies accompanied with continuous observational survey. This on-site study took place in the Jeju-region from January 12–15, 2015 and examines new religions in that area. This research mainly analyzes the Susahn religion established by Kang Sūng-tae, a Jeju native influenced by the Chūngsan community, and Tan’gun Religion, one of the national religions that became naturalized starting from the Mugūkdaedo. This research examines materials including the “a written judgment of Kwangju Court” of Sūng-tae Kang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content introduced in newspapers and monthly periodicals. In addition, the researcher visited Bong-ok Kang, who currently serves as the ‘Unification Altar’ in the headquarters of Tan"gunsōngjugyo. The paper then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ginning advocacy of the Tan’gun Religion and its naturalization in Jeju-do, and then looks at how the Tan’gun transmission and Sangje religion of Chūngsan overlap in several w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