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이 삼킴장애가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혀 근력, 삼킴기능,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문종훈(Jong-Hoon Moon),김희진(Hee-Jin Kim),강민규(Min-Kyu Kang),원영식(Young-Sik Won)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1

        본 연구는 삼킴장애가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이 혀 근력, 삼킴기능,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삼킴장애가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 18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9명씩 무작위 배정되었다. 두 군은 전통적 삼킴장애 치료를 수행하였고, 실험군은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은 아이오와 구강수행기구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최대 등척성 혀 근력의 50%, 75%, 100%로 설정하여 수행하였다. 두 군은 8주간주 5회 치료를 받았다. 결과측정은 혀 근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이오와 구강수행기구를 사용하여 최대등척성 혀 근력을 평가하였으며, 삼킴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삼킴기능 검사로 평가하였다. 삼킴과 관련된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삼킴-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두 군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혀 앞·뒤쪽의 근력과 삼킴기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05). 삶의 질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은 삼킴장애가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혀 근력과 삼킴기능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ffect of tongue strength and accuracy training (TSAT) on tongue strength, swallowing function, quality of life in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Eighteen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allocated randomly to experimental(n=9) and control group(n=9). both group conducted to traditional dysphagia therapy, and experimental group was carried out additionally TSAT. TSAT performed using 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IOPI), and was set up to 50%, 75%, 100% of maximum isometric tongue strength. Two groups received the treatment for five per weeks, eight weeks. Outcome measurements performed that Maximum Isometric Strength(MIS) was assessed by using IOPI for measure the tongue strength, and Swallowing Function Test(SFT) was used to assess the swallowing function. Swallowing-Quality of Life(SWAL-QOL) was used to evaluate quality of life related to swallow. In results of study, experimental group in comparison of change score between two group significantly improve than control group in anterior and posterior MIS, and SFT. SWAL-QO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both group. Based on thin study results, TSAT may be a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on tongue strength, and swallowing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 KCI등재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중·고령층 여성 간병인의 신체통증 영향 요인

        문종훈(Moon Jong-Hoon),박인혜(Bak In-Hye)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9 재활치료과학 Vol.8 No.1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중·고령층 여성 간병인의 신체통증 영향 요인을 탐색하고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대구 및 경북 지역에 위치한 병원 5곳에서 뇌졸중 환자 75명과 이들을 간병하는 중·고령층 여성 간병인 75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측정은 뇌졸중환자의 일반적 특성, 인지기능, 상지기능, 일상생활능력을 평가하였고, 간병인은 일반적 특성과 신체통증이 평가되었다. 신체통증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고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결과: 중·고령층 여성 간병인의 신체통증 영향 요인은 현재 자신이 돌보고 있는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능력(β=-.489, p<.001)과 간병경력(β=-.309, p=.003)으로 나타났다(R2=.276). 상관분석결과,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능력, 상지기능, 인지기능은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냈다(r=.434~.751, p<.001).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중·고령층 여성 간병인의 신체통증 감소를 위해 현재 자신이 돌보는 뇌졸중 환자의 기능수준과 간병경력이 중요한 변수임을 증명한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bodily pain in women in their middle to older age who are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Methods: This study selected 75 stroke inpatients and 75 female caregivers in their middle to older age from five hospitals in Daegu and Gyeongbuk. Measurements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cognitive function, upper limb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troke patient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bodily pain for the care givers. We us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bodily pain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o confirmthe correlation.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bodily pain in women in their middle to older age caregivers wer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β=-.489, p<.001) and caregiver duration(β=-.309, p=.003)(R2=0.276).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upper limb function, and cognitive function of stroke patien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r=.434~.751, p<.001).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functional level of stroke patients being cared for and the caregiver duration are important variables for reducing bodily pain in women in their middle to older age.

      • KCI등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

        문종훈(Jong Hoon Moon),원영식(Young Sik W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7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7명씩 무작위 할당되었다. 두 그룹의 대상자들은 4주 동안 모두 동일하게 보편적인 재활치료를 받았다. 실험군은 스마트 기기를을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을 보호자의 감독 하에 추가적으로 30분씩 더 수행하였다. 구강 구조와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선별검사의 하위항목인 구강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였다. 조음교대운동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교대운동속도와 연속운동속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그룹 내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은 구강 구조 및 기능, 교대운동속도, 연속운동속도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구강기능과 교대운동속도의 /퍼/와 /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은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기능과 조음기관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on oral cavity structure and function, diadochokinetic rate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Present study participated in fourtee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All subjects assigned that randomized each seven patients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ubjects of two groups received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herapy for 4 weeks.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dditionally that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supervised under caregivers, during 30 min/day. The outcome measures were the oral cavity structure and function of subscale for KOMSE(: Korean Oro-motor Mechanism Screening Examination), AMR(: Alternating Motion Rate), SMR(: Sequential Motion Rate). In results, Both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after intervention in all assessments(p<.05). In comparison of change betwee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than control group in oral cavity function, /pə/ and /tə/ of AMR(p<.05). We suggested that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expected to positive effects the improvements of oral cavity and articulator fun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보건의료제도의 국민 인식과 요인 : 2017년 의료서비스경험조사를 이용하여

        문종훈(Moon, Jong Hoon),전민재(Jeon, Min Jae),원영식(Won, Young Sik)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0 사회융합연구 Vol. No.

        본 연구는 국내 보건의료제도에 대한 국민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차 데이터인 2017년 의료서비스경험조사의 원 자료를 이용하였다. 보건의료제도의 인식은 신뢰, 변화 필요성, 만족도, 중요성, 경제적 문제로 인한 불충분한 이용문제, 보험료 지불 의향 총 6개 영역을 조사하였다.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건강상태와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보건의료제도 인식 사이의 관련성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한국 보건의료제도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고 저소득계층을 위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신뢰수준은 거주지역이 도시일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임금근로자일수록, 건강보험에 가입된 자일수록, 만성질환을 가진 자일수록 긍정적이었다. 변화 필요성은 남성일수록, 거주지역이 도시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임금근로자일수록, 건강이 좋을수록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만족도는 거주지역이 도시일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임금근로자일수록, 만성질환이 있는 자일수록 높았다. 중요성은 나이가 많을수록, 시골지역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불충분한 이용문제는 임금근로자일수록, 건강보험가입자일수록, 문제점이 있다고 나타났다. healthcare service system의 개선을 위한 보험료 지불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보험료 지불 의향은 도시지역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임금근로자일수록, 건강보험가입자일수록, 만성질환이 없을수록 긍정적인 의도를 나타냈다. 한국의 보건의료제도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며,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건강상태에 따라 다르게 인식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ception of healthcare service system in Korea. Present study used secondary data from the Health Care Experience Survey 2017. The perception of healthcare service systems examined the six domains of trust, improvement need, satisfaction, importance, inadequate use due to economic problems, and intention to pay for insurance.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plo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a number of health conditions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 the likelihood of perception of healthcare service system. The study findings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health care system in Korea was positive and that it was necessary to change for the low income class. trust was more positive for residents in cities, lower education level, wage workers, health insurance members, and chronic illness. Improvement need was perceived as the need for more men, more urban residents, higher education level, wage workers, and better health. Satisfaction was higher in urban areas, lower education level, wage workers, and chronic diseases.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importance of rural areas. Inadequate use of to economic problems pointed to the problem of wage workers and health insurance members. Intention to pay for insurance showed positive intentions in urban areas, higher educational level, wage workers, health insurance members, and chronic diseases. The perception of the health care system in Korea is positive, and these recognitions can be perceived differentl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health conditions.

      • KCI등재후보

        미술치료 기반의 목적있는 활동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 일상생활, 우울,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문종훈(Jong-Hoon Moon),박주영(Joo-Young Park),김영실(Young-Sil Kim),박인혜(In-Hye Bak)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18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0 No.1

        목적: 본 연구는 미술치료 기반의 목적있는 활동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 일상생활, 우울, 그리고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6명의 급성기 뇌졸중 환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환자는 실험군 8명과 대조군 8명으로 무작위 할당되었다. 실험군은 미술치료 기반의 목적있는 활동을 받았으며, 대조군은 보통의 케어를 받았다. 모든 환자는 8주 동안, 주 3회, 하루 30분의 중재를 받았다. 측정은 손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Jebsen-Tylor 손 기능 검사, 일상생활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정된 바델 지수, 우울을 측정하기 위하여 우울척도 검사, 재활동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의지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 실험군은 중재 후 모든 평가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대조군은 의지 설문지를 제외한 Jebsen-Tylor 손 기능 검사, 수정된 바델 지수, 우울척도 검사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우울척도검사와 의지 설문지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향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미술치료 기반의 목적있는 활동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우울과 재활동기의 개선에 긍정적인 중재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pilo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based purposeful activities on hand function, daily living, depression levels, and volition level of patients with acute stroke. Methods: Sixteen acute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were assigned randomly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n=8) or control group (n=8).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purposeful activities based on art therapy,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normal care. All patients received the care 30 minutes a day, 3 times a week, for a total of 8 weeks. The hand function, daily living and depression level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hand function was measured using Jebsen-Tylor Hand Function Test (JTHFT), the daily living through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the depression levels through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the volition levels through the Volitional Questionnaire (VQ).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measuremen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JTHFT, BDI and VQ.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s in the BDI and VQ after intervention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art therapy-based purposeful activities may have a positive influence in the improvement of depression levels and volition for rehabilita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 KCI등재

        뇌졸중 환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 손 기능, 균형, 일상생활의 비교 및 상관관계

        문종훈(Jong-Hoon Moon),원영식(Young-Sik Won)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21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3 No.1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 손 기능, 균형, 일상생활의 비교와 상관관계를 알고자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인천에 소재한 I병원에 입원하여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우세손이 오른손인 뇌졸중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한 평가는 대상자들의 인지기능을 평가하기위하여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우측과좌측의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젭슨 기능 검사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의 균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버그균형척도를사용하였으며, 일상생활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판 수정바델지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인지기능은 나이와 손상측, 손상위치에 따른 유의한차이가 있었다(p<.05). 우측과 좌측의 손 기능은 손상측에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균형은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5). 일상생활의 총점은나이와 발병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상관분석에서 일상생활의 총점은 인지기능, 우측 손 기능, 균형과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일상생활의 하위 항목과 인지기능은 일상생활의 의자차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이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우측 손 기능은 일상생활의 하위항목인 개인위생, 식사하기, 용변처리, 옷 입기, 대변조절, 소변조절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좌측 손 기능은 일상생활에서 이동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p<.05). 균형은 일상생활의 모든 항목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임상환경에서 재활치료를 받고있는 뇌졸중 환자들의 치료목표와 계획을 설정하는데 도움이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hand function, balanc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s. The current study included 50 right-handed patients who received rehabilitation treatment at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Incheon. The measured evaluations used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cognitive function. The Jebsen-Tylor Hand Function Test was used for right- and left-hand functions. The Berg Balance Scale was used to balance the subjects, and the Korean-Modified Barthel Index was used for ADL.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age, lesion side, and lesion loc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5). The hand function of the right and left sides according to the lesion side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p<.05). Bal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5). The total ADL score according to age and onset perio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5).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total score of ADL, cognitive function, hand function on the right side, and balanc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p<.05). All subscales of ADL and cognitive func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except for the ADL wheelchair (p<.05). Hand function on the right sid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sonal hygiene, feeding, toilet, dressing, bowel control, and bladder control in the ADL subscales (p<.05). The hand function of the left sid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transfer of ADL (p<.05). Balance and all subscales of AD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setting treatment goals and plans for stroke patients undergoing clinical rehabilitation.

      • KCI등재

        고령 청각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 연구

        문종훈(Moon, Jong-Hoon),박수정(Park, Su-Jong),김정기(Kim, Jeong-Ki)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9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2

        목적 : 본 연구는 고령 청각장애인의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활동의 차이 및 상관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장애인 실태조사에 참여한 총 6,549명 중 청각장애가 있는 노인 668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일반적 특성은 나이, 성별, 가구소득, 최종학력, 장애등급, 보청기사용여부, 수화사용여부, 장애발생시기였고 일상생활 활동은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12개 영역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8개 영역이 평가되었다. 분석은 두 집단 간 분석 또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고령 청각장애인 여성은 남성보다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의 옷 갈아입기, 목욕하기, 보행, 이동, 배뇨, 그리고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물건사기, 약 챙겨먹기, 금전관리, 대중교통수단 이용하기에서 도움을 더 필요로 하였다(p<.05). 보청기를 사용하고 있는 고령 청각장애인은 보청기를 사용하고 있지 않는 고령 청각장애인에 비해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의 옷 갈아입기, 그리고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전화사용하기, 물건사기, 약 챙겨먹기, 금전관리, 대중교통수단 이용하기에서 도움을 더 필요로 하였다(p<.05). 일상생활활동 영역과 나이, 장애등급 사이의 상관분석 결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보다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상관계수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 : 고령 청각장애인의 성별과 보청기사용여부에 따른 특정한 일상생활활동 영역의 차이가 나타나고 노화가 진행될수록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영역의 문제가 더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고령 청각장애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개선을 위한 지역사회 작업치료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parison betwe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related to variables and ADL. Methods : This study used raw data of 2017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s. Among the total of 6,549 subjects, 668 elderly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set as age, gender, family income, educational level, and disability grade, hearing aid, sign language, time point of presence of disability. The ADL was evaluated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B-ADL) 12 areas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10 area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he and independent t test, chi-squre test, Mann-whitney u test,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 The older female with hearing impairment needed more help in dressing, bathing, gait, transfer, bladder control and I-ADL s shopping, drug management, money management and using transportation compared to male(p<.05). Hearing impairment person with hearing aid use needed more help B-ADL s dressing, and I-ADL s telephone use, shopping, drug management, money management and using transportation compared to hearing impairment person with hearing aid non-use(p<.05).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DL area, age, and disability grade, the level of correlation coefficients of I-ADL areas was higher than that of B-ADL areas. Conclusion : According to gender and hearing aid of older adults with hearing impairment, differences of specific areas of ADL were found, and it was found that the problem of I-ADL were serious as the aging progressed than B-ADL.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ADL performance in older adults with hearing impairment are needed.

      • KCI등재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특성에 따른 삼킴기능, 식이수준, 인지기능, 일상생활의 비교 및 상관관계

        문종훈(Jong Hoon Moon),김계호(Kye Ho Kim),원영식(Young Sik Wo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4

        본 연구는 삼킴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의 특성에 따른 삼킴기능, 식이수준, 인지기능, 일상생활의 비교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 56명이었다. 결과측정은 기능적 삼키장애 척도(FDS), 미국언어청각협회 삼킴척도(ASHA NOMS),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MMSE), 한국판 수정바델지수(K-MBI)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각 평가들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 t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평가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들의 손상위치에 따른 삼킴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발병기간에 따른 인지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들의 나이는 식이수준, 인지기능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삼킴기능은 식이수준, 인지기능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인지기능은 식이수준, 일상생활과 유의한 상관 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 대한 삼킴재활 치료는 환자들의 특성과 인지기능을 고려하여 수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swallowing function, dietary level, cognitive function, daily living, and comparison for general characteristics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Subjects of this study participated to 56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Outcome measures is evaluated by Functional Dysphagia Scale(FDS), and Ameri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s Measurements System(ASHA NOMS), and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and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K-MBI). Collected all data analyezed to independent t test for four assessment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for four assessments. Results of study, swallowing function according to lesion location differed significantly(p<.05).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onset duration differed significantly(p<.05). Age of subjects and dietary level, cognitive func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p<.05). Swallowing function and dietary level, cognitive func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p<.05). Cognitive function and dietary level, daily living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p<.05). Based on current results, we suggest that swallowing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performed with consideration for cognitive function and characteristic of patients.

      • KCI등재후보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혀 근력에 미치는 효과

        문종훈(Jong Hoon Moon),원영식(Young Sik W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6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혀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8명씩 무작위 배정되었다. 두 그룹의 대상자들은 4주간 주 5회, 하루 30분의 보편적인 삼킴장애 치료를 받았다. 실험군은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을 보호자의 감독 하에 추가적으로 30분씩 더 수행하였다. 결과측정은 흡인-침습 척도, 후두계곡 잔여물, 조롱박오목 잔여물, 혀의 최대 등척성 압력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두 그룹은 중재 전과 후에 모든 평가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후두계곡 잔여물과 혀의 최대 등척성 압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은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인두 내 잔여물 감소와 혀 근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orofacial exercise program using smart phone on swallowing function and tongue strength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This study participated in sixtee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All subjects allocated that randomized each eight patients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ubjects of both group received to conventional dysphagia therapy during 30 min/day, 5 times per week, for 4 weeks.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dditionally that orofacial exercise program using smart phone, supervised under caregivers, during 30 min/day. The outcome measures were the IOPI(: 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 VR(: Vellecula Residue), PSR(: Pyriform Sinuses Residue), MIP(: Maximum Isometric Pressures). In results of study. Both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after intervention in all assessments(p<.05). In comparison of change score betwee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than control group in PSR and MIP(p<.05). Orofacial exercise program using smart phone suggested that expected to positive effects the reduction of residue in pharynx and improvements of tongue strength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