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PI(Strategic Production Structure Innovation)을 적용한 Cash Flow Reengineering 활용 연구

        문윤주,이창호 한국경영과학회 2001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1(1)

        After IMF, Korean enterprises are placing in the environment of management crisis that has not experienced up to now. It is actual that we are in the environment such as the bankruptcy, the cessation of new loan of the financial institution and the early withdrawal of past loan, which we couldn't think of under the past scale of management through the sales expansion and the profit management that centrically creates profit. That is to say, whether it is the large enterprise or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the cash acquisition become the important measure of existence of enterprises. Under this environment this paper deals with the SPI(Strategic Production Structure Innovation) to solve the cash flow structure innovation problem which the enterprises confront. To improve EVA(Economic Value Added) which is the one of the measure of cashflow management performance, the SPI management system is constructed under the strategic, process oriented, visible and practical thought and action, in which the top-down and the bottom-up approach are simultaneously adapted. We explain the propulsion process to set up the SPI system in the enterprises and propose the topics for the introduction, succession, and set-up of the SPI system through the cases that improve the EVA by 30% through applying the SPI and maintain the SPI management system under the more serious management environment and that reduce the product cost by 20% through applying the SPI.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어휘 능력 향상을 위한 접두사 학습 방안 제시

        문윤주(Mun Yun ju)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7 한국어교육연구 Vol.- No.6

        외국어를 학습함에 있어서 어휘능력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어휘 능력을 넓히는 방법 중 가장 효율적인 방법 중의 하나는 어휘의 생산성을 활용한 방법이다. 한국어는 접사에 의한 파생적 생산력이 높은 언어이다.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접사 학습은 어휘의 폭을 넓히는 학습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어휘의 폭을 넓히기 위한 고유어 접두사(접미사와 한자어 접두사는 제외) 학습의 방법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우선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 중급 학습자가 학습해야할 고유어 접두사 목록 23개를 선정하였고, 이 접두사 목록을 토대로 접두사 학습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접두사의 어원이 분명하고 의미에 대한 인식이 가능한 것은 어원을 토대로 하여 접두사 학습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접두사 간의 의미 연결 관계인 의미망을 활용한 학습은 어휘의 폭을 넓히는데 효율적인 학습방법이 될 것이다. 접두사는 결합되는 어기가 한정적인 것에 착안하여 어기와의 결합관계를 중심으로 학습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 한국어 어휘 학습에서 위의 방법들이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좋은 효과를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Lexical competence is very important for studying foreign language. The best way to expanding Lexical competence is applying lexical productivity. Korean has high level of derivational productivity. A studying of affix for Korean learner will be efficient method for expanding Lexical competence. I researched on studying method about Korean native Prefix (except suffix and chinese prefix) for expanding Lexical competence in this paper. At first, I picked out 23 native Prefixies for Intermediate Korean Learner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And then I suggested studying method about this. It will be an efficient method Studying based on Origin of Prefix that has a obvious origin and a meaning recognized by learner. And It will be an effective method for expanding Lexical competence Studying by sementic network. Prefix is restricted within narrow Word Root. So It will be very useful way Studying based on relation between Prefix and Word Root. I expect It will be effective and efficient method for practical Korean Vocabulary learning.

      • KCI등재후보

        한국어 교육과정(KSL)의 학교 현장 정착을 위한 제언

        문윤주(Mun Yunju)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 No.8

        2013년에 고시된 한국어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반영하여 2017년에 개정 한국어교육과정이 수정 고시되었다. 그러나 한국어교육과정은 아직까지 일선 학교 현장에서 안착되지 못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교육과정의 가장 본질에 해당하는 수업의 두 축인 교사와 학습자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먼저 2017년 교육과정이 이전의 교육과정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과정이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을 학습자와 교사측면에서 예상하고,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습자 측면에서 학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어 숙달도에 맞춘 개별화된 학습 시스템이 필요하지만 현재의 학교 현장에서 이것을 뒷받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러한 문제점은 유동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해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단위학교를 넘어선 네트워크의 필요함을 말하였다. 둘째, 교사의 측면에서 한국어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한국어 전문 교사가 필요하며 현재 교원양성과정을 담당하고 있는 교대와 사대에서 한국어 교육과를 신설해야 하며 현직 교사들을 위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함을 말하였다. 한국어 교육의 중요한 축을 맡고 있는 KSL 강사와 이중 언어 강사의 처우도 개선되어야 하며 이들과의 유기적인 협조가 중요함도 언급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특성상 전체 교사의 참여와 학교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 또 다가올 다문화 미래 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세계시민의식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이러한 비판적 검토와 활발한 논의를 통하여 한국어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안착되 기를 기대한다. Mun Yunju. 2018. The suggestion that How can KSL take root in the Class. - Focus on KSL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class. The J 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Vol. 8. 17-34. The new KSL was notified on September 2017. It has reflected a lot of improvement compare to ver. 2013. But KSL still was not took root in the class.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some problem about KSL and suggest some solution for teaching Korean Class. It will be proceeded by two way (student and teacher). In terms of students (in KSL class), They need a personalized curriculum. But they can’t be supported by school system. This problem will be solved by floating curriculum. And it needs a regional network over the school. In terms of teachers and school, Teacher’s teaching ability for the KSL is very unsufficient. They need a effective training program. And they must have ‘multicultural teacher competence’ based on Global Citizenship.

      • KCI등재후보

        한일 간 외래어 표기규정의 비교를 통한 일본어 화자의 한국어 외래어 학습 효율성 제고 방안 : 영어계 외래어를 중심으로

        문윤주(Yunju Mun)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2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6

        본고에서는 일본어 화자가 한국어의 외래어를 학습할 때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한국과 일본 모두 외래어 표기규정을 통해 외래어 표기 및 발음의 효율성을 기하고 있다. 둘 다 표음주의의 원칙에 의하여 외래어를 표기하고 있지만 양국의 음운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외래어를 다른 음운과 연결시켜 표기하고 발음한다. 이것이 일본어 화자가 한국어 외래어를 학습할 때 어려움을 느끼는 가장 큰 요인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양국 외래어 표기규정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영어계 외래어를 중심으로 원지음의 음소별로 한글과 카나의 문자가 서로 연결될 때의 규칙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규칙성을 인지하고 학습한다면 일본어 화자가 한국어 외래어를 학습할 때 효율성이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Japanese speakers when learning loanwords in Korean. Both Korea and Japan are making the efficiency of loanword notation and pronunciation through loanword notation regulations. Both are written in loanwords by the principle of leopardism, but because the phonological environment of both countries is different, the same loanword is linked with other phonological words and pronounced. This is the biggest factor that Japanese speakers have difficulty learning Korean loanwords. In this study, first, the commonality and differences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loanword notation regulations of both countries. And the regularity of the connection between Hangeul and Kana was examined by phonemes of native pronunciation, focusing on English Borrowed Words. If the regularity is recognized and learned, the efficiency of Japanese speakers can be improved when learning Korean loanwords.

      • KCI등재후보

        응급의료센터와 중환자실에서 소아 중환자의 예후인자 예측을 위한 PELOD Score와 PIM 2 Score의 유용성

        정시경,이운정,문윤주,우선희,경연영,최세민,정원중,박규남 대한중환자의학회 2010 Acute and Critical Care Vol.25 No.3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wo models of the pediatric logistic organ dysfunction (PELOD) score and the pediatric index of mortality (PIM) 2 scor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D) and intensive care unit (ICU). Methods: 90 pediatric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ICU in ED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08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ELOD score and PIM 2 score calculations were performed in the ED and ICU. We classified these patients into either the survivor or non-survivor groups and analyzed the clinical variables between two groups. We used Hosmer-Lemeshow goodness-of-fit tests to evaluate calibration,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s and standardized mortality ratio (SMR). Results: Among the 90 pediatric patients, 56 (62.2%) were male, and 9 (10.0%) patients died. Expected mortalities were PIM 2 = 10.35, PELOD = 8.33 in ED and PIM 2 = 8.84, PELOD = 8.26 in ICU. PIM 2 showed fit calibration (x2 = 6.228, p = 0.622) in the ED. In the ICU, both PELOD and PIM 2 showed calibration (x2 =4.625, p = 0.185) and (x2 = 7.616, p = 0.472), respectively. PIM 2 in ED showed the best discrimination, with area under the curve (AUC) = 0.949 (95% CI, 0.881−0.984). Conclusions: PIM 2 score in ED was fit. Also, PELOD and PIM 2 score in ICU was fit. But PELOD in ED was unf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