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란’ 키워드로 본 뉴스 의제의 연성화와 정치화 : 김영삼∼문재인 정권 기사 텍스트마이닝 분석

        문미진,한혜경,이소은 한국지역언론학회 2023 언론과학연구 Vol.23 No.2

        This study examines the growing significance of the term “controversy” in the media’s role in shaping the public sphere with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It highlights the challenge of “controversializing non-controversial topics” that results from media polar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of 30 years of news articles, the study reveals an increase in coverage of controversy, with a focus on labeling specific individuals’ statements and attitudes, rather than facilitating productive discourse. The study finds that there has been a rise in controversy related to individuals, while public discourse on important issues has decreased, indicating a tabloidization of controversy. Furthermore, the analysis of political controversy topics based on media’s political orientation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ssues emphasized by liberal and conservative media, underscoring the politicization of controversy.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논란’이라는 단어가 언론의 역할인 공론장 형성을 위해 더욱 중요해지는 가운데, 언론의 상업화와 정파화로 인해 ‘논란이 아닌 것의 논란화’ 문제가 심화될 가능성을 논의했다. 논란 보도의 증가와 논란 보도의 연성화, 정치화 여부를 살피고자 김영삼∼문재인 정권 기사를 텍스트마이닝 분석했다. 연구 결과, 논란을 다룬 기사가 증가했으며 논란이 의견 교환보다는 특정 인물의 발언, 태도를 낙인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섹션별 논란 의제 분석을 통해서는 최근 들어 인물 관련 토픽이 증가하고 공론장에서 논의해야 할 이슈 토픽은 감소하는 논란의 연성화 경향을 확인했다. 매체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정치 논란의 토픽 분포를 살펴본 결과 정권별로 진보지, 보수지가 중요하게 다룬 논란 의제가 달라 논란의 정치화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논문 : 홍무(洪武) 년간(年間) 백화(白話) 성지(聖旨)의 어기조사(語氣助詞) 고찰(考察) -《고려사(高麗史)》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의 자료를 중심으로

        문미진 중국어문학회 2010 中國語文學誌 Vol.33 No.-

        白話是中國的一種書面語言. 當含蓄的文字讓"文言"遠離老百姓的時候, 接近當時日常生活語言的文字表達形式"白話"就應運而生了. 提及硏究中國元明白話的重要資料, 《老乞大》與《樸通事》可謂屈指可數. 但是僅次於這兩本書的資料却記錄在韓國的史書中, 而能了解這一事實的中國學者堪稱鳳毛麟角. 這些資料就是載於《高麗史》與《朝鮮王朝實錄》中的白話外交文件. 尤其是那些明太祖和永樂帝在位時傳到高麗和朝鮮的白話聖旨. 《明史》與《明實錄》對他們只字未提, 但這些原始資料對元末明初的白話硏究影響重大, 具有珍貴的价値. 本稿旨在發現記錄於《高麗史》與《朝鮮王朝實錄》的明太祖聖旨中的白話部分, 對其中使用的語氣助詞進行重點分析.

      • KCI등재

        古今人物圖像의 발전 과정과 懶牛의 ≪歷代君臣圖像≫ 硏究

        문미진 중국인문학회 2013 中國人文科學 Vol.0 No.54

        元泰定年由僧人懒牛编纂的≪历代君臣图像≫一书是现存君臣图像中问世最早的。此书后来成为明代人物图像类书籍出版与朝鲜≪历代君臣图像≫刻板的模本, 地位举足轻重。但是有关此书的研究至今还是一块空白, 此书是否还保存在中国也几乎已无人问津, 被人遗忘。本文首先按时代顺序对中国古今人物图像的历史与发展进行考察, 然后以现藏于淑明女子大学的底本为依据, 探索≪历代君臣图像≫的内容与刻板过程, 以及它对后世古今人物图像类发展的影响。本研究旨在不仅提供相关信息与资料、增进与中国的学术交流, 还试图以古为镜、学古知今, 进一步发掘出适用于当今学生教育的现实意义。

      • KCI우수등재

        신경인지적 결함의 사병(MNCD)변별지표 연구의 개관

        문미진,황순택 한국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6 No.1

        This study reviews recent studies for malingering discrimination focused on malingered neurocognitive dysfunction(MNCD) that have found often in clinical assessment. This review aimed to introduce MNCD’s diagnostic criteria, type of malingering discrimination index, and prevalence of malingering reported advanced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internal research for prevalence of malingering is needed. Method to detect malingering was included for example analysis of error(floor effect, learning principles, etc) and empirical method. Also, differential prevalence design, simulation design, known-group design for study to development malingering discrimination index was introduced. Furthermore this review discusses the limitation of the previous studies(e.g. limitation of psychological assessment, conceptualization of malingering, necessity of definite diagnostic criteria,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discriminant index)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본 연구에서는 임상 평가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신경인지적 결함의 사병(MNCD; Malingered Neurocognitive dysfunction)에 초점을 맞추어 신경인지적 결함의 사병을 변별하는 사병변별지표에 대한 최근 연구들을 개관하였다. 본 개관연구에서는 사병의 정의와 최근 제안된 신경인지적 결함의 사병 진단준거에 대해 알아보았고, 진단준거에 적용되는 사병변별지표의 종류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외국 연구를 기반으로 사병 역학에 대해 알아보았고, 국내에서의 사병 기저율과 같은 기초적인 역학 조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사병 탐지를 위한 방법들로 바닥효과와 같은 오류의 양적 분석, 학습원리를 분석하는 오류의 질적 분석, 경험적 방식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병 탐지를 위한 연구 설계로 차별적 유병률 설계, 모사실험 설계, 실제집단 설계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외 연구 현황을 살펴보았고, 선행연구들에서 제안된 제한점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한점들로는 심리검사 자체에 대한 제한점, 사병이라는 용어의 개념화 문제, 명확한 진단준거의 필요성, 사병변별지표의 민감도와 특이도 문제에 대해 다루었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국과 한국의 漢字 表記 國名들에 대한 考察

        문미진 중국학연구회 2009 중국학연구 Vol.- No.49

        目前对外国地名与人名的翻译基本上遵循的是以当地发音为基础,利用韩文标 出发音的原则。但是像“荷蘭、越南、丹麦、瑞士、泰国、澳大利亚”等一些国家的 名称,除了这种用韩文标出发音的情况以外,现在使用的韩语词典里还收錄了如“和 蘭、安南、丁抹、瑞西、暹罗、濠洲”等以汉字表示的词条。本论文的产生就是出于 对这一现象的好奇。 各民族在进行多方面的交流过程中发生了语言接触,而语言接触的痕迹会或多 或少地留存在彼此的语言中。本论文试图通过对汉字国名的分析,证明随着与其它 民族的交流和语言接触而引入的外来词在某种语言词汇的反映形态。 韩国的汉字国名可以看作是在接触新生事物的同时,借鉴并使用了其它国家已 经约定俗成的用语的结果。这一方面的现存研究均把日本的关系作为了重点。然而 涉及到韩国汉字国名的出现、使用及变迁等问题时,不能忽视与中国的关系。遗憾 的是目前与之相关的研究几乎还是空白。 因此,本论文对现在韩语词典中按词条顺序收錄的汉字国名数量进行了调查, 将结果显示的40余个国家名称作为研究对象,依据韩国和中国的文献分别阐述了其 起源、收錄过程以及现在使用的韩国与中国汉字国名的异同。

      • KCI등재

        『고려사(高麗史)』에 수록(收錄)된 백화자료(白話資料)의 대사고찰(代詞考察)

        문미진 중국학연구회 2010 중국학연구 Vol.- No.53

        本文以《高麗史》中的白話記載爲硏究對象,對記載中代詞的使用及來源進行 了深層的分析與探討。朝鮮鄭麟趾撰寫的《高麗史》共139卷,全書用漢文寫成, 記彔了高麗王朝在位的32代君主,歷時475年的歷史。本書爲了解高麗與中國的關 系提供了豊富的史料,特別是其中收彔了不少用白話寫成的外交公文,在硏究十三 四世紀近代漢語方面,它們成爲了極具价値的第一手資料。 現代漢語中的絶大部分代詞均産生于近代漢語且得到了廣泛的運用,因此對于 硏究近代漢語語法史與現代漢語代詞來說,尋找這些實例的基礎工作則顯得必不可 少。通過硏究,本文發現了“阿每”、“是么”、“那的每”、“該”、“那其間”、“兀都那” 等以前歷次硏究中未涉及到的代詞,今后需要對其進行廣泛的實例收集。除此之外 還發現,在元朝和明初使用過的代詞中,相當多的代詞在現代漢語中已經找不到 了,這可以看作詞匯是經歷産生、發展、消失各階段的過度現象。

      • KCI등재

        『古先君臣圖鑑』 硏究

        문미진 중국학연구회 2014 중국학연구 Vol.- No.68

        《古先君臣图鉴》是明万历十二年益藩阴刻绣像本,造稿精妙,表述经典,多为后人模范,然而此书在中国君臣图像研究上却向来少人问津。据潘峦〈重刻古先君臣图鉴跋〉所述,此书出版于万历12年(1584),是奉益王朱翊鈏之命,将周进隆所刊《续刊圣贤图》之错误进行修改后编纂而成。书中收录有君遗像四十三幅、臣遗像九十九幅,每幅均配有小传及古赞。本文首先对《古先君臣图鉴》的内容和形式进行考察, 其次以潘峦的〈重刻古先君臣图鉴跋〉为依据,对《古先君臣图鉴》的由来和发刊目的等进行探讨,最后辨別并整理出朝鲜中宗命编《历代君臣图像》和《古先君臣图鉴》的异同。本研究旨在不仅提供相关信息与资料、增进与中国的学术交流,还力求抛砖引玉,进一步发掘出韩国现藏的中国古籍。

      • KCI등재

        張志和의「漁歌」가 朝鮮詞에 미친 영향

        문미진 중국인문학회 2022 中國人文科學 Vol.- No.81

        張志和의 歸隱의 삶을 노래한 「漁歌」는 창작 당시부터 和答詞가 지어졌으며, 서기 827년 日本에도 전해져 日王과 公主 大臣들이 效體를 지을 정도로 환영을 받았다. 宋代에는 당시의 文豪였던 蘇軾과 黃庭堅이 앞다투어 「漁歌」를 變容한 「浣溪沙」와 「鷓鴣天」을 지었으니, 이런 현상은 「漁歌」가 오랜 기간 詞人들의 사랑을 받았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韓半島에 「漁歌」가 들어온 흔적은 高麗末에나 나타났고, 그것을 최초로 詞로 效體한 詞人은 17世紀에 생존했던 金壽增이었다. 물론 그 이전에 생존했던 朝鮮 初期 詞人들도 「漁歌」의 존재를 알고 자신의 詩文에 응용하기는 했으나, 詞體로 창작하지는 않았다. 「漁歌」의 次韻作은 18세기 후반에야 비로소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聯章體의 次韻詞는 19세기에야 나타난다. 본 연구는 高麗와 朝鮮의 詞人들이 張志和의「漁歌」를 어떻게 수용하였는지를 밝혀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朝鮮의 詞作에 나타난 「漁歌」의 效體와 次韻作을 찾아 내용과 형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漁歌」가 다른 唐宋詞와는 다르게 詩 그리고 歌辭 문학과 時調 및 민화와 신선도에도 영향을 주었다는 방증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郭子儀 平生圖屛 硏究

        문미진 중국인문학회 2015 中國人文科學 Vol.0 No.60

        郭子儀(697—781)是唐代杰出的将领, 平息安史之乱, 再造唐祚, 晋为中书令,封汾阳郡王, 赐号“尚父”。一生富貴壽考, 且“权倾天下而朝不忌,功盖一代而主不疑”。中国和朝鮮以郭子儀为主题的绘画主要以通景祝壽图形式出现, 之所以有關郭子儀的图像在中韓兩國歷來廣泛流行, 是因爲他們都以郭子儀爲富貴、長壽以及福祿的象徵。除了通景祝壽图以外, 中國還流行由8幅到12幅組成的郭子儀故事图屛, 看其故事圖屛, 似乎生平图传, 然所畵的有些故事內容屬于虛構, 應看做一種吉祥画才對。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