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주파수 초음파 영상을 위한 저잡음·광대역 수신 시스템 구현

        문주영,이준수,장진호,Moon, Ju-Young,Lee, Junsu,Chang, Jin Ho 한국음향학회 2017 韓國音響學會誌 Vol.36 No.4

        고주파수, 고해상도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고주파수 초음파 변환기가 가지는 작은 구경에 따른 낮은 민감도와 침투 깊이에 따른 높은 감쇠량을 극복하여야 한다. 이는 고주파수 초음파 변환기의 본질적인 한계점이므로 수신 시스템을 통하여 그 한계점을 극복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고주파수, 고해상도 초음파 영상을 위하여 고주파수 초음파 변환기의 본질적인 한계인 낮은 민감도와 높은 감쇠량을 극복할 수 있는 저잡음 광대역 수신 시스템 개발과 특성 평가 결과에 관한 것이다. 개발한 저잡음 광대역 수신 시스템은 80 MHz 이상의 동작 주파수 대역에서 최대 73 dB의 증폭 이득과 48 dB의 가변 이득 범위를 만족하며 ${\pm}1dB$의 증폭 이득 평탄도 성능을 가진다. 또한 개발한 수신 시스템은 상용 리시버에 비하여 8.4 dB 이상의 신호대잡음비 성능과 3.7 dB 이상의 대조도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High frequency ultrasound imaging typically suffers from low sensitivity due to the small aperture of high frequency transducers and shallow imaging depth due to the frequency-dependent attenuation of ultrasound. These limitations should be overcome to obtain high-frequency, high- resolution ultrasound images. One practical solution to the problems is a high-performance signal receiver capable of detecting a very small signal and amplifying the signal with minimal electronic noise addition. This paper reports a recently developed low-noise, wideband ultrasound receiver for high-frequency, high-resolution ultrasound imaging. The developed receiver has an amplification gain of up to 73 dB and a variable amplification gain range of 48 dB over an operating frequency of 80 MHz. Also, it has an amplification gain flatness of ${\pm}1dB$. Due to these high performances, the developed receiver has a signal-to-noise ratio of at least 8.4 dB and a contrast-to-noise ratio of at least 3.7 dB higher than commercial receivers.

      • 韓国日本語教育における学習環境デザイン

        문주영(文主榮)(Moon, Ju-Young) 한일일어일문학회 2011 한일어문논집 Vol.15 No.-

        The peer-learning theory for education of Japanese language has not been introduced yet in Korea. The peer-learning system which has been developed to cope with various problems in the existing “one way(from a teacher to students)” education system is considered to have various benefits over the existing one.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theory cannot be applicable, as is, to the education system of Japanese language as well as the society in Korea. So it is a duty for people who are engaged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o seek for measures to ease the side effects and such an effort is also required by the era. I would like to offer possibility of introduction of peer-learning accompanied with SNS and would like to discuss state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which proceeds with society and era.

      • KCI등재

        사무문서 분류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문주영(Moon Ju-Young) 한국비서학회 2008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7 No.1

        대부분의 조직 내에서 문서의 흐름은 바로 정보의 흐름을 뜻하며 이 정보의 핵심에는 바로 문서가 존재한다. 그러나 일상적인 조직의 업무활동을 하는 누구나 가장 크게 맞닥뜨리는 문제 중 하나는 바로 문서의 관리의 문제일 것이다. 문서관리의 문제는 바로 모든 문서를 다 남길 수 없고 남긴 문서는 후일에 다시 찾아서 활용되어야 한다는 데에 있다. 문서를 관리함에 있어서의 핵심 목표는 후일의 검색 및 활용을 최적화해야 한다는 점인데 이것을 수행하기 위한 근본 요건은 문서를 적절하게 분류하는 분류 체계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가 공공 영역이 아닌 사문서의 범주에 해당하는 사무 문서에 관해서는 어떠한 분류체계도 체계적으로 개발되거나 연구된 적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식하에 사무문서의 분류 체계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우선 문서 분류에 관한 기존의 이론에 대한 검토와 정리가 비서학 내에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분류의 기본 이론을 정리하는 것에도 비중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서의 특성을 조사하고, 도서 분류와 문서 분류의 차이에 대한 이해를 시도해 보았으며 현재 존재하는 문서 분류 체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어 사무문서의 분류를 위하여 조직별 분류 방법에 주제별 분류 방법을 혼합 한 분류 체계를 제안해 보았다. In the most organizations, the stream of records is that of information. In the center of this information exist records. The problem, anyone who works in the ordinary company or organization, is faced with will be about records management. The goal of managing records is making full use of records for future demand and it mainly depends on the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But until now any study about business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is accomplished in the field of the Secretarial Science. Under this recognition, this study on development of business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is studied. First of all, the basic theory about records classification is examined thoroughly. And then the business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structural and subject method is developed.

      • 공모에 대비한 홈 네트워크의 정보보호 관리

        문주영(Ju-Young Moon),이창보(Chang-Bo Lee),김정재(Jung-Jae Kim),전문석(Moon-Seog Jun) 한국정보보호학회 2007 情報保護學會誌 Vol.17 No.4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디지털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홈 네트워크에서 적용할 수 있는 DRM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면서 콘텐츠 소유자의 권익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DRM 모델로서, 특히 도메인내의 디지털 장치의 공모(compromise)에 대비한 안전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가정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각 디지털 장치를 하나의 도메인에 등록시킴으로써, 도메인에 속한 장치 상호간에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 물론, 도메인 내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 내역을 수집하여 정당한 사용대가를 지불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도메인 외부로의 콘텐츠 불법 전송, 도메인에 등록되지 않은 장치의 위장 행위 그리고 도메인 내의 장치들의 공모 등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요소에 대한 대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장치의 콘텐츠 전송 권한을 도메인 내의 합법적인 디바이스만 가지도록 엄격히 제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홈 도메인에서의 콘텐츠 재배포를 위한 DRM 시스템 설계

        문주영(Ju-Young Moon),이창보(Chang-Bo Lee),김정재(Jung-Jae Kim),전문석(Moon-Seog Ju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7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2 No.3

        본 논문에서는 콘텐츠 재배포가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홈 도메인 기반의 DRM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콘텐츠 사용상의 제약과 불편을 해소하면서 동시에 콘텐츠 제작자 및 제공자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홈 도메인 내의 콘텐츠 재배포를 위한 DRM 시스템이다. 가정의 디지털 장치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디바이스 상호간의 콘텐츠 재배포가 가능하도록 홈 도메인을 구축한다. 즉, 홈 도메인에 등록된 디바이스는 해당 도메인의 다른 디바이스에게 콘텐츠를 재배포 할 수 있고, 그의 재배포 내역을 DRM 서버에게 전송함으로써 콘텐츠 사용료에 대한 지불을 합리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시스템은 디바이스의 콘텐츠 재배포 권한을 도메인 내로 엄격히 제한함으로써 불법 재배포를 방지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that allows to redistribute contents safely based on home domain. This DRM system for contents redistribution within home domain can solve the restriction and the inconvenience occuring in using contents and at the same time protect the right of contents producer and provider as well. To play contents using home digital device, we must build home domain for contents redistribution among devices. That is to say, devices that are registered with home domain can redistribute contents to other devices at same domain. The domain must send redistribution-specifics to DRM server, so that user can pay reasonable amount for using the contents. Futhermore, by restricting within domain the right of contents redistribution, one can strictly prohibit the illegal redistribution.

      • KCI등재

        日本語學習の無批判的解釋に對する再考 -「接近性」という表現の學習事例から-

        문주영 ( Ju Young Moon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5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2

        調査の妥當性と信賴性は硏究の質に多大な影響を及ぼす。近年、社會科學の硏究では調査者自らが硏究の主な道具となる質的硏究の硏究法が頻繁に使用されるようになってきた。無論、これは社會科學の一分野である日本語敎育硏究においても例外ではない。これにより、ある現象を調査する際はより全體を俯瞰するような廣い視野を持ってアプロ-チしていくことが大事とされてきている。短編的な描寫からは現象を一部に限ってしか讀み取ることができないためである。本硏究では、ある日本語學習者の學習プロセスを調査した硏究を對象として、その中で欠けていた學習者の主體性に關する批判的解釋にフォ-カスを當てた。日本語非母語話者であるスライムは、日韓の現役大學生たちが中心となって樣ケな活動を行うN實踐共同體の構成員である。そして、彼はN實踐共同體での各活動の中で、本人の使用する言語を切り換えながら活動に參加している。彼は、その過程の中でN實踐共同體での位置を確立しているのである。ある日、スライムは同じN實踐共同體の他の構成員である勝(かつ)と「接近性」についての談話を行った。「轢から近くて便利だ」と表現したかったスライムは、本人の母國語をそのまま番譯した形で「接近性が良いね」と勝に話しかけた。日本語母語話者である勝は、彼の發言に違和感を覺え「そのような日本語は存在しない」とスライムの日本語運用上のミスを直接に指摘した。これを聞いたスライムは、その後「接近性が良い」という表現を取り止め「轢から近くて便利だ」と話すようになった。當該硏究はスライムの事例を擧げ、學習者による誤謬確認から運用方法變更への移行のことを日本語學習として紹介している。學習を直線上の問題として認識しているのである。本硏究では、當該硏究の日本語學習に對する解釋の仕方を批判的に捉え、そこに欠如していた調査上の問題を浮き彫りにする。そして、發見された問題を解決するための調査過程上の方法を提案し、今後の日本語敎育硏究へとつなげることを試みたのである。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urvey affect the quality of research. Today in studies of social sciences often got used research method of qualitative studies, which focus on researcher as main means of studies. Needless to say, this tendency has been applied to Japanese education research, one of the lower category of humanities, so that it is important to approach a phenomenon with a wide field of vision because researchers can read only a part of the phenomenon from short description. Lim, Sul-ha, a non-native Japanese speaker is a member of N community that university students from Japan and Korea take the lead in various activities. He switches the language he us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ctivity and gets the fellowship of the community in this process. One day Lim talked about “accessibility” with Katsu, a member of the same community. Lim said “accessibility is good” in the say directly translated from his mother tongue, intending “it’s convenient because the house is close to the station”. Katsu, a Japanese native speaker pointed out the mistake about Lim’s Japanese expression with a sense of discomfort saying “We do not say like that”. After that Lim came to express the say he learned from Katsu instead of saying “accessibility is good”. The research, the subject of this study describes the transition from fallacy confirmation to change of application way as Japanese learning introducing the example of Lim, Sul-ha. It considers the case as a linear problem of learning. This study pointed up the lacked error on survey by criticizing the interpretation way against Japanese learning of that research. Proposing a new method of research process so as to solve the found problems, it attempts to improve the Japanese education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