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의 머리뼈지수와 바위능선-정중선각을 이용한 머리뼈 형태의 분류: 사후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박광락,조재호,김디귿,권형욱,최유진,이미정,이수경,최인석,박정현 대한체질인류학회 2022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5 No.3

        사람의 머리뼈 형태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인종에 따라 그 형태학적인 특성의 차이가 뚜렷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후컴퓨터단층촬영 (PMCT) 영상을 활용한 한국인의 머리뼈 형태를 분류하기 위해 두 가지 분류방법을 복합적으로 분석하고, 각 분류방법에 대한 성별, 연령별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한국인의 해부학적, 체질인류학적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PMCT로 촬영된 단면영상 146장 (남72, 여 74)을 분석하였으며, 평균나이는 54.7±18.8세였다. 최대머리뼈길이를 최대머리뼈너비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머리뼈지수 (Cranial index, CI)를 산정하였고, 바위능선-정중선각 (Petrous ridge-midline angle, PMA)은 바위능선과 정중선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였다. CI의 머리뼈 형태 분류에서 짧은머리형이 129명 (88.4%), 중간머리형이 17명 (11.6%)으로 짧은머리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성별과 연령별 머리뼈 형태의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MA의 머리뼈 형태 분류에서 짧은머리형이 86명 (58.9%), 중간머리형이 57명 (39.0%), 긴머리형이 3명 (2.1%)으로 짧은머리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성별에 따른 빈도분석에서 남자의 짧은머리형이 여자보다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p=0.010), 연령별 빈도분석에서도 중장년층과 고령층의 짧은머리형이 청년층보다 높은 빈도를 보였다(p=0.047). 결론적으로, CI와 PMA의 머리뼈 형태 분류 모두에서 짧은머리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이는 임상 및 법의인류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한국인을 대상으로 장딴지빗근힘줄의 닿는곳 형태와 위치에 따른 해부학적 분류

        박광락,조재호,최유진,김디귿,권형욱,장혜진,강한솔,박정현 대한체질인류학회 201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2 No.4

        The plantaris muscle is a small muscle with a short belly and long thin tendon that forms part of the posterior superficial compartment of the cal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insertion type of plantaris tendon of Korean population, to measure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by measuring the width and thickness, and to obtain clinically applicable anatomical basis data. The dissection was performed on 68 lower limbs (34 right, 34 left) fixed in formalin mixture. The types of insertion of plantaris tendon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rea and location of insertion into calcaneal tuberosity and calcaneal bone. In this study, all five types were identified. 25 limbs (36.8%) were classified into type 1, 8 limbs (11.8%) into types 2 and 3 respectively, 5 limbs (7.4%) into type 4, 18 lower extremities (26.5%) into type 5. The plantaris tendon was found to be absent in 4 lower limbs (5.9%). No differences in body side or gender were found in the insertion type of plantaris tendon. The thickness of the plantaris tendon was 0.72±0.27 mm for males and 0.59±0.18 mm for females, and males were thicker than females (p=0.029).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enders in the width of the plantaris tendon. In conclusion, this study not only examin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antaris tendon in Korean population, but also presented basic anatomical data that doctors can apply to clinical practice. 장딴지빗근 (plantaris muscle)은 종아리의 뒤쪽 표면 영역의 일부를 형성하는 짧은 힘살 (belly)과 길고 얇은힘줄을 가진 작은 근육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시신의 장딴지빗근힘줄의 닿는곳 형태를 분류하고, 너비와 두께를 측정하여 체질인류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임상적으로 적용 가능한 해부학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함이다. 포르말린 혼합액으로 고정된 한국인 시신 34구 (남자 21구, 여자 13구)의 하지 68쪽을 사용하였으며, 시신의 평균나이는78.5±9.7세였다. 장딴지빗근힘줄의 닿는곳 형태는 발꿈치뼈 (calcaneal bone)와 발꿈치뼈융기 (calcaneal tuberosity)의닿는곳 위치와 영역에 따라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의 분류법에 따른 5가지의 유형을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1유형은 25쪽 (36.8%), 2유형과 3유형이 각각 8쪽 (11.8%), 4유형은 5쪽 (7.4%), 5유형이 18쪽 (26.5%)이었다. 그리고 장딴지빗근이 존재하지 않는 비율이 4쪽 (5.9%)으로 나타났다. 장딴지빗근힘줄의 닿는곳 유형에서 성별과 오른발·왼발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장딴지빗근힘줄의 너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께에서는 남자가 0.72±0.27 mm, 여자가 0.59±0.18 mm로 남자가 여자보가 더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 (p=0.029).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장딴지빗근힘줄의 형태학적 특성을 규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의사들이 임상에 적용 가능한 해부학적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딴지빗근 이는곳, 주행 및 닿는곳의 복합 변이: 증례보고

        박광락(Kwang Rak Park),조재호(Jaeho Cho),최유진(Yu Jin Choi),김디귿(Digud Kim),권형욱(Hyung Wook Kwon),이미정(Mijeong Lee),윤관현(Kwan Hyun Yoon),박정현(Jeonghyun Park) 대한체질인류학회 202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3 No.3

        통상의 해부학 교육과정에서 만 89세의 한국인 남성의 종아리뒤칸 얕은근육무리에서 장딴지빗근의 이는곳, 힘살 주행 및 힘줄이 닿는곳에서 복합적인 변이가 관찰되어 다음과 같이 보고하고자 한다. 첫째, 장딴지빗근의 이는곳이 넙다리뼈의 가쪽관절융기와 무릎관절주머니 위쪽의 오금면에서 시작하는 변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힘살의 주행이 가쪽관절융기 안쪽과 정강신경의 사이를 따라 내려오는 변이를 관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아주 짧은 형태의 힘줄이 장딴지근의 가쪽갈래와 안쪽갈래가 만나는 지점에서 장딴지근 근막 앞면에 융합되는 변이를 확인하였다. 장딴지빗근의 이러한 복합적인 변이는 우리가 알고 있는 한 이전에 보고된 바가 없는 경우로서, 장딴지빗근 힘줄의 수확 또는 수술과 같은 외과적 접근이 필요한 의사들에게 임상적으로 유용한 해부학적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During routine educational dissection, we found complex variations of plantaris muscle, including origin, course of muscle belly, and tendon insertion, from the 89-years-old Korean male leg. First, we identified a variation in which plantaris muscle originates from the lateral condyle of the femur and the popliteal surface above the knee joint capsule. Second, variation was observed in the course of the muscle belly passing between the inside of the lateral condyle and the tibial nerve. Finally, the tendon was very short and showed an insertion variation that fused to anterior surface of the muscle fascia at the point where the lateral head and medial head of the gastrocnemius muscle merged. These complex variations of plantaris muscle have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our literatures review and will be clinically useful to surgeons for the surgical approach to harvest of tendon as well as for presence or absence of tendon.

      • KCI등재

        장딴지빗근의 불완전한 형성에 대한 변이: 증례 보고

        박광락(Kwang Rak Park),조재호(Jaeho Cho),최유진(Yu Jin Choi),이미정(Mijeong Lee),김디귿(Digud Kim),권형욱(Hyung Wook Kwon),박정현(Jeonghyun Park) 대한체질인류학회 2021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34 No.2

        의과대학의 통상적인 해부학 교육과정에서 82세의 한국인 남성의 오른쪽 종아리뒤칸 얕은근육무리에서 장딴지빗근의 힘살이 이는곳과 힘줄이 주행 중 소멸되는 변이가 관찰되어 다음과 같이 보고하고자 한다. 첫째, 장딴지 빗근의 이는곳이 장딴지근 가쪽갈래의 이는곳인 가쪽관절융기위쪽의 약간 안쪽으로 기존의 이는곳과 비교하였을 때 더 아래안쪽인 변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힘줄이 일반적인 주행 양상을 보이다가 종아리의 몸쪽 1/3 지점에서 장딴지근이나 가자미근에 융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가늘어지다 소멸되는 변이를 관찰하였다. 장딴지빗근의 이러한 변이는 매우 드믄 경우로 힘줄이식수술과 같은 임상적 적용이나 장딴지빗근의 발생학적인 측면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유용한 해부학적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We present a case of variation of origin and tendon disappearance in a 58-year-old Korean male cadaveric specimen in our routine dissections. First, the origin of the plantaris muscle is slightly medial above the lateral articular eminence of the lateral head of the gastrocnemius muscle. That is, compared to the normal origin, it started from the infero-medially side. Second, we observed a variation in which the tendon thins and disappears without being fused to the gastrocnemius or soleus muscle at the proximal 1/3 of the calf during the normal course. The disappearance of the plantaris tendon during the course is extremely rare. It would be an anatomical basic data that could be applied during tendon transplantation clinically or that can find the developmental sequence of plantaris muscle.

      • KCI등재
      • KCI등재

        전문무역상사의 운영모델에 관한 연구

        박광,손상 한국무역보험학회 2014 무역금융보험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2014년부터 대외무역법의 법정제도로 전환되는 전문무역상사에 대한 연구이다. 전문무역상사는 중소기업의 수출을 도와주기 위한 무역을 전문으로 하는 상사이다. 무역상사는 기능과 역할, 발전단계 등을 고려할 때 일반무역상사형, 제조기반무역상사형, 무역기반제조상사 형, 종합무역상사형 등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아울러 전문무역상사의 운영모델로는 중소무역 상사형, 중견무역상사형, 대형무역상사형, 정책무역상사형 등 4가지로 설계될 수 있다. 이번 대외 무역법에 도입되는 전문무역상사는 일반 전문무역상사와 특화 전문무역상사로 구분하게 되는데, 이들을 전문무역상사의 운영모델과 연계하여 연구하였다.

      • KCI등재

        머리뼈지수와 정중선-바위능선각 측정법을 활용한 한국인 머리뼈 형태의 분류: 시신연구

        김디귿,박광락,조재호,최유진,이미정,권형욱,최윤일,김은주,박정현 대한체질인류학회 2023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6 No.3

        머리뼈의 형태는 체질인류학 측면에서 인종에 대한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요소 중 하나이며,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적게 받으며 유전적 요인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시신을 대상으로 머리뼈 형태를 분류하기 위하여 머리뼈지수와 정중선-바위능선각 측정법을 적용하여, 각각의 방법에 따른 성별, 인종 등과 같은 개인식별자료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인에 대한 법의학적, 해부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는 국내 의과대학 해부학교실에 교육 및 연구의 목적으로 기증된 한국인 시신 31구 (남성16, 여성15)를 이용하였으며, 사망 당시 평균 나이는 76.0±13.6세 (38~99세)였다. 머리뼈지수 (Cranial index, CI)는 머리뼈최대길이와 머리뼈최대너비의 비에 100을 곱하여 산정하였으며, 정중선-바위능선각(Petrous ridge-midline angle, PMA)은 정중선과 바위능선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였다. CI 머리뼈 형태분류에서 짧은머리형이 22명 (71.0%)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중간머리형은 8명 (25.8%), 긴머리형은 1명 (3.2%)의 빈도를 보였다. PMA 머리뼈 형태분류에서는 중간머리형이 19명 (61.3%)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짧은머리형이 8명(25.8%), 긴머리형이 4명 (12.9%)의 빈도를 보였다. 성별에 대한 CI, PMA측정값과 오른쪽·왼쪽에 대한 PMA의 측정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CI에서 짧은머리형이면서 PMA에서 중간머리형인 경우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이는 임상뿐만 아니라 개인식별을 위한 법의인류학적으로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shape of the cranial bone is one of the elements that best represen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ace in physical anthropology. It is known to be les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and more influenced by genetic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y applying the cranial index and the petrous ridgemidline angle method to classify the cranial shape of the Korean population. This analysis is to identify the forensic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opulation in terms of gender and race, and to secure basic data. This study dissected 31 cadavers (16 males, 15 females) of the Korean population donated for educational and research purposes at the department of anatomy of a medical school in Korea. The mean age at death was 76.0±13.6 years (range 38~99 years). The cranial index (CI)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ratio of the maximum cranial length to the maximum cranial width by 100. The petrous ridge-midline angle (PMA) measured the angle between the midline and the petrous ridge. In the CI measurement method, Brachycranic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with 22 (71.0%) cases. In addition, mesocranic showed the frequency of 8 cases (25.8%), and Dolicocranic showed 1 case (3.2%). In the PMA cranial morphology classification, mesocranic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with 19 cases (61.3%), brachycranic with 8 cases (25.8%), and dolicocranic with 4 cases (12.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surement results of CI and PMA by gender and PMA by body side. In conclusion, the case of brachycranic in CI and mesocranic in PMA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nd this will be a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forensic anthropology for individual estimation as well as clin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