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Supply Chain Management Factors on Supply Chain Control Risks and Financial Performance - Focused on Import and Export Manufacturing Enterprises -

        김창봉(Chng-Bong Kim),민병걸(Byoung -Ger Min),박상안(Sang-An Park) 한국국제상학회 2019 國際商學 Vol.34 No.3

        글로벌 공급체인 위험관리는 물류산업의 발전 및 해외로 수출하는 제조업 분야의 증감과 함께 글로벌 공급체인에 관한 연구가 새로운 비즈니스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수출입 제조기업의 공급체인 위험 관리를 위한 결정요인을 도출하고 기업의 공급체인 향상을 위한 위험 통제 전략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수출입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수집된 150부의 설문지를 통한 실증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파트너십 요인은 공급체인 위험 통제와 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세스 혁신 요인은 수요위험 통제수준과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요위험 통제수준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공급체인 위험관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파트너십과 프로세스 혁신, 그리고 수요 위험 통제 전략을 통하여 공급체인 위험 관리에 대한 체계적이고 단계적 구축이 요구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mpact of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building factors on supply chain risk control and derive determinants of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paper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150 import and export manufacturers in Korea.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building factors, supply chain risk control risk, and financial performance. Results : According to this research, we found as follows. First, Partnership have a positive impact on supply chain risk control and corporate risk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Process innovation facto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demand risk management and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company. Third, Demand risk management factor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Conclusions : Companies that have made continuos efforts to establish partnership, such as establishing partnership and process innovation, have been able to reliability control the major risks in supply chain, such as supply and demand risks.

      • KCI등재

        RapidEye 영상을 이용한 북한의 논 면적 산정

        홍석영(Suk Young Hong),민병걸(Byoung-Keol Min),이지민(Jee-Min Lee),김이현(Yihyun Kim),이경도(Kyungdo L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5 No.6

        북한과 같이 접근이 힘들고 농업과 관련된 정보가 부족한 지역을 대상으로 RapidEye 위성영상의 판독 및 분류를 통하여 가장 기초적인 농업 현황과 생산 기반인 논 면적을 산정하였다. 291개의 RapidEye 영상을 이용하여 북한 전역을 대상으로 시기별로 논을 분류하기 위한 영상 판독 기준을 설정하였다. 5월 초에서 6월 말은 벼 이앙을 위해 관개를 하기 때문에 벼 이앙 전후에 물의 특성이 위성영상에서 잘 관측되기 때문에 영상이 어둡게 보이는 점을 이용하여 논과 다른 토지이용을 구분한다. 주요 벼 생육시기인 7월 초부터 9월 말에는 RapidEye 영상을 5:3:2 밴드조합으로 하여 영상을 판독하면 벼논의 색상과 질감의 차이를 이용하여 밭작물, 초지, 산림으로부터 논을 분류한다. 9월 말부터 10월 말은 벼 수확을 한 후로 논에 식생이 없는 시기로써 5:3:2 밴드 조합에서 회색빛이 나는 경지 형태를 대상을 논으로 판독한다. 그 결과 북한 전역에 대한 논 분포지도를 작성하였고 시도 행정구역별로 논 면적을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논은 평안남북도와 황해남도가 위치한 서해안 평야지대에 전체 논 면적의 66% 정도인 3,521 km2가 분포하였고 함경남북도, 강원도, 나선시와 같이 동해에 인접한 지역의 논 면적은 1,172 km2로 전체 논 면적의 약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apidEye 영상을 이용하여 분류한 논 면적은 2001년 및 2010년 FAO/WFP 북한 보고서와 비교할 때 각각 1% 이내의 면적 편차를 나타내었다. RapidEye 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의 논 분류 결과는 농경지 이용 면적의 산정과 변화, 벼 수량 추정을 위한 마스킹 (masking)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기본 자료로 의미가 매우 큰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에는 밭에 대한 분류 지도를 구축하고 나아가 옥수수와 같은 주요 밭작물에 대한 판독 방법에 대해서도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motely sensed satellite images can be applied to monitor and obtain land surface information on inaccessible areas. We classified paddy field area in North Korea based on on-screen digitization with visual interpretation using 291 RapidEye satellite images covering the whole country. Criteria for paddy field classification based on RapidEye imagery acquired at different time of rice growth period was defined. Darker colored fields with regular shape in the images with false color composite from early May to late June were detected as rice fields. From early July to late September, it was hard to discriminate rice canopy from other type of vegetation including upland crops, grass, and forest in the image. Regular form of readjusted rice field in the plains and uniform texture when compared with surrounding vegetation. Paddy fields classified from RapidEye imagery were mapped and the areas were calculated by administrative district, province or city. Sixty six percent of paddy fields (3,521 ㎢) were distributed in the west coastal regions including Pyeongannam-do, Pyeonganbuk-do, and Hwanghaenam-do. The paddy field areas classified from RapidEye images showed less than 1% of difference from the paddy field areas of North Korea reported by FAO/WFP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World Food Programme).

      • SCOPUSKCI등재

        펄프 섬유에 대한 Valley Beater와 디스크 리파이너의 효과 비교 연구

        이지영(Ji-Young Lee),김철환(Chul-Hwan Kim),권솔(Sol Kwon),이민석(Min-Seok Lee),민병걸(Byung-Gul Min)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16 펄프.종이기술 Vol.48 No.5

        Refining or beating is adopted to improve bonding ability of pulp fibers thereby forming a strong and uniform paper sheet. The refining effects on pulp fibers include fiber shortening and fines generation as well as internal and external fibrillation. In general, we have been using a laboratory Valley beater instead of refiner in order to estimate refining effects on pulp fibers. Since the Valley beater is different from a disk refiner in refining mechanism, we needed to understand their representative results using the same pulp fibers. For refining of long fibered pulp, the Valley beater created shorter mean fiber length and more fines than did the disk refiner equipped with a wide bar width. On the other hand, for refining of short fibered pulp, the disk refiner equipped with a narrow bar width generated longer mean fiber length and fewer fines than did the Valley beater. For strength properties, the Valley beater contributed to better development of sheet strength than did the disk refiner. In conclusion, it must be kept in mind that the amount of refining depends upon pulp types, refiner types, plate bar pattern, stock consistency, and so on.

      • 인공위성을 이용한 벼 재배면적 조사 시범연구

        김배성(Baesung Kim),박미성(Misung Park),송성환(Sunghwan Song),민병걸(Byoungkeol Min)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자료 Vol.- No.-

        본 연구는 선진국과 수산업 분야에 비해 실제적인 원격탐사 기술 도입이 이루어지지 못한 농업관측 분야에 원격탐사 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시범 연구를 수행하였다. 농업관측 업무에 원격탐사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통해 비교적 원격탐사 기술 적용이 용이한 것으로 파악된 벼 재배지역에 대해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벼 재배면적을 산출하였다. 이를 위해 벼 재배면적이 비교적 넓은 당진지역을 시범지역으로 정하고, 무상 또는 저렴한 가격에 자료 확보가 가능한 아리랑 2호 위성영상을 사용하여 시범 연구를 추진하였다. 위성영상분류는 크게 객체의 분할(Segmentation)과 분할된 객체를 기준으로 객체기반분류(Object based Classification), 그리고 정확도 검수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고, 육안판독의 정확도와 현장검증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육안판독을 통한 정확도 검증이 실제로 현장검증을 통한 정확도와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논에 대한 분류 정확도는 평균 90.8%로 나타났다. 이 연구가 전문가 육안판독을 하지 않고, 현장조사를 통한 보정작업을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의 분류 정확도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평가된다. 향후 전문가 육안판독과 더불어 현장조사를 통한 보정작업이 병행될 때 정확도는 95∼98% 이상 제고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타당성 검토 등의 연구 수준을 넘어 실질적으로 원격탐사 기술을 농업관측에 활용함으로써 원격탐사를 이용한 벼 재배면적 조사에서의 농업관측 업무의 가능성은 입증되었다. 그러나, 고해상도 위성영상만을 활용하여 관측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영상 수급의 문제 및 고가의 처리비용 등으로 사전관측 및 예측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향후에는 영상처리비용이 적고, Scene 당 활용 면적이 넓어 영상 수급이 비교적 용이한 중해상도 영상의 도입이 검토 되어야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pilot study on using satellite images to forecast agricultural outlook. Many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have been using satellite images to produce agricultural statistics and outlook analysis. In Korea, some institutions such a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Maritime Institute use satellite images for their works. In this paper, we estimated rice acreage by using satellite images. Rice was chosen because the acreage of the crop can easily be identified by using remote sensing technology. Dangjin, a rural county with a large rice acreage, was chosen as the sample region. Kompsat-2 satellite images were used since they were inexpensive to obtain. The method used to classify satellite images is based on three key concepts: segmentation, object-based classification, and accuracy verification. We compared the accuracy of analyzing satellite images with the accuracy of on-site inspections. We found that the accuracy of analyzing satellite images was not different from the accuracy of on-site inspections. The accuracy of identifying rice paddy fields was very high at 90.8% on average. This study showed that remote sensing technology can actually be used to estimate rice acreage and forecast agricultural outlook.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use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because they are not readily available, and thus expensive to proces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using medium-resolution satellite images.

      • KCI등재

        항공사진을 이용한 훼손 산지 탐지 연구

        함보영(Ham, Bo Young),이천용(Lee, Chun Yong),변혜경(Byun, Hye Kyung),민병걸(Min, Byoung Keol) 대한공간정보학회 2013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1 No.3

        사회 변화에 따라 산지이용 수요가 증가하고 다양화되면서 산림을 훼손하고, 타 용도로 활용하는 산지의 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최근 훼손된 산지의 면적을 효과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두 시기의 항공사진을 활용한 훼손산지 변화탐지 기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법은 객체기반 변화탐지 형식으로, 영상 혼합 - 객체 분할 - 객체 병합 - 노이즈 제거 - 훼손지 추출의 5가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훼손 산지에 적합한 객체생성 수준을 선정하고, 객체를 분할·병합하는 과정을 통해 객체 간의 관계와 각 객체가 지닌 분광 특성 및 정황적(Contextual) 정보를 활용하여 신규 훼손 산지를 추출하였다. 시범 영역 테스트 결과, 전체 판독범위의 12%에 해당하는 훼손 산지를 추출하였고 육안판독 훼손산지의 평균 96%를 포함함으로써, 육안판독 전·후의 보완 자료로서의 가치와 자동추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With high social demands for the diverse utilizations of forest lands, the illegal forest land use changes have increased. We studied change detection technique to detect changes in forest land use using an object-oriented segmentation of RED bands differencing in multi-temporal aerial photographs. The new object-oriented segmentation method consists of the 5 steps, “Image Composite - Segmentation - Reshaping - Noise Remover - Change Detection”. The method enabled extraction of deforested objects by selecting a suitable threshold to determine whether the objects was divided or merged, based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objects, spectral characteristics and contextual information from multi-temporal aerial photographs. The results found that the object-oriented segmentation method detected 12% of changes in forest land use, with 96% of the average detection accuracy compared by visual interpret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spatial data by the object-oriented segmentation method can be complementary to the one by a visual interpretation method, and proved the possibility of automatically detecting and extracting changes in forest land use from multi-temporal aerial photographs.

      • UAV 기반의 고랭지배추 주산단지 재배현황맵 활용방안

        나상일 ( Sangil Na ),박찬원 ( Chanwon Park ),이경도 ( Kyoungdo Lee ),민병걸 ( Byoungkeol Min ),백신철 ( Shinchul Baek ),한중곤 ( Junggon Han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배추는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많이 소비하는 채소 중 하나로서 출하되는 시기에 따라 월동배추(3~4월), 봄배추(5~6월), 여름배추(8월~9월), 가을배추(10월~11월)로 구분된다. 그 중 여름배추는 높은 온도와 습도로 인한 생리장해와 병해충으로 평지에서 재배하기 어려워 대부분 고랭지 지역 노지에서 재배되고 있어 고랭지배추라고도 한다. 고랭지는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점차 낮아지는 기후특성 때문에 포장재배 가능 기간이 짧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평난지에서 고온으로 재배가 어려운 각종 채소작물의 단경기 고품질 생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재배면적 감소와 기상이변으로 가격 변동이 커짐에 따라 고랭지배추 가격은 매년 사회적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채소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재배 면적 및 단수 예측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2015년부터 2018년까지 4년간 채소 작황과 관련된 연구에 무인비행체 영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국립농업과학원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랭지배추 주산단지 중 하나인 강원도 강릉시 안반덕의 재배현황맵 작성 현황 및 활용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재배현황맵이란 무인항공기(UAV)로 촬영한 영상 분석 결과와 현장 표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필지별 정식시기, 작물 분포, 생육 상황 등을 지도에 표시한 것으로 이를 통해 수확시기 추정, 재배면적 산정, 생육 이상 평가 등이 가능하다. 특히, UAV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은 10cm 내외의 고공간해상도로 들녘 단위 재배단지의 필지별 생육상황 파악이 가능하고 기상이변 등에 따른 작황변화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주산지별로 정보가 축척되면 생산량 변동을 신속·정확하게 추정하여 채소 가격 안정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MODIS NDVI와 기상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벼 수량 추정

        홍석영 ( Suk Young Hong ),허지나 ( Ji Na Hui ),안중배 ( Joong Bae Ahn ),이지민 ( Jee Min Lee ),민병걸 ( Byoung Keol Min ),이충근 ( Chung Kuen Lee ),김이현 ( Yi Hyun Kim ),이경도 ( Kyung Do Lee ),김선화 ( Sun Hwa Kim ),김건엽 ( Gun 대한원격탐사학회 201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8 No.5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의 면적 산정과 다양한 작물의 생산량 추정을 위해 많이 활용되고 있는 MODIS 영상과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벼 수량을 추정해보고자 하였다. Terra와 Aqua 위성으로 부터 얻어진 시계열 MODIS NDVI 자료를 구축하고 수량과의 상관성이 높은 시기를 선택하여 기상자료와 함께 다중회귀 모형 기반으로 우리나라 벼 수량을 추정하였다. 2002년부터 2010년까지 MODIS 위성 식생지수 NDVI와 기상자료(일조시간 및 일사량)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벼 수량 추정을 위한 다중 회귀모형을 작성하였다. MODIS NDVI와 관측소 기상자료 1을 이용한 모형으로 2011년 쌀 수량 추정한 결과 494.6 kg 10a-1로 통계청이 발표한 최종 수량과는 1.1 kg 10a-1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IS NDVI와 관측소 기상자료 2를 이용한 모형으로 2011년 쌀 수량 추정한 결과 509.7 kg 10a-1로 통계청이 발표한 최종 수량과 14.1 kg 10a-1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2년부터 2011년까지의 우리나라 쌀 수량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rice yield in Korea using satellite and meteorological data such as sunshine hours or solar radiation, and rainfall. Terra and Aqua MODIS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products; MOD13 and MYD13 for NDVI and EVI, MOD15 and MYD15 for LAI, respectively from a NASA web site were used. Relations of NDVI, EVI, and LAI obtained in July and August from 2000 to 2011 with rice yield were investigated to find informative days for rice yield estimation. Weather data of rainfall and sunshine hours (climate data 1) or solar radiation (climate data 2) were selected to correlate rice yield. Aqua NDVI at DOY 233 was chosen to represent maximum vegetative growth of rice canopy. Sunshine hours and solar radiation during rice ripening stage were selected to represent climate condition, Multiple regression based on MODIS NDVI and sunshine hours or solar radiation were conducted to estimate rice yields in Korea. The results showed rice yield of 494.6 kg 10a-1 and 509.7 kg 10a-1 in 2011,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 from statistics were 1.1 kg 10a-1 and 14.1 kg 10a-1, respectively. Rice yield distributions from 2002 to 2011 were presented to show spatial variability in the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