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축행동

        문경아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특수교육과 1996 특수교육 사례연구 Vol.1 No.-

        이 연구의 대상아동은 11세의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여자 어린이로 어려서부터 학습에 있어서 장애를 보여왔다. 정서장애아라 불릴 만큼의 보편적인 정서장애아동의 문제 행동을 갖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어렸을 때부터 주의가 산만하여 자주 과제에서 이탈하거나 지도 내용을 제대로 듣지 않아 주의가 쉽게 흩뜨려지는 특성을 보여 왔다. 이 아동의 행동은 다른 정서장애 아동에 비해 심하거나 계속적으로 다른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았다. 한 과제에 주의 집중을 못하는 아동의 행동 특성은 학습부진으로 이어졌다. 현재 아동은 특이하게 주목할 만한 주의장애를 보이지는 않는다. 그래서 이 아동의 부모는 낮은 학습 성취도를 보완하기 위한 교육을 보충하여 왔지만 3년간 특수 교육적인 서비스를 받지는 않았다. 대신에 부모가 직접 학습을 지도했고, 계속적인 정기간행 학습지를 구독하였다. 또, 가정 방문 지도 교사로부터 산수와 읽기 공부를 2개월 정도 지도를 받았다. 그러나 아동은 학습에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않았다. 학습이 어려운 단계로 진행될수록 아동은 학습에 싫증을 내었고 새로운 과제의 접근을 회피하였다. 이는 많은 학습의 실패 경험으로 인해 위축되었기 때문이다. 학습 수행 능력이 또래의 아동에 비해 많이 지체되어 2년정도 낮은 교과서나 그밖의 쉬운 교재로 학습을 하게 하였다. 그러나 어려서부터 경험한 학습에 있어서의 실패들로 인해 많은 위축 행동을 보였다. 이미 예전에 학습한 적이 있는 받아올림 ,내림이 없는 가장 간단한 수준의 산수 문제를 풀 때에도 아동은 과제에 접근하는 것을 회피하였다. 쉬운 문제이고 이미 알고 있는 문제라고 여러 번 말로써 설득시키고, 직접 문제 해결하는 과정을 보여 주어야지만 약간의 관심을 보였다. 이러한 학습에의 회피와 위축된 태도는 아동으로 하여금 더 높은 단계의 문제 해결을 가로막고 있으며 이미 알고 있는 학습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막고 있다.

      • KCI등재

        미술작품에서의 심상표현과 창조적 작업과정에 관한 고찰 - 작업실 미술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

        문경아 한국연기예술학회 2017 연기예술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작업실 미술치료 사례를 통해 미술작업과정에서의 창조성과 작품의 심상표현을 살펴봄으로 서 미술의 치유적인 속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술치료에서 작품은 언어와는 다른 차원의 소통을 가능 하게 하며, 미술치료의 치료효과 중 작업의 심상표현과 창조적인 작업과정은 ‘치료로서의 미술’에서 중요 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부분이다. 이 사례의 내담자는 미술작업을 통해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표현함으로 써 제한적인 자신의 환경에서 벗어나 타인과 소통하고자 하였고, 그의 노력은 자신뿐 아니라 다른 사람 들에게 또 다른 창의적 영감을 줄 수 있었다. 미술의 치유적인 속성에 많은 비중을 두는 ‘치료로서의 미술’의 의미를 재탐색하고 타 심리치료와 차별화할 수 있는 미술치료의 특수성과 미술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작업실 미술치료가 활성화되고 더 나아가 미술치료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데 기여할 수 있 기를 바란다. A play has been developed through lots of social phenomenon, science technology and ideas. through these, the play has autogenic power and repeat change and improvement. To make progress in the play, the things that never change is 'actor and audience'. Trend, structure of theatre and performing style has been changed, and yet the actor and the audience have not. Therefore, the actor is thought to be 'flower of the play'. To bloom the flower, the actor needs water. The water that is a variety of training. Training is the most important and basic to the actor and even though the style of the performing differs, the actor should remember training. Because, in temporary theatre, the actor performs presentational acting and limited acting at the same time. Also there should be a new training which is not bounded by the trend and combining the aspect of those acting for the actor. The limited acting is based on traditional western realism. It is not only exceedingly ordinary and natural but also reproducing and copying daily experience. Different from the limited acting, there is presentational acting which gets out of the traditional way of acting style. It is copying form of the Aristotle, the actor exists as a form of re-analysis and doubt of acting. All the actor want-to-bes should know the presentational acting and the limited acting and learn how to do them. Yet it is depend on tendency of director or acting methods. These kinds of differences can awaken characteristics of acting training.

      • KCI등재

        화학I 교과서에 나타난 중금속 용어와 개념의 고찰

        문경아,채희권,Moon, Kyung-Ah,Chae, Hee-K. 대한화학회 2007 대한화학회지 Vol.51 No.6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기술된 화학적으로 불분명한 ‘중금속' 용어에 대해 정의, 종류 및 의미의 항목으로 알아보았다. 예비 결과에 의하면 교과서중에서 ‘화학 I' 교과서 8종 중 6종에 서 비중을 근거로 중금속을 정의하고 있으며 또 인체에 유해하고 지속적으로 축적되는 금속으로 묘사하고 있 다. 특히 8종의 모든 교과서에서 중금속의 예로 카드뮴, 납 그리고 수은을 제시하고 있으나 비소와 같은 비금 속이나 크롬, 망간, 철, 코발트, 니켈 그리고 구리 같은 인체 필수 미량 금속도 들어 있었다. 금속의 독작용을 이해함에 있어서 금속의 산화상태, 생체 내 존재량, 생체 성분과의 반응성을 고려해야 하지만 교과서에서 이에 대한 단편적인 예만 제시하고 있었다. 화학적으로 정의되지 못한 용어는 학생들로 하여금 중금속은 독소와 동 일할 수 있다는 대안 개념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모호한 정의와 설명은 교과서에서 지양되어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rminology of chemically unclear ‘heavy metals' which were expressed in the Korean secondary science textbook in terms of the definition, the type and the meaning. Initial results showed that six of ‘Chemistry I' textbooks among these texts defined a heavy metal with the density and described it as a metal which is hazardous and continuously accumulated in the human body. Specifically, cadmium, lead and mercury were presented as examples of the hazardous metal in all of the eight textbooks but non-metals such as arsenic and absolutely essential metals including chrome, manganese, iron, cobalt, nickel and copper were also given in the texts. Most of the texts described the hazardousness and toxicity of the metal too simple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its intoxication despite considering all of the factors including its oxidation state, residual amount and reactivity with biomolecules of the human body. Such an ambiguous definition and explanation may excluded in the textbook because the chemically undefined chemical vocabulary leads students to cause an alternative conception of the heavy metal, which means that the metal could be identical with toxins.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개인미술치료에서 미술치료사의 관계 맺기 체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문경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8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미술치료에서 미술치료사의 관계 맺기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치료경력 최소 3년 이상의 미술치료사 10명을 심층면담 후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5개의 본질적 주제와 19개의 하위주제들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본질적 주제로는 ‘아동들과의 눈맞춤이 되지 않는 것과 무반응에 두려움을 느끼게 됨’, ‘통제되지 않는 상황으로 인해 좌절을 느끼며, 느린 관계변화와 똑같은 패턴의 작업에서의 답답함을 경험함’, ‘끊임없이 소통하려는 노력과 미술작업을 매개로 차츰 긍정적 변화가 오며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관계 맺기가 시작됨’,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과의 관계 맺기에서 중요 요인들을 인식하게 됨’, ‘관계 맺기를 경험하며 내담자만 변화하는 것이 아닌 치료사 자신도 같이 발전하고 있음을 느낌’이다.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과의 미술치료에서 치료사는 많은 좌절을 경험하지만 그들의 특성과 능력이 상이한 것을 인식하고 눈높이에 맞춰나가며, 특히 미술작업을 통한 상호작용에서 관계 맺기가 시작되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이 과정에서 치료사는 아동의 성장뿐 아니라 치료사 자신도 같이 성장함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론을 토대로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에 대한 보다 많은 이해와 미술치료 안에서의 관계형성에 실제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in the art therapy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art therapists with at least three years of experience and were analyzed in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presented by Max van Manen. Five essential themes and 19 sub themes were derived and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essential themes derived as such are; ‘became feel fear due to the inability to make eye contact with the children and the unresponsiveness of the children’, ‘became to feel frustration due to uncontrollable situations and experienced stuffiness due to slow changes in relationship and work in the same pattern’, ‘positive changes were gradually brought about through unceasing efforts to communicate and through the mediation of artwork leading to interactions resulting in the beginning of making relationships’, ‘became to recognize important elements in making relationships wit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experienced making relationships and felt that not only the clients but also therapists themselves were changing.’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capable of helping better understanding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providing actual help in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in art therapy.

      • KCI등재

        아동 미술치료 사례를 통한 미술활동과 놀이에 대한 의미 고찰

        문경아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정서장애를 가진 아동과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두 가지 사례를 통하여 놀이가 병행된 미술 활동의 긍정적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첫 번째 사례는 정서적인 억압을 보이는 아동이 놀이를 통해 치료사와의 관계가 발전하는 모습, 아동의 창의성이 놀이와 미술 활동을 통 해 점점 발전해나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두 번째 사례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 술치료로서 역시 놀이를 통해 다양한 미술 활동을 병행하면서 재료를 탐구하는 즐거움과 미술작업 과정 에서의 성취감을 알아간다. 또한 치료사와의 관계 맺기를 통해 타인과의 관계를 인식해나가는 과정을 가 지면서 행동발달이 조금씩 개선되어 나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처럼 아동의 발달단계에 맞추어 알맞게 제공되는 미술 활동과 놀이는 아동들이 내적 욕구를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감정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도록 돕고 이를 통해 긴장이나 갈등을 승화시키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미술치료 과정은 치료 사와의 의미 있는 상호작용이 동반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정서장애를 가진 아동이나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 모두 즐겨할 수 있는 미술 활동은 더 나아가 그들의 잠재력을 개발하고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교육적 측면도 가진다. 이 두 가지의 아동 미술치료 사례를 통하여 미술 활동과 놀이의 역할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사례가 보여주는 것처럼 치료사가 제공하는 안전한 환경, 다양한 재료 탐 색 및 표현 방법을 활용한 미술 활동 그리고 즐거움이 동반된 놀이가 적절하게 적용되었을 때 치료의 효 과는 높아질 수 있다. 본고는 아동 미술치료 사례를 통해 미술 활동과 놀이의 적절한 활용 그리고 그 과 정에서의 치료사/내담자 관계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아동 미술치료에서의 미술 활 동과 놀이의 의미를 재고하고 더 나아가 미술치료에서 미술 활동의 역할과 가치, 미술의 치유적 속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sitive effects of playful art activities through two cases of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emotional disabilities and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abilities. The first case shows that a child with emotional repression is developing his relationship with a therapist through play as well as the child’s creativity progresses gradually through play and art activities. The second case is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hich also learns the joy of exploring materials and the sense of accomplishment in the process of art work by combining various art activities through play. It also shows that behavioral development is gradually improving as the process of recogniz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through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therapists. As such, art activities and play, which are properly provided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 can help children develop the ability to convey emotions through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inner desires, thereby sublimating tension or conflict. This art therapy process is possible by bringing about meaningful interactions with therapists. Art activities that can be enjoyed by both children with emotion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so have an educational aspect that they can further develop their potential and display their crea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role of art activity and play through two cases of children's art therapy. As these two examples show, the effect of treatment can be increased when the safe environment provided by the therapist, art activities using various material exploration and expression methods, and play accompanied by pleasure are properly applied. This can be fully utilized not only in art therapy for children but also in art therapy for adults and the elderly, and it should be treated as an important part for the diversification of art therapy.

      • 인터렉티브 TV의 사용성을 위한 개인화 서비스의 네비게이션 디자인

        문경아,이현주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9 디자인지식저널 Vol.10 No.-

        2. 웹과 인터렉티브TV의 네비게이션 디자인 비교 2-1. 네비게이션 디자인과 사용성 2-2. 네비게이션 디자인 구조 및 특성 2-2-1. 웹 사이트의 네비게이션 디자인 2-2-2. 인터렉티브TV의 네비게이션 디자인 2-3. 네비게이션 디자인 구조 현황 2-3-1. 방송사 웹 사이트의 네비게이션 구조 2-3-2. 인터렉티브TV의 네비게이션 구조 3. 인터렉티브TV의 개인화 네비게이션 디자인 3-1. 개인화 네비게이션 디자인 3-1-1. 개인화의 개념과 필요성 3-1-2. 개인화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조건 3-2. 개인화 네비게이션 디자인 모델 3-2-1. 네비게이션 디자인 구조 3-2-2. 트리거(Trigger)메뉴와 편성표 3-2-3. 사용자 인증과 개인화 편성표 3-2-4. 인기채널(HOT choice)과 알리미 3-3. 인터뷰 분석 4. 사용 결과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要約) 사람들의 편의를 위하여 새로운 모습의 미디어가 끊임없이 개발되고 있다. 사람과 정보가 쉽고 빠르게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네비게이션 디자인은 뉴미디어 환경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연구 분야이다. 사용자가 미디어를 새로운 기기가 아닌 일상생활의 도구처럼 사용편의성을 갖도록 해 주는 것이 바로 성공한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몫이다. 인터렉티브 TV도 이러한 뉴미디어 중 하나이다. 아직은 디지털방송에 익숙하지 않은 우리에게, 인터렉티브TV가 편리한 미디어로 다가오기 위하여 네비게이션 디자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인터렉티브TV의 사용성이 관건이다.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웹의 네비게이션 구조를 분석하여, 사용성을 위한 개인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적용한 새로운 인터렉티브TV 개인화 네비게이션 디자인을 제안하고, 사용자 그룹에게 인터렉티브TV의 기존 환경과 새롭게 제시된 네비게이션 디자인 환경을 경험하도록 하였다. 사용자 그룹의 인터뷰를 통해 사용 경험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도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개인화 네비게이션 디자인의 가능성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글자 없는 책 읽기의 언어중재 효과: 언어발달지체를 지닌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및 이야기 구성을 중심으로

        문경아,김화수 한국발달장애학회 2012 발달장애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how language abiliies and story structure abilities for children in language delayed multicultural family is affected by language interventions of the wordless book readings. Three subject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subject was scheduled for a 40-minute session two times a week. Subject received 24 sessions of story -making activities during 3 months. The study design used was multiple baseline across the subjects.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e study;First, the language interventions of the wordless book readings was implemented with the children in language delayed multicultural family, and all subject were being improved receptive language abilities. Second, the language interventions of the wordless book readings was implemented with the children in language delayed multicultural family, and all subject were being improved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Third, the language interventions of the wordless book readings was implemented with the children in language delayed multicultural family, and all subject were being improved story structure a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글자 없는 책 읽기의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를 지닌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과 이야기 구성능력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다문화가정 아동 3명이며, 연구 절차는 2010년 10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기초선 단계, 중재 단계, 유지 단계 순으로 진행되었다. 아동의 언어능력은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이야기 구성 능력은 이야기 구조 개념 발달단계의 특징에 따라 점수화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분석을 위하여 피험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 design)를 적용하였다. 글자 없는 책 읽기의 언어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언어발달지체를 지닌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수용언어능력, 표현언어능력, 이야기 구성능력은 모두 중재 전에 비해 중재 후에 많은 향상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문.이과 계열에 따른 중금속에 대한 고등 학생들의 인식 및 이해도 분석

        문경아,채희권,Moon, Kyung-Ah,Chae, Hee-K. 대한화학회 2009 대한화학회지 Vol.53 No.6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으로 잘 정의되지 않은 ‘중금속’ 에 대해서 고등학생들의 인식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고등학교 2학년생 19개 반 (N=611)을 대상으로 '화학 I'을 이수한 이과 반 10개와 이수 하지 않은 문과 반 9개의 두 집단으로 나눠서 조사하였으며 서로 비교하였다. 중금속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정의, 인식 형성에 미치는 요인과 화학적인 지식에 대한 세 가지 항목을 SPSS에 의해 분석하였다. 학생들 중 문 . 이과 전공에 상관없이 대다수가 중금속을 생물체 내에 축적을 일으키고 인체 유해한 금속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을 형성함에 있어서 대중매체와 학교 수업이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이과 반 학생들의 경우 문과 반에 비해 학교 수업에 의한 영향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중금속 정의를 금속의 종류와 인체에서의 함량에 관계없이 인체 유해한 물질 및 교과서의 잘 정의되지 않은 용어에 따라 물리적인 밀도와 관련된 것으로 오해하는 경향이 높았다. 흥미롭게도 이과 반 학생들이 중금속의 유해성과 화학적인 구조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던 반면 금속의 독성학적 성질에 관한 질문에서 문과 반 학생들의 정답률이 높았다. In this study,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chemically ill-defined ‘heavy metals’ were examined through questionnaires. Nineteen classes of 11th graders (N = 611)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completion of 'Chemistry I', which were 10 science-classes and 9 liberal art-classes and compared each other. Three terms of students' cognition and definition,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ir cognition, and their chemical knowledge of 'heavy metals' were analyzed by SPSS. The findings revealed that most of students recognized ‘the heavy metal’ as the metal which causes to be accumulated on any living thing and is hazardous in human body regardless of different major between liberal art and science. Mass media and school instruction were found to be the greatest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se cognitions. Especially, school instruction had more effects on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than students majoring in liberal art, which bring the result that students in science-classes have more misconception about the definition of 'heavy metals' with human toxicant regardless of metal species and its content in human body and physical density due to the ill-defined terminology of the textbook than students in liberal art-classes do. It is interesting that students in science-classes understood hazard and chemical structure of 'heavy metals' better, while students in liberal art-classes answered the question better about hazardous properties of heavy met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