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SD 프로토콜 분석기 설계

        문지훈,오재철,Moon, Ji-Hoon,Oh, Jae-Chul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11

        SD 슬레이브 IP 개발 시 CMD 및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는지 분석하기 위해서 프로토콜 분석기를 이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윈도우 환경에서 Visual C++를 이용하여 SD 프로토콜을 분석할 수 있는 프로토콜 분석기를 개발하였다. SD 프로토콜 분석기는 SD 메모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임베디드 리눅스 소프트웨어와 이를 분석하기 위한 MFC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프로토콜 분석은 SD 메모리 카드에서 호스트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리눅스 소프트웨어에서 수집하여 MFC에서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실험 결과 개발된 보드를 이용하여 SD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를 읽거나 기록할 때 발생되는 CMD 종류의 확인이 가능 하였으며, 문제가 발생되는 부분에 대한 디버깅이 가능하였다. Protocol analyzer is being used to analyze proper processing of CMD & data when developing SD slave IP. In this thesis, a protocol analyzer was developed for analyzing SD protocol in Windows environment using Visual C++. SD protocol analyzer consists of embedded Linux software for storing SD memory data and MFC program for analyzing this. As for protocol analysis, it has been designed to collect data transmitted from SD memory card to host by Linux software for its analysis by MFC. It was found through the experiment that the CMD type could be confirmed that occurs when reading and writing data to SD memory card using the developed board, and debugging the problems that occur was possible.

      • KCI등재후보

        임베디드 시스템에서의 공유 메모리 컨트롤러 디바이스 드라이버 설계

        문지훈,오재철,Moon, Ji-Hoon,Oh, Jae-Chul 한국전자통신학회 2014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9 No.6

        In the AMP(Asymmetric Multiprocessing) based dual core using core-specific operating system in a single processor system, shared memory method is used to send data between processors in dual core. To used shared memory i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there is a problem of needing to solving the issue of message communication and synchronization between the two operations systems. In this paper, separate memory controller was used for data sharing between different processor cores in dual core environment. This controller can designate two slave ports to allow simultaneous access from two processors, and in the case of process data simultaneously by two processors, priority order of slave ports is determined through memory mediator. When sending data from A to B processor, SRAM area was logically separated into 8 pages. It allowed using memory area from multiple processes with the size of 4KByte per page, and control register with the size of 4Byte was used to discern the usability of current page. 단일 시스템에 코어별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AMP(Asymmetric Multiprocessing) 기반 듀얼 코어에서 프로세서간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 공유 메모리 기법을 사용한다. 서로 다른 운영체제에서 공유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두 운영체제 사이의 메시지 통신 및 동기화 문제를 해결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듀얼 코어 환경에서 서로 다른 프로세서 코어 사이에서 데이터 공유를 위해서 별도의 메모리 컨트롤러를 이용하였다. 이 컨트롤러는 두 프로세서에서 동시에 접근이 가능 하도록 두 개의 슬레이브 포트를 지정할 수 있으며, 두 프로세서에 의해서 동시에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경우 메모리 중재자에 의해서 슬레이브 포트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게 된다. A에서 B 프로세서로 데이터를 전달 시, SRAM 영역을 논리적으로 8개의 페이지로 분리하였다. 여러 프로세스에서 메모리 영역을 사용 하도록 하였으며 페이지당 4KByte의 크기를 갖도록 하였으며, 현재 페이지가 사용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해서 4바이트 크기의 컨트롤 레지스터를 이용하였다.

      • KCI등재후보

        듀얼 버스 시스템에서의 공유 메모리 커널 모듈 구현

        문지훈,오재철,Moon, Ji-Hoon,Oh, Jae-Chul 한국전자통신학회 2015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5

        본 논문에서는 프로세서별 서로 다른 버스에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갖는 멀티코어 시스템에서 공유 메모리 기능을 구현하고,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을 통하여 두 프로세서 사이에서 공유 메모리 기능을 실험하였다. 듀얼 버스 구조에서 공유 메모리 구현을 위해 메모리 컨트롤러를 이용하였으며, 리스트 자료구조를 통하여 공유 메모리 세그먼트를 관리한다. AMP 멀티 코어 실험을 위하여 2개의 프로세서 코어에 리눅스 운영체제를 탑재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공유 메모리 테스트를 위하여 구현된 커널 모듈을 이용하여 공유 메모리 생성 및 이용이 가능함을 확인 하였다. In this paper, shared memory feature was developed in multi-core system with different OS for different processor-specific bus, while conducting an experiment on shared memory feature between the two processors based on embedded Linux system.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shared memory in dual bus structure, memory controller was used, while managing shared memory segment through list data structure. For AMP multi-core test, Linux OS was installed in 2 processor cores. In addition, it verified the creation and use of shared memory by using kernel module implemented to test shared memory.

      • KCI등재

        N형 고분자 반도체의 전하주입 특성 향상을 통한 저전압 유기전계효과트랜지스터 특성 연구

        문지훈,백강준,Moon, Ji-Hoon,Baeg, Kang-Ju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7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0 No.10

        Herein, we report the fabrication of low-voltage N-type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by using high capacitance fluorinated polymer gate dielectrics such as P(VDF-TrFE), P(VDF-TrFE-CTFE), and P(VDF-TrFE-CFE). Electron-withdrawing functional groups in PVDF-based polymers typically cause the depletion of negative charge carriers and a high contact resistance in N-channel organic semiconductors. Therefore, we incorporated intermediate layers of a low-k polymerto prevent the formation of a direct interface between PVDF-based gate insulators and the semiconducting active layer. Consequently, electron depletion is inhibited, and the high charge resistance between the semiconductor and source/drain electrodes is remarkably improved by the in corporation of solution-processed charge injection layers.

      • KCI등재후보

        임베디드 리눅스에서의 가상 SD 메모리 카드 시스템 설계

        문지훈,오재철,Moon, Ji-Hoon,Oh, Jae-Chul 한국전자통신학회 2014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9 No.1

        SD 메모리 카드는 휴대용 디지털 장비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저장 장치로 대부분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여, 저 비용으로 사용자의 중요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저장 장치로 이용하는 경우에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시 메모리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 사용자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SD 메모리 카드 시스템을 제안한다. SD 메모리 카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 코어로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하는 방식이 아닌 외부 저장 장치를 이용하여 호스트에서 요청된 데이터를 SD 메모리 카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처리하도록 하였다. 실험을 위해서 S3C2450 ARM CPU의 SMC 컨트롤러에 FPGA 기반의 SD 카드 슬레이브 컨트롤러 IP를 이용하여 테스트 하였다. SD memory cards are widely used in portable digital devices, and most of them exploit NAND flash memory as their storage, so that they have a feature of storing users' important data safely with low costs. In case of using NAND flash memory as storage, however, there is no method to store users' data if memory capacity is insufficient when transferring a large volume of data. This paper proposes a virtual SD memory card system. It used a SD memory card device driver to process data requested from a host by exploiting external storage rather than by exploiting flash memory as a memory core for storing data to the SD memory card. For experiment, it used the FPGA-based SD card slave controller IP on the SMC controller with a S3C2450 ARM CPU to test.

      • KCI등재

        인공 신경망과 지지 벡터 회귀분석을 이용한 대학 캠퍼스 건물의 전력 사용량 예측 기법

        문지훈 ( Jihoon Moon ),전상훈 ( Sanghoon Jun ),박진웅 ( Jinwoong Park ),최영환 ( Young-hwan Choi ),황인준 ( Eenjun Hw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5 No.10

        전기는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필요한 전력 사용량을 예측하고,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충분한 공급능력을 확보해야만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특히, 대학 캠퍼스는 전력 사용이 많은 곳으로 시간과 환경에 따라 전력 변화폭이 다양하다. 이러한 이유로, 효율적인 전력 공급 및 관리를 위해서는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이 요구된다. 국내외 대학 건물에 대해서는 전력사용 패턴과 사례 분석을 통해 전력 사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전력 사용량의 정량적 예측을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 학습 기법을 이용하여 대학 캠퍼스의 전력 사용량 예측 모델을 구성하고 평가한다. 이를 위해, 대학 캠퍼스의 주요 건물 클러스터에 대해 전력 사용량을 15분마다 1년 이상 수집한 데이터 셋을 사용한다. 수집된 전력 사용량 데이터는 수열 형태의 시계열 데이터로 기계 학습 모델에 적용 시 주기성 정보를 반영할 수 없으므로, 2차원 공간의 연속적인 데이터로 증강함으로써 주기성을 반영하였다. 이 데이터와 교육기관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요일과 공휴일로 구성된 8차원 특성 벡터에 대해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이어,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과 지지 벡터 회귀분석(Support Vector Regression)을 이용하여 전력 사용량 예측 모델을 학습시키고, 5겹 교차검증(5-fold Cross Validation)을 통하여 적용된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여, 실제 전력 사용량과 예측 결과를 비교한다. Since the electricity is produced and consumed simultaneously, predicting the electric load and securing affordable electric power are necessary for reliable electric power supply. In particular, a university campus is one of the highest power consuming institutions and tends to have a wide variation of electric load depending on time and environment. For these reasons, an accurate electric load forecasting method that can predict power consumption in real-time is required for efficient power supply and management. Even though various influencing factors of power consumption have been discovered for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by analyzing power consumption patterns and usage case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for the quantitative prediction of electric load. In this paper, we build an electric load forecasting model by implementing and evaluating variou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do that, we consider three building clusters in a campus and collect their power consumption every 15 minutes for more than one year. In the preprocessing, features are represented by considering periodic characteristic of the data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s performed for the features. In order to train the electric load forecasting model, we employ both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support vector machine. We evaluate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each forecasting model by 5-fold cross-validation and compare the prediction result to real electric l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