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기환경하에서 부식손상된 강재의 피로수명 평가

        박광명 ( Park Kwang-myeong ),정영수 ( Jeong Young-soo ),김인태 ( Kim In-tae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대기환경에서 부식으로 인한 단면감소가 강부재의 평균 피로수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시편은 지하철 가시설 주부재에서 절취한 시편으로 부식정도가 미미한 가시설(I)시편 9개, 부식정도가 중간 정도인 가시설(II)시편 16개와 75년간 대기환경하에서 노출되어 부식정도가 심하거나 중간 정도에 해당하는 영도대교시편 10개를 제작하여 피로실험을 진행하였다. 가시설(I)와 영도대교 시편은 1mm 간격으로 표면형상을 측정하였으며, 가시설(II)는 0.7mm 간격으로 표면형상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 부식 시편의 피로강도는 유효두께(t<sub>avg</sub>-S)로 산출한 응력범위로 평가하는 피로설계등급 C등급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가시설 부식 강재의 인장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박광명 ( Park Kwang-myeong ),정영수 ( Jeong Young-soo ),김인태 ( Kim In-tae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도장이나 방식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가시설 강구조물에 있어 부식으로 인한 단면감소가 강부재의 인장 내하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시편은 지하철 가시설 주부재에서 절취한 시편으로 무부식 시편 3개, 부식 시편 10개 총 13개의 인장시편을 제작하였으며, 3차원표면측정기(Model. VR-5200)를 사용하여 부식된 표면요철의 형상을 0.2mm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본 시험 결과 부식 시편의 강도는 무부식 기준시편 인장강도는 457.7Mpa이고, 신장량은 28.3%감소하였다. 표면형상 측정에 산출된 전체평균두께, 최소평균두께, 유효두께(평균두께-표준편차)을 이용하여 부식시편의 항복하중과 극한하중을 추정한 결과, 최소평균두께를 이용하여 최대 오차율 5.3% 이내로 항복하중과 극한하중을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1957년 미국 회계감사원의 대한경제원조 감사와 한국 국회의 대응

        박광명(Park, Kwang-myeong) 한국사학회 2021 史學硏究 Vol.- No.141

        본고는 전후복구 이후 미국 회계감사원이 발표한 대한경제원조정책에 대한 ‘감사보고서’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한국 국회의 대응을 분석하였다. 미국의 대한경제원조정책은 아이젠하원 행정부 2기인 1957년부터 점진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한국 현지에서 근무하는 주한미대사나 경제조정관, 그리고 한국에 파견되었던 미국 중앙정부 관료에 의해 대한경제원조정책의 변화에 대한 요청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 하원의원에서도 회계감사원을 통한 대한경제원조정책에 대한 감사에 착수하였다. 감사보고서는 원조사업 관리의 ‘비효율성’과 한국정부의 ‘비협조’를 지적하고 있었다. 한편으로, ‘현실적 장기 경제개발계획의 수립’과 ‘기술원조의 적극 도입’이라는 방향성도 제시하였다. 감사보고서 발표가 알려지자, 미국의 경제원조정책 변화에 촉각을 세우고 있던 한국 내부에서는 큰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한국 국회 내부에서는 이에 대한 조사위원회 구성과 관련된 논의가 진행되면서 여야의 대립각이 세워지기도 하였다. 하지만 국회 내부의 논쟁은 정확한 문제의 원인을 밝히는 방향으로 나아가지 못했다. 감사보고서의 원본 입수부터 분석까지, 국회는 제대로 된 심의 기구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 하였다. 당시 한국 국회는 미 의회에 원조액 감축에 대한 우려 표명과 이에 대한 재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내는 정도의 대응을 보였다. 물론 감사보고서의 지적사항은 이후 합동경제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원조사업 운영 및 관리 방안의 개선으로 이어졌다. 그렇지만 이는 한국 정부와 국회의 적극적인 방안 마련이 아닌, 원조공여국의 의견에 따른 것이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audit report’ on the U.S. economic assistance policy for korea, announced by the U.S. General Accounting Office after the post-war reconstruction, and the response of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to the report. U.S. economic assistance policy for Korea began to change gradually from 1957, the second term of the Eisenhower administration. Requests for changes in U.S. economic assistance policy was continuously raised by the US ambassador to Korea, Economic Coordinator, and US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dispatched to Korea. In this situation,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also initiated an audit of U.S. economic assistance policy through the General Accounting Office(GAO). On June 25, 1957, The Campbell, Comptroller General of The United States, submitted the audit results to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The audit report pointed out the ‘inefficiency’ of assistance project administration and the ‘non-cooper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On the one hand, the audit report also suggested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a realistic long-term economic development plan’ and ‘active introduction of technical assistance’. When the release of the audit report became known, it caused a great repercussion inside Korea, which was keen to change the U.S. economic assistance policy. In particular, confrontation between the ruling and the opposition parties was established as discussion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an investigation committee proceeded with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However, the controversy within the National Assembly did not go in the direction of revealing the exact cause of the problem. From the acquisition of the audit report to the analysis, the National Assembly failed to serve as a deliberative body. At the time, the National Assembly responded to the extent of sending a message to the U.S. Congress to express concern about the reduction of aid and to request reconsideration. Of course, the matters pointed out in the audit report later led to improvements in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id projects through discussions with the Combined Economic Board(CEB). However, this was based on the opinions of the aid donor countries, not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 KCI등재

        해방이후∼한국전쟁기 미국의 대한원조와 ECA·SEC 원조의 성격

        박광명(Park, Kwang-myeong)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0 동국사학 Vol.6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nature of Korean aid, from post-liberation GARIOA(Government and Relief in Occupied Area; 占領地域行政救護計劃) to CRIK(Civil Relief in Korea; 韓國民間救護計劃) during the Korean War, analyzed through existing research. After liberation, the South Korean economy was unstable, and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implemented economic control policies. On the other hand, GARIOA aid was introduced for relief purposes to compensate for basic food shortages and shortage of daily necessities. However, as the establishment of a single government became a reality, aid was needed that went beyond the existing characteristics of relief. GARIOA has not reached an attempt to restructure the Korean econom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independent government, the United States signed an aid agreement with South Korea and introduced ECA(Economic Cooperation Administration; 經濟協助處) aid. The intention of ECA aid, which was introduc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independent government, was apparently to reconstruct the industry aimed at economic independence in Korea. ECA aid was the first Korean economic aid policy implemented by the U.S., which has historical significance. The introduction of the first fiscal year plan of ECA aid has been delayed. Plans for the second fiscal year of ECA aid were considered to reduce aid plans for consumer goods and to have the nature of industrial reconstruction. This reflected the industrial reconstruction intention of the original ECA aid. However, the Korean War broke out in June 1950 before the second fiscal year’s plan was properly implemented. Just as everything on the Korean peninsula at that time burned in the midst of the war, the ECA aid, which was intended to show its intention as a full-scale industrial reconstruction plan, had to be stopped. The war introduced the emergency relief aid, CRIK aid, and the suspended balance of ECA aid funds of $25,000,000 was converted to SEC and reintroduced from June 1951. SEC, which had been carried out as a follow-up to ECA aid, had to be completed by introducing aid supplies that had maintained a certain part of the existing ECA project. 본고는 기존 연구를 통해 분석된 해방 이후 GARIOA 원조부터 한국전쟁기CRIK 원조까지 대한원조의 성격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방 이후남한경제는 불안정하였고, 미군정은 경제통제정책을 시행하였다. 한편으로 구호를 목적으로 GARIOA 원조를 도입하여 기본적인 식량난과 생활필수품 부족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단독정부수립이 현실화 되면서 기존의 구호를 넘어서는원조가 필요했다. 하지만, GARIOA 원조는 한국경제의 구조적 개편을 위한 시도에 까지는 이르지 못하였다. 단독정부수립 이후 미국은 한국과 원조협정을 체결하고 ECA 원조를 도입하였다. 단독정부수립 이후 도입되었던 ECA 원조의 의도는 분명 한국의 경제적 자립을 목적으로 한 산업부흥에 있었다. ECA 원조의 1차 회계연도 계획은 도입이 지연되었다. ECA 원조의 2차 회계연도 계획에는 소비재에 대한 원조 계획이 감소하고, 산업부흥의 성격을 갖는 계획이 검토되었다. 이는 최초 ECA 원조의 산업부흥적 의도가 반영된 것이었다. 하지만, 2차년도 계획이 제대로 이행되기도 전인 1950년 6월, 전쟁이 발발하였다. 당시 한반도의 모든 것이 전쟁의 포화 속에서 타들어 갔듯이, 본격적인 산업부흥계획으로서의 의도를 보여주고자 했던 ECA 원조 역시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 전쟁으로 긴급구호원조인 CRIK 원조가 도입되었고, 중단된 ECA 원조자금 잔액 25,000,000달러는 SEC 원조로 전환되어 1951년 6월부터 다시 도입되었다. ECA 원조의 후속 사업으로 진행되었던 SEC 원조는 기존 ECA 사업 구성을 일정 부분 유지한 현황의 원조물자를 도입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전후복구 이후(1957∼1958)중소기업개발계획의 운영과 성격

        朴光明(PARK Kwang-myeong) 한국근현대사학회 2021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8 No.-

        The ‘Industrial Projects(中小企業開發計劃)’ is a planning aid project by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for Korea’s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Industry’. Considering that most of Korea’s manufacturing industries were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n the 1950s.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few full-scale studies on Industrial Projects in academia.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the detailed development process and nature of the Industrial Projects after the post-war recovery(1957-58 fiscal year). From 1956 to 57, when the post-war recovery was partially carried out, discussions on changes in the U.S. economic aid policy and accounting audits were conducted. This served as the background for the application of improved regulations and operating methods for Industrial Projects. The Industrial Projects after the fiscal year 1957 was additionally allocated aid funds to projects that supplement or expand the existing plan, and was operated according to a relatively reasonable pla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method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The Industrial Projects after post-war restoration was aimed at replacing imports, but it was also operated in consideration of export possibilities. Aid funds were also allocated to projects that reflected social needs and atmosphere after post-war restoration. In particular, the Industrial Projects in fiscal 1958 supplemented the existing shortcomings from selection to management compared to the previous four-year projects, so beneficiary companies achieved results such as overseas exports in the 1960s. ‘중소기업개발계획’은 한국의 ‘중소규모 제조가공업’에 대한 국제협조처의 계획원조 사업으로, 1950년대 한국의 제조업 대부분이 중소규모 형태의 기업체들이었음을 감안하면, 해당 원조 프로그램의 한국의 제조업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럼에도 그간 학계에서는 중소기업개발계획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거의 시도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전후복구 이후(1957~1958회계연도)의 중소기업개발계획의 세부 전개 과정과 성격에 대해 분석하였다. 전후복구가 일정 부분 진행된 시점인 1956~1957년도를 기점으로, 미국의 대한경제원조정책 변화 논의와 회계감사가 진행되었다. 이는 중소기업개발계획에 대한 개선된 규정과 운영 방식이 적용되는 배경이 되었다. 이러한 1957회계연도 이후의 중소기업개발계획은 기존의 계획을 보완하거나 확장하는 사업들에 원조자금이 추가로 배정되기도 하였으며, 기존 시기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계획의 수립과 운영 방식에 따라 운영되었다. 전후복구 이후의 중소기업개발계획은 수입대체를 기본 목적으로 하였으나, 수출 가능성 역시 고려하여 운영되었다. 전후복구 이후의 사회적 필요와 분위기가 반영된 사업에 원조자금이 배정되기도 하였다. 특히 1958회계연도의 중소기업개발계획은 이전 4개 연도 사업들에 비해 선정에서부터 관리까지 기존의 단점이 보완되었기에, 수혜기업들이 1960년대에 이르러 해외 수출 등의 성과를 내기도 하였다.

      • 해상 강교량의 비래염분과 부착염분 특성 평가

        정영수 ( Jeong Young-soo ),박광명 ( Park Kwang-myeong ),김인태 ( Kim In-tae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2

        해상 강교량의 부식 내구성은 대기중에 포함된 염분량의 평가는 부식을 예측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강교량의 도막 노화에 의하여 방식기능이 저하되며, 염분 및 수분이 도막표면에 부착하여 부식에 의한 두께 감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 강교량의 유지관리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12개월간 기후조건과 구조형태 및 위치에 따른 비래염분 및 부착염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