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경근 질환 아동의 섭식 장애와 중재 방법

        민경철,이정선 대한연하재활학회 2020 Swallowing Rehabilitation Vol.3 No.2

        신경근 질환은 척수의 운동신경세포에서 운동신경근, 말초신경, 신경근 접합부까지의 하위 운동 신경(lower motor neuron) 장애와 근육 자체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유병률은 약 3000분의 1이다. 신경근 질환 중 척수근육위 축증과 듀센형 근이영양증이 가장 흔하며, 근력 및 근긴장도 저하, 기타 심부 건 반사 저하 또는 소실, 감각 장애, 이완성 마비, 근 위축 등의 문제가 주요하게 나타난다. 신경근 질환 아동은 질환적 특징으로 인해 구강안면 근육 저하, 입 벌림, 혀 등의 구강 구조물 움직임 제한, 높은 아치형 구개, 위축되거나 비대한 혀, 홀쭉한 볼(sunken cheeks), 음식덩이 형성과 씹 기 어려움 등의 구강 운동 문제, 인두 및 후두 근육 영향으로 인한 삼킴의 어려움, 폐렴 등과 같은 삼킴 및 섭식 문제가 동반 되고 대부분 진행성으로 나타난다. 신경근 질환 아동의 삼킴 및 섭식 문제에 대한 중재로는 구강 및 인두 근육과 관련한 구강 운동 능력 증진, 씹기 능력 증진을 위한 부정 교합 치료, 삼키는 동안 흡인 위험 감소, 적절한 영양 섭취를 유지하기 위해 음식 변형을 통한 직접 식이 훈련과 심한 정도에 따른 경관식이 접근 등이 있다. 신경근 질환 아동의 주요 사망 원인인 호흡 부전에 대한 장기적인 비침습적 환기법 도입 등의 치료법 및 의학 기술의 발달로 신경근 질환 대상자의 기대 수명이 증가하 여, 삼킴 및 섭식의 장애가 더 빈번해지고 병이 진행될수록 악화되므로 연하 재활 치료 접근과 관련된 전문적인 정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신경근 질환 아동의 섭식 문제 특성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중재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Neuromuscular disease is a progressive condition caused by a disorder in the lower motor neurons, peripheral nerves, neuromuscular junction and abnormalities in the muscles, and the prevalence rate is about one in three thousand. Spinal muscular dystrophy and duchenne muscular dystrophy are most common in this disease. Symptoms are decreased muscle strength, muscle tone, absent or diminished deep tendon reflex, sensory disorders, flaccid paralysis, and muscle atrophy. Feeding and swallowing problems are common. Oral function affected by oral facial muscles, such as oral muscles weakness, limited mouth opening, hypertrophy, sunken cheeks, and oral motor problems, such as the difficulty of bolus formation and mastication are symptoms. Also swallowing problems can be caused by the dysfunction of the pharyngeal and laryngeal muscles. Therapeutic approach includes the enhancement of oral motor skills and the malocclusion therapy to enhance chewing. Direct feeding training through diet modification and tube feeding are recommended to reduce risk of aspiration and to maintain adequate nutrition. Swallowing and feeding problems are considered through life. As survivability is increasing by medical technology advances and improvements in treatment, need for specialized academ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orders of swallowing and feeding is increasing as these problems become more frequent and worsen as the disease progresses.

      • 튜브 영양 아동의 경구 영양 전환(tube weaning)에 대한 효과적인 연하재활치료 방법에 대한 고찰

        민경철 대한연하재활학회 2012 대한연하재활학회지 Vol.4 No.1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튜브 영양 아동의 효과적인 경구 영양 전환(tube weaning)을 위한 연하재활치료 방법을 문 헌 고찰을 통하여 알아보고 그 효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방법 : 경구 영영 전환에 관한 서적 및 논문 조사를 통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결과 : 경구 영양으로의 효과적인 전환은 구강으로 음식을 섭취할 수 있는 준비가 된 튜브 영양 아동에게 필수적 인 과정으로, 문헌 고찰을 통하여 알아본 치료법은 다음과 같다. 1) 감각적 접근 : 탈감각, 다감각 자극 제공, 2) 운동-기술 접근 : 발달 수준에 맞는 안전하게 먹을 수 있는 운동 기술 발달, 3) 행동 수정 접근 : 구강 섭취 증 진 및 문제 행동 감소를 위한 행동 인식, 4) 심리적 접근 : 다양한 놀이, 비강제적 식사시간 상황에서 음식, 먹는 것에 대한 자연스러운 노출 및 저항도 감소, 5) 사회적 접근 : 보호자와의 관계를 통한 음식, 먹는 것에 대한 인 식 변화, 마지막으로 6) 생리학적 조절 접근 : 식욕, 자연스러운 먹기에 대한 신체-생리학적 인식이다. 결론 : 효과적인 경구 영양 전환을 위한 다양한 치료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아동의 질환 및 특성, 튜브 영양의 원인이 다르므로, 다학제적 팀에서 주요 먹기 치료사(feeding therapist)로서의 작업치료사로서의 역할에 맞는 치료적 접근 및 아동 각각에 맞는 치료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경구 영양 전환을 위한 치료에 대한 정확한 이해 및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nd inform the effective feeding therapies for tube weaning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Methods : Search literature about tube weaning. Results : Successful transition from tube feeding to oral feeding is essential process for who are ready to eat by mouth, the methods searched by literature investigation are 1) Sensory : desensitization, multisensory stimulation, 2) Oral motor skill : To develop age-appropriate oral motor skill for safe eating, 3) Behavioral Approach : To aware behaviors for increasing oral intake and decreasing problem behavior, 4) Psychological : In various play, non-invasive mealtime, to expose naturally and to reduce resistance to food, eating, 5) Social : To change awareness of food, eating by child-parent relationship, at last 6) Physiologic : hunger vocation, natural body-physiologic awareness Conclusion : For successful tube weaning, various methods are used. Because child's causes, characters, severity are different, Occupational therapist, as a main feeding therapist in multidiscipline team, should understand and use correct method of tube weaning for individuals who are fed by tube feeding.

      • KCI등재

        작업모의 평가도구 : 발파작업표본평가 VCWS #2(크기구별)를 적용한 직업(복귀)능력평가

        민경철,정민예,이상헌 대한작업치료학회 200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2

        목적: 근로자, 산업재해근로자 및 직업훈련생, 장애인의 기능능력평가도구 및 작업단련 프로그램(work hardening)도구로 쓰이는 작업모의 평가도구 미국인의 작업수행을 기초로 개발된 발파작업표본평가 중의 하나인 발파작업표본평가 #2를 한국 정상인들의 수행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발파작업표본평가 매뉴얼에서 제공하는 직무 적합성과 작업율을 한국인에게 적용하여 직무적합성판정과 직업복귀 프로그램(작업단련프로그램)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신체적, 정신적 장애가 없는 20대 일반인 남자 30명,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발파작업표본평가 #2를 2회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를 발파작업표본평가 #2 에서 제공하는 직무에 대한 적합성(적합하지 않음A, 적합하지 않음 B, 적합함, 월등히 적합함)판정비율과 첫 번째 수행과 두 번째 수행에 있어 직무적합성 판정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결과: 남자대상자의 경우 시도 1(첫 번째 수행시간 +2번째 수행시간)에서 월등히 적합함이 15명(50%), 적합함이 14명(47%), 적합하지 않음(A)이 1명(3%)로 대상자의 97%가 적합함 이상의 판정을 받았다. 여자대상자의 경우 시도 1(첫 번째 수행시간 +2번째 수행시간)에서 월등히 적합함이 3명(15%), 적합함이 14명(70%), 적합하지 않음(A)이 3명(15%)로 대상자의 85%가 적합함 이상의 판정을 받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미루어 볼 때 발파작업표본평가 #2 매뉴얼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산재근로자의 적합성 기준과 작업율을 근거로 한 직업단련 프로그램대상자 결정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발파를 포함한 이외의 작업표준 평가도구에 대한 특성과 사용방법을 잘 알고 적용할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직업복귀 프로그램의 팀원의 일부로 참여한다면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직업복귀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재해근로자의 기능수준을 파악하여 보다 객관적인 판정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Object: This study was design to collect Korean normative data of VALPAR Component Work Sample and to identify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Meets in performance and work hardening program through level of work adaptation and work rate described in manual. Methods: 50 university students(30 males, 20 females) performed VALPAR Component Work Sample 2 twice. The rate of work adaptation(Does not meet(A), Does not meet(B), Meets, Meets may exceed) and agreement between two administration(assembly and disassembly) were assessed. Results: In men subjects, 15(50%) in Meets may exceed, 14(47%) in Meets, 1(3%) in Does not meet(A). There were 97% of subjects performed above Meets in trial(total time of two administration). In Women subjects, 3(15%) in Meets may exceed, 14(70%) in Meets, 3(15%) in Does not meet(A). There were 85% of subjects performed above Meets in trail. Conclusions: Valpar Component Work Sample may be used to determine subjects who were need to join in work hardening program and to decide objectively function level of injured worker.

      • KCI등재

        침흘림 평가의 이해

        민경철,서상민,우희순 대한연하장애학회 2022 대한연하장애학회지 Vol.12 No.2

        The definition of drooling is very broad, Drooling is characterized by saliva flowing out of the mouth or moving behind the pharynx unintentionally due to various reasons. Drooling is affected by increased salivation, and oral motor and swallowing functions. The amount depends on the situation, place, mood, and concentration. There is a need for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treatment since drooling could be stimulated by various causes, such as sensory, motor, cognitive, and behavioral. Drooling evaluation is divided into objec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s. The objective evaluation mainly measures the amount of saliva secretion using a towel, a container, and a dental swab, and assessing the frequency of drooling at a fixed time. Subjective evaluation usually evaluates the subject’s severity and frequency of drooling during certain periods. A comprehensive evaluation that identifies the effects of salivation on the subject’s daily life, social interaction, psychology, and self-esteem, and evaluates the degree of drooling according to various postures, situations, and conditions, also needs to be considered. Nevertheless, there are several difficulties in developing standardized drooling assessment tools. The evaluation contents and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the treatment approach, such as botulinum toxin treatment or oral exercise therapy. The current article will help understand and select drooling assessment tools for identifying and measuring outcomes in clinical settings and studies.

      • KCI등재후보

        작업모의평가도구: 발파작업표본평가 #2(size discrimination)를 적용한 직업(복귀)능력평가

        민경철,이상헌,정민예 대한작업치료학회 200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3

        Object: This study was design to collect Korean normative data of VALPAR Component Work Sample and to identify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Meets in performance and work hardening program through level of work adaptation and work rate described in manual. Methods: 50 university students(30 males, 20 females) performed VALPAR Component Work Sample 2 twice. The rate of work adaptation(Does not meet(A), Does not meet(B), Meets, Meets may exceed) and agreement between two administration(assembly and disassembly) were assessed. Results: In men subjects, 15(50%) in Meets may exceed, 14(47%) in Meets, 1(3%) in Does not meet(A). There were 97% of subjects performed above Meets in trial(total time of two administration). In Women subjects, 3(15%) in Meets may exceed, 14(70%) in Meets, 3(15%) in Does not meet(A). There were 85% of subjects performed above Meets in trail. Conclusions: Valpar Component Work Sample may be used to determine subjects who were need to join in work hardening program and to decide objectively function level of injured worker. 목적: 근로자, 산업재해근로자 및 직업훈련생, 장애인의 기능능력평가도구 및 작업단련 프로그램(work hardening)도구로 쓰이는 작업모의 평가도구 미국인의 작업수행을 기초로 개발된 발파작업표본평가 중의 하나인 발파작업표본평가 #2를 한국 정상인들의 수행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발파작업표본평가 매뉴얼에서 제공하는 직무 적합성과 작업율을 한국인에게 적용하여 직무적합성판정과 직업복귀 프로그램(작업단련프로그램)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신체적, 정신적 장애가 없는 20대 일반인 남자 30명,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발파작업표본평가 #2를 2회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를 발파작업표본평가 #2 에서 제공하는 직무에 대한 적합성(적합하지 않음A, 적합하지 않음 B, 적합함, 월등히 적합함)판정비율과 첫 번째 수행과 두 번째 수행에 있어 직무적합성 판정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결과: 남자대상자의 경우 시도 1(첫 번째 수행시간 +2번째 수행시간)에서 월등히 적합함이 15명(50%), 적합함이 14명(47%), 적합하지 않음(A)이 1명(3%)로 대상자의 97%가 적합함 이상의 판정을 받았다. 여자대상자의 경우 시도 1(첫 번째 수행시간 +2번째 수행시간)에서 월등히 적합함이 3명(15%), 적합함이 14명(70%), 적합하지 않음(A)이 3명(15%)로 대상자의 85%가 적합함 이상의 판정을 받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미루어 볼 때 발파작업표본평가 #2 매뉴얼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산재근로자의 적합성 기준과 작업율을 근거로 한 직업단련 프로그램대상자 결정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발파를 포함한 이외의 작업표준 평가도구에 대한 특성과 사용방법을 잘 알고 적용할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직업복귀 프로그램의 팀원의 일부로 참여한다면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직업복귀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재해근로자의 기능수준을 파악하여 보다 객관적인 판정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연하재활치료 교육 실태, 지식 및 인식도 조사

        민경철,서상민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3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status, knowledge, awareness, and readiness for dysphagia therapy among university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Methods : One hundred and five online questionnaires completed by senior-year students at an occupational therapy university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 assessed the educational status, knowledge, awareness, and readiness for dysphagia therapy. Descriptive statistics and differences between those with and without practical experience were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educational status, knowledge, and readiness were analyzed. Results : Independent opening of the dysphagia therapy class (69.5%) and experience in dysphagia practice were high (79.0%). Dysphagia education and knowledge in university and practice were moderate and item scores were higher for university education. Knowledge of adult dysphagia therapy was higher than that of pediatric dysphagia therapy. Scores on awareness, knowledge, and readiness for dysphagia therapy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students with practical experience. Conclusion : Education and knowledge of dysphagia therapy were moderate. Knowledge and readiness in adults are higher than in children. Systematic dysphagia therapy education in university and associated practices are needed to enhance the specialty of dysphagia therapy.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및 실습에서의 연하재활치료 교육 실태, 지식, 인식도 및 준비도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국내 작업치료과 및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졸업 년도 학생(3학년, 4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프로그램을 통해 수거된 105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연하재활치료 교육 실태, 지식, 연하재활치료 인식도 및 준비도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지는 빈도 및 기초 통계 분석, 실습 여부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고, 학교 및 실습에서의 교육, 지식, 준비도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연하재활치료 교과목은 단독 개설된 경우가 많았으며(69.5%), 실습 경험은 79.0%였다. 학교와 실습 모두 연하재활치료 교육 및 지식이 보통 정도였으며 학교에서의 교육 점수가 높았다. 지식 및 임상 준비도는 아동보다 성인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하재활치료에 대한 인식, 지식 및 준비도 모두 실습 경험이 있는 학생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연하재활치료 교육 및 지식은 보통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성인 연하재활치료 지식 및 준비도가 아동보다 높았다. 작업치료의 임상 전문분야 중 하나인 연하재활치료에 대한 지식 및 준비도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학교, 실습 교육이 필요하며 학교-임상 연계교육 과정이 요구된다.

      • KCI우수등재

        지형 참조 비행을 위한 Quad BTC 기반의 DSM 파일 압축

        민경철,고윤호 한국항공우주학회 2022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50 No.7

        본 논문에서는 지형 참조 비행에 사용될 DSM 파일을 임의 접근 가능하도록 압축하는 Quad BTC기법을 제안한다. 지형 참조 비행에 사용되는 지형 정보는 무인 항공기에 탑재하기에 데이터 용량이 크기 때문에 압축을 통해 그 크기를 줄여야 한다. 기존 BTC 기반의 압축 방법들은 특정 좌표에 임의 접근해 복호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지형 참조 비행에 적합하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방식들은 블록의 크기가 커질수록 값의 편차가 커지기 때문에 오차가 커지는 문제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을 적응적으로 4개의 서브 블록으로 분할하여 압축하는 Quad BTC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블록 내에서 서브 블록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실제 지형 데이터를 이용한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Quad BTC가 기존 BTC와 AM BTC보다 압축비 대비 오차가 작은 것을 확인한다.

      • KCI등재후보

        작업모의평가도구 발파작업표본평가 2 size discrimination를 적용한 직업 복귀 능력평가

        민경철,정민예,이상헌 대한작업치료학회 200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2

        Object: This study was design to collect Korean normative data of VALPAR Component Work Sample and to identify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Meets in performance and work hardening program through level of work adaptation and work rate described in manual. Methods: 50 university students(30 males, 20 females) performed VALPAR Component Work Sample 2 twice. The rate of work adaptation(Does not meet(A), Does not meet(B), Meets, Meets may exceed) and agreement between two administration(assembly and disassembly) were assessed. Results: In men subjects, 15(50%) in Meets may exceed, 14(47%) in Meets, 1(3%) in Does not meet(A). There were 97% of subjects performed above Meets in trial(total time of two administration). In Women subjects, 3(15%) in Meets may exceed, 14(70%) in Meets, 3(15%) in Does not meet(A). There were 85% of subjects performed above Meets in trail. Conclusions: Valpar Component Work Sample may be used to determine subjects who were need to join in work hardening program and to decide objectively function level of injured worker. 목적: 근로자, 산업재해근로자 및 직업훈련생, 장애인의 기능능력평가도구 및 작업단련 프로그램(work hardening)도구로 쓰이는 작업모의 평가도구 미국인의 작업수행을 기초로 개발된 발파작업표본평가 중의 하나인 발파작업표본평가 #2를 한국 정상인들의 수행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발파작업표본평가 매뉴얼에서 제공하는 직무 적합성과 작업율을 한국인에게 적용하여 직무적합성판정과 직업복귀 프로그램(작업단련프로그램)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신체적, 정신적 장애가 없는 20대 일반인 남자 30명,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발파작업표본평가 #2를 2회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를 발파작업표본평가 #2 에서 제공하는 직무에 대한 적합성(적합하지 않음A, 적합하지 않음 B, 적합함, 월등히 적합함)판정비율과 첫 번째 수행과 두 번째 수행에 있어 직무적합성 판정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결과: 남자대상자의 경우 시도 1(첫 번째 수행시간 +2번째 수행시간)에서 월등히 적합함이 15명(50%), 적합함이 14명(47%), 적합하지 않음(A)이 1명(3%)로 대상자의 97%가 적합함 이상의 판정을 받았다. 여자대상자의 경우 시도 1(첫 번째 수행시간 +2번째 수행시간)에서 월등히 적합함이 3명(15%), 적합함이 14명(70%), 적합하지 않음(A)이 3명(15%)로 대상자의 85%가 적합함 이상의 판정을 받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미루어 볼 때 발파작업표본평가 #2 매뉴얼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산재근로자의 적합성 기준과 작업율을 근거로 한 직업단련 프로그램대상자 결정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발파를 포함한 이외의 작업표준 평가도구에 대한 특성과 사용방법을 잘 알고 적용할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직업복귀 프로그램의 팀원의 일부로 참여한다면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직업복귀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재해근로자의 기능수준을 파악하여 보다 객관적인 판정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 KCI등재

        침흘림 관리 및 치료: 아동의 비침습적 치료를 중심으로

        민경철,서상민,우희순 대한연하장애학회 2021 대한연하장애학회지 Vol.11 No.2

        Drooling is defined as the unintentional flow of saliva out of the mouth or to the back of the pharynx due to salivary control problems and swallowing difficulties. Drooling is caused by posture, oral sensori-motor and cognitive problems, and medical symptoms. Treatments of drooling are defined under two criteria: 1) non-invasive treatment, which includes posture and oral motor therapy, and 2) invasive treatment, including botox injection and surgery. Drooling treatment should be initiated non-invasively and in a step-wise manner in all individuals. This mode of treatment is safe, age-free, and is considered the first line of therapy, before subjecting to invasive treatment. Clinical professionals provide non-invasive treatment via manual approaches, through passive sensori-motor stimulation to active oral motor activities. Comprehensive therapy protocols such as 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MFT) for oral sensory normalization, head and neck postural control, and oral motor function improvements, are required to help control drooling. Clinical professionals therefore need to deeply understand the reason for drooling, and provide qualified non-invasive treatment for intensifying drooling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