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시신을 대상으로 한 앞아래정강종아리인대 아래다발의 형태학적 특성 연구

        권형욱,조재호,김디귿,최유진,박광락,박사범,최윤일,이민주,이영일,박정현 대한체질인류학회 2024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7 No.1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시신을 대상으로 발목의 앞아래정강종아리인대 아래다발의 형태를 분류하고 위치를 계측하여 발목의 충돌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앞아래정강종아리인대 아래다발의 역할에 대한 해부학적 근거를 마련하 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포르말린으로 고정된 한국인 시신(평균나이 76.86±11.97세)을 사용하여 79쪽의 발을 해부하였다. 남자가 50쪽, 여자가 29쪽이었으며, 오른발이 40쪽, 왼발이 39쪽이었다. 앞아래정강종아리인대 아래 다발의 유형은 Edama 등의 분류법을 사용하였고, 앞아래정강종아리인대 아래다발의 존재 여부, 앞아래정강종아리 인대 아래다발의 유형과 앞아래정강종아리인대 아래다발의 길이와 너비, 앞아래정강종아리인대 아래다발과 앞목말 종아리인대와의 병합 유무, 먼쪽정강이뼈의 관절면과 앞아래정강종아리인대 아래다발의 아랫면이 이루는 각도를 측 정하였다. 연구 결과 앞아래정강종아리인대 아래다발은 96.2%에서 확인되었으며, 제I유형이 20쪽(25.3%), 제II유형 이 21쪽(26.5%), 제III유형이 24쪽(30.3%), 제IV유형이 11쪽(13.9%), 없음이 3쪽(3.7%)으로 나타났다. 먼쪽 정강이 뼈의 관절면과 앞아래정강종아리인대 아래다발이 이루는 경사각은 138.2±13.4°였으며, 앞아래정강종아리인대의 아 래다발과, 앞목말종아리인대는 61.8%로 병합이 확인되었다. 앞아래정강종아리인대의 아래다발의 길이는 21.6±2.6 mm였으며, 너비는 정강이뼈부착부위가 5.9±1.3 mm, 인대의 정중간부위가 3.9±0.8 mm, 종아리뼈부착부위가 3.6± 0.7 mm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체질인류학적 기초자료를 작성하였고, 발목의 안쪽번짐염좌와의 연관성을 밝 혀내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해부학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와 더불어 생체역학적인 연구를 통해서 발목염좌에서 앞아래정강종아리인대 아래다발과 앞목말종아리인대의 연관성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볼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ferior fascicle of the anterior 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AITFL) in Korean cadavers and provide anatomical evidence regarding the role of the inferior fascicle of the AITFL in ankle impingement syndrome. For this study, 79 feet from formalin fixed Korean cadavers(76.86±11.97 years) were dissected, 50 male and 29 female feet, 40 right and 39 left feet. The inferior fascicle of the AITFL were classified using Edama et al’s method. Also, its length, and width were measured, as well as the conjoined between it and the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ATFL) and the angl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it and articular surface of the tibia plafond. As a result, the inferior fascicle of the AITFL was confirmed in 96.2% of cases, with type Ⅰ in 20 feet (25.3%), type Ⅱ in 21 feet (26.5%), type Ⅲ in 24 feet (30.3%), type Ⅳ absent in 11 feet (13.9%), and absent in 3 feet (3.7%). The angle between the articular surface of the distal fibula and the inferior fascicle of the AITFL was 138.2±13.4°, conjoined between the inferior fascicle of the AITFL and the ATFL was confirmed in 61.8% of cases. The length of the inferior fascicle of the AITFL was 21.6±2.6 mm, and the width at the attachment site of the tibia was 5.9±1.3 mm, at the midpoint of the ligament was 3.9±0.8 mm, and at the attachment site of the fibula was 3.6±0.7 mm. In conclusion, we established anthropological data of the Koreans and provided anatomical evidence that can be applied clinically to understand the association with ankle sprains.

      • KCI등재

        한국인 발목관절에서 앞목말종아리인대의 해부학적 특성 연구

        권형욱,박정현,김디귿,박광락,이미정,최유진,강한솔,윤관현,조재호 대한체질인류학회 201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2 No.4

        The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ATFL) plays a role to stabilize ankle joint and prevent ankle sprain by limiting the motion range of ankle joi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shapes of the ATFL according to the shape and type of bands. For this study, formalin-fixed 42 Korean cadavers were used and 74 feet were dissected (49 males and 25 females / 38 right, 36 left). The average age was 77 years old. The number of bands in the ATFL was counted according to Kakegawa et al. The location of the attachment area of ATFL was determined. It’s length and width were also measured. All of them were measured in prone position, and in neutral position of ankle.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software (SPSS, Chicago, IL).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determin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independent T-tests were used to identify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left and right, and type of ATFL. As a result, type 1 and type 2 in the ATFL accounted for 48.6% and 51.4% of feet respectively. The length of the ATFL was 20.6±2.4 mm, the width of the proximal attachment was 13.7±3.4 mm, the mid-point was 12.9±3.5 mm, and the distal attachment was 13.0±3.4 mm. Type 2 was wider than type 1 (p<.001), type 1 was longer than type 2 (p<.05), and male ATFL was longer than female (p<.05). In conclusi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TFL in Koreans were different from other ethnic group. The continuous accumulation of morphological data on ATFL will offer the basic data of Korean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t will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ankle, as well a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nkle disease. 앞목말종아리인대는 발목관절의 운동 범위를 제한하여 발목 염좌를 포함한 발목관절질환으로부터 관절을안정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목의 가쪽곁인대인 앞목말종아리인대를 띠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길이와 너비를 측정하여 한국인의 앞목말종아리인대의 해부학적 특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재료는 한국인 성인시신 42구를 사용하였으며 74쪽의 발을 해부하였다. 남자가 49, 여자가 25쪽이었으며, 사망 시 평균나이 77세로 오른쪽이 38, 왼쪽이 36쪽이었다. 시신은 엎드린 자세에서, 발목은 중립자세로 위치시킨 후, 기존 분류를 사용하여 앞목말종아리인대의 띠의 유형을 분류하였고, 앞목말종아리인대의 길이와 너비를 측정하였다. 앞목말종아리인대의 띠의 유형은 제1유형이 48.6%, 제2유형이 51.4%를 차지하였다. 앞목말종아리인대의 길이는 20.6±2.4 mm였고, 너비는 몸쪽 부착부위가 13.7±3.4 mm, 인대의 중간부위가 12.9±3.5 mm, 먼쪽 부착부위가 13.0±3.4 mm였다. 앞목말종아리인대의 너비는 제2유형이 제1유형보다 인대의 너비가 넓었고 (p<.001), 제1유형이 제2유형보다 길이가 길었으며 (p<.05), 남자가 여자보다 인대의 길이가 길었다 (p<.05). 결론적으로, 한국인의 앞목말종아리인대의 형태학적 특성은 타 인종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향후, 앞목말종아리인대에 대한 형태학적 자료를 지속적으로 축적하는 것은한국인의 체질인류학적 특성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며, 발목의 해부학적 구조를 이해함과 아울러 발목질환의 진단과치료, 나아가 재활프로그램 작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셋째종아리근힘줄 닿는곳의 특징에 따른 형태학적 분류: 시신연구

        권형욱,박정현,조재호,최유진,박광락,이미정,김디귿,박사범 대한체질인류학회 2023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6 No.1

        The fibularis tertius muscle originates on the medial surface of the fibula and attaches to the proximal portion of the fifth metatarsal bon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anatomical basis for the role of the fibularis tertius tendon in the mechanism of fifth metatarsal avulsion fracture by classifying the shape and location of the fibularis tertius tendon in Korean cadavers. For this study, 89 feet were dissected using formalin-fixed Korean cadavers. There were 61 male and 28 female, and the average at death age was 78.79±11.00 years. Ercikti’s method was applied for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sertion in the fibularis tertius tendon, and the width of the footprint of insertion was measured additionally. As a result, the fibularis tertius tendon was type 1 (one-branch) in 56% and type 2 (two-branch) in 44%. Tendons were absent in 7 feet (7.9%), type 1a in 2 feet (2.2%), type 1b in 26 feet (29.2%), type 1c had 16 feet (18.0%), type 1d had 2 feet (2.2%), type 2a had 35 feet (39.3%), and type 2b) was 1 feet (1.1%). The width of the fibularis tertius tendon attachment site was 15.50±2.12 mm in types 1a, 19.23±3.91 mm in types 1b, 17.43±3.91 mm in types 1c, 12.22±7.07 mm in types 1d, 20.42±5.12 mm in type 2a, 20.00 mm in type 2b.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width of the fibularis tertius tendon according to gender and side. In conclusion, the shape of the fibularis tertius tendon contact point would be able to load the proximal attachment part of the fifth metatarsal bone. Based on this, we suggest the need for a schematic study or biomechanical study of the fibularis tertius tendon in relation to the fifth metatarsal avulsion fracture. 셋째종아리근은 종아리뼈의 안쪽면에서 시작하여 다섯째발허리뼈의 몸쪽부분에 부착하는 근육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시신을 대상으로 셋째종아리근의 닿는곳의 형태를 분류하고 위치를 계측하여 다섯째발허리뼈의 찢김골절의 발생 기전에 작용하는 셋째종아리근힘줄의 역할에 대한 해부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함이었다. 이를 위하여 포르말린으로 고정된 한국인 시신의 발 89쪽 (남자 61쪽, 여자 28쪽)의 발을 해부하였다. 셋째종아리근힘줄에서 닿는곳의 형태학적 분류는 Ercikti 등의 분류법을 사용하였고, 다섯째발허리뼈에 닿는 셋째종아리근의 너비를 측정하여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셋째종아리근힘줄은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 1유형 (한갈래) 56%, 2유형 (두갈래) 44%였다. 힘줄이 없는 경우가 7쪽이었으며 (7.9%), 1a유형은 2쪽 (2.2%), 1b유형은 26쪽 (29.2%), 1c유형은 16쪽(18.0%), 1d유형은 2쪽 (2.2%)이었으며, 2a유형은 35쪽 (39.3%), 2b유형은 1쪽 (1.1%)이었다. 다섯째발허리뼈에 닿는 셋째종아리근힘줄의 너비는 1a유형이 15.50±2.12 mm, 1b유형이 19.23±3.91 mm, 1c유형이 17.43±3.91 mm, 1d유형이 12.22±7.07 mm였고, 2a유형이 20.42±5.12 mm, 2b유형이 20.00 mm였다. 각 유형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종아리근힘줄의 너비는 성별과 좌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셋째종아리근힘줄 닿는곳이 넓은 형태 (1b유형, 1c유형, 2a유형)가 총 86.5%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셋째종아리근힘줄의 닿는곳 형태는 다섯째발허리뼈의 몸쪽부착부위에 부하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이를 근거로 다섯째발허리뼈찢김골절과 관련하여 셋째종아리근힘줄의 닿는곳의 도식화 연구나 생체역학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 동기화된 부호 분할 다원 접속 채널을 위한 ML 최적 다중 사용자 검출기의 간단한 계산 알고리즘

        권형욱,최태영,오성근 대한전자공학회 1996 전자공학회논문지-A Vol.33 No.5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computational algorithm that can reduce significantly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the ML optimum multiuser detector known as the most excellent detector in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hannels. The proposed detector uses the sequential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the alternating maximization appraoch to obtain the ML estimates. As initial estimates for this sequential algorithm, we can use the estimated values obtained by the conventional single-user detector, the linear decorrelating multiuser detector, or the decorrelating decision-feedback muliuser detector, the linear decorrelating multiuser detector, or the decorrelating decision-feedback multiuser detector. We have performed computer simulations in order to see the convergence behaviors and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propsoed algorithm in terms of initial algorithms and the number of users, and then to compar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with that of the ML optimum multiuser detector. From the results, we have seen that the proposed alternating maximization detector has nearly equal detction performance with that of the ML optimum multiuser detctor in only a few iteration.

      • 매개곤충 연구의 현재와 미래: 모기 연구의 융복합연구

        권형욱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지구상에 사람과 가축의 질병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질병매개곤충은 모기일 것이다. 모기는 사람과 동물 그리고 가축의 혈액을 주로 흡혈하며, 동시에 병원균 및 바이러스 등을 기주동물로 옮기어 질병을 유발하는 곤충이다. 매개곤충의 곤충학에서의 역할은 생리 생태적인 연구 뿐만 아니라,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매개질병의 대발생과 기후변화 등 많은 예기치 않는 요인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모기연구의 생태 행동학적 연구 및 살충제 및 기피제의 연구와 더불어 현재 모기의 유전체, 기능단백질의 연구, 병원균과 기주동물과의 관계 연구, 형질전환 응용, 분자수준에서의 후각행동 연구, 융복합 연구를 통한 바이오의약 연구는 앞으로 매개곤충을 모델로 한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고, 이러한 분야는 곤충학 기반 연구에서부터 다른 IT분야 등과 융합할 수 있는 분야로 발전하고 있다. 본 발표는 모기를 이용한 학문과 연구의 방향 등을 소개하며, 최근에 발견한 새로운 연구 사실들을 통하여 응용곤충학 분야의 확장 가능성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인 발목관절에서 발꿈치종아리인대의 해부학적 특성 연구

        권형욱(Hyungwook Kwon),조재호(Jaeho Cho),김디귿(Digud Kim),박광락(Kwangrak Park),이미정(Mijung Lee),최유진(Yujin Choi),윤관현(Kwanhyun Yoon),박정현(Jeonghyun Park) 대한체질인류학회 202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3 No.3

        발꿈치종아리인대는 발목의 안쪽번짐에서 발목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시신에서 발꿈치종아리인대의 인류학적 특성을 평가하여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재료는 포르말린으로 고정한 한국인 성인 시신 69구를 사용하여, 125쪽의 발을 해부하였다. 남자가 75쪽, 여자가 50쪽이었고, 사망시 평균 나이 76세였으며, 오른발이 63쪽, 왼발이 62쪽이었다. 발목을 중립자세로 한 후, 발꿈치 종아리인대의 부착부위를 확인하였다. 또한, 인대의 너비와 길이를 측정하였고, 발꿈치종아리인대와 앞목말종아리인대의 병합 유무와 두 인대가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였다. 발꿈치종아리인대의 부착부위는 종아리뼈의 끝에서 8.6± 2.7 mm 떨어진 곳이었다. 인대의 너비는 종아리뼈부착부위가 7.4±1.5 mm, 인대의 정중간부위가 6.7±1.4 mm, 발꿈치뼈부착부위가 7.8±1.6 mm였으며, 인대의 길이는 22.0±2.7 mm였다. 발꿈치종아리인대와 앞목말종아리인대의 병합은 모든 발에서 확인되었으며, 두 인대가 이루는 각도는 113.8±16.6°였다. 인대의 길이는 남자가 여자보다 길었으며, 두 인대가 이루는 각도는 남자가 여자보다 컸다. 이 해부학적 자료는 발목의 해부학적 구조를 이해하고 발목 부상의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calcaneofibular ligament (CFL) plays an important role in ankle joint stability during invers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CFL in Korean cadavers an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clinicians. For this study, formalin-fixed 69 Korean cadavers were used and 125 feet (75 males and 50 females/63 right, 62 left) were dissected. The average age was 76.3 years old. In neutral position of ankle, the attachment area of the CFL was identified. Also, both width and length of the CFL were measured. In addition, the conjoined pattern and the angle between the CFL and the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ATFL) were measured. The attachment of the CFL averaged 8.6±2.7 mm at the tip of fibular. The width of the fibula attachment, that of the middle part of the ligament and that of the calcaneal attachment were 7.4±1.5 mm, 6.7±1.4 mm, and 7.8±1.6 mm respectively. The length of the CFL was 22.0±2.7 mm. The connection of the CFL and the ATFL was confirmed in all specimens, and the average angle between the CFL and the ATFL was 113.8±16.6°. The ligaments were longer in male than in female, and the angles between two ligaments were wider in male than in female. This data will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ankle ligament, as well a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nkle ligament injury.

      • SCIEKCI등재SCOPUS

        배추좀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대한 한방식물체 추출물의 살충 및 섭식저해활성

        권형욱(Hyung Wook Kwon),안용준(Young Joon Ahn),권정현(Jeong Hyun Kweon),이상길(Sang Gil Lee),변병호(Byung Ho Byun)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4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7 No.6

        Methanol extracts from 45 species of oriental medicinal plants belonging to 17 families were subjected to a screening test for their larvicidal and antifeeding activities against two species of lepidopteran larva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 and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F.) by a leaf-dipping method. At a concentration of 8,000 ppm, methanol extract of Corydalis turrschaninovii roots only was found to have potent larvicidal activity against S. litura. At 5,000 ppm, strong antifeeding activity against both larvae was observed from the extracts of Clerodendron trichotomum, C. trichotomum var. esculentum, Inura helenium, Arctium lappa, Artemisia messerschmidtiana, Anthriscus sylvestris, Angelica dahurica, and C. turrschaninovi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