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방 조리 중간관리자의 진실리더십과 장인적 직무수행 및 조직 유효성에 관한 연구

        류제승,전인석,조성문 한국외식경영학회 2020 외식경영연구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restaurant service industry worker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and AMOS 23.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s.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kitchen cooking middle manage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job crafting of the members. Second, it was analyzed that job crafting of member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refore,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kitchen cooking middle manager has been verified as affecting the work performance of the members and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ntire organization, suggesting that the middle manager should act truthfully and morally to the members. 본 연구는 서울지역 외식서비스산업 종사자 2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진실리더십이 장인적 직무수행과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통계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가설검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방 조리 중간관리자의 진실리더십은 구성원의 장인적 직무수행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의 장인적 직무수행이 조직 유효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주방 조리 중간관리자의 진실리더십은 구성원의 장인적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 전체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어 중간관리자는 구성원들에게 진실되고 도덕적인 행동을 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그리고 한미동맹과 연합방위체제의 미래

        류제승 사단법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19 한국국가전략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presentation is to discuss the possible design of the ROK-U.S. Alliance structure and the combined defense system in the post-establishment of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First, the implication and meaning of the past Korean administrations' peace regime and the issues' common denominator shall be observed, as well as the anticipation of military stab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urrounding strategic situation in the post-denuclearized peace regime scenario. Republic of Korea's national security strategy objective should be set up to maximize the two Koreas' coexistence factors, minimize conflicts, maintain peace and stability on the Peninsula and neighboring countries, whilst obtaining reunification in a timely manner. The military strategy that follows should focus on establishing the concept of 'flexible deterrence and defense strategy' and pursue the balance of power by having qualitative superiority. The ROK-U.S. Alliance began in 1953 as a military alliance and later has evolved as a 'comprehensive strategic alliance partnership' which expanded in the field of politics, economy, information and culture. The future of the ROK and the U.S. relationship should develop in a way that goes beyond the Peninsula and contribute to the peace and stability in East Asia and the world. In this macro perspective, there is a need to explore the best design centering around the agenda of optimal ROK-U.S. cooperative mechanism, transition of the combined command relationship, adjustment of USFK and UNC roles and stature, and improving the nuclear sharing system, etc. on the future Alliance structure and the combined defense system. 이 글의 목적은 미래 한반도 평화체제가 수립된 상태에서, 한미동맹의 구조와 연합방위체제를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를 논의하는데 있다. 우선 역대 한국 정부의 평화체제 구상이 갖는 의미와 문제의 공통분모를 살펴보고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를 이룬 미래 한반도의 군사적 안정성과 주변의 전략 상황을 예상해 봐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국가안보전략의 목표는 남북한의 공존요소를 극대화하고 갈등요소를 최소화하여 한반도는 물론 주변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면서 적정 시기에 통일을 이루도록 설정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른 군사전략은 ‘유연한 억제 및 방위전략’ 개념을 정립하여 질적 우위의 역량으로 힘의 균형을 추구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한미동맹관계는 1953년 군사동맹에서 출발하여 지금까지 정치·경제·정보·문화 분야로 확장된 ‘포괄적 전략동맹관계’로 진화되어 왔다. 미래에도 한미 양국은 한반도를 넘어 동아시아 지역과 세계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는 파트너십을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거시적 관점에서 한미동맹구조와 연합방위태세의 미래에 관해 한미협력의 메커니즘의 최적화, 한미연합지휘관계의 전환, 주한미군과 유엔사의 지위와 역할 조정, 핵 공유체제 발전 등의 의제를 중심으로 최적의 설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북한의 실존적 위협과 미래 한미동맹의 준비태세 강화책

        류제승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21 한국국가전략 Vol.6 No.2

        북한의 대남 공작활동과 무력도발은 1945년 8월 분단과 동시에 시작됐으며, 전술적으로 투쟁 양상만을 달리할 뿐 북한체제가 존속하는 한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최근 북한 노동당 규약 문구 변경은 ‘핵자만(自慢)’에서 비롯된 용어의 혼란 전술과 말장난에 불과한 데, “남조선 혁명론이 소멸됐다”는 주장이 나온다. 북한의 핵 보유량은 지난 4년간 2배 증가하여 최소 45개로 추정되며, 한국의 존립뿐만 아니라 미국 본토까지 위협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미·중 전략경쟁의 심화 추세에서, 중국 정치지도부의 역사의식과 한반도 문제 인식은 한·중 관계 발전에 근본적인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김일성-김정일 시대 북한의 위협은 대체로 재래식 무력도발과 테러행위에 국한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김정은 시대 북한은 핵무기를 ‘결정적 수단’으로 ‘결정적 이익’을 추구하는 전략 게임을 벌이면서, 남북관계의 위계적 ‘새판짜기’에 돌입한 상태이다. 한미동맹은 북한의 정치적 의도와 군사적 능력을 정확히 인식하고, 그 위협에 대한 우리의 확고한 대응 의지를 북한에게 명확히 알려줘야 한다. 역으로, 한미동맹의 ‘억제적 위협(deterrent-threat)’을 북한이 어떻게 인식하는지도 알아야 한다. 북핵 문제 해결의 지름길은 한미동맹이 ‘핵동맹(nuclear alliance)’으로 진화하는 것이다. 북핵 위협을 억제하는 의식(意識)과 군사 활동이 한미연합방위의 중심축이 되도록 ‘핵문화(nuclear culture)’를 형성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다음 세 가지 기본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김정은 시대 북한 위협은 선대(先代)의 위협과 비교해 볼 때 어떤 특징적 변화가 있는가? 둘째, 향후 북한이 자행할 가능성이 높은 ‘주체가 불명한(invisible) 도발’ 또는 ‘놀라운 기습(suprising surprise) 형태의 도발’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한미동맹 차원에서 재래식 전쟁은 물론, 핵전쟁으로 비화할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핵억제(nuclear deterrence) 및 핵보장(nuclear assurance)’을 강화하는 방안은 무엇인가? North Korea's covert operations and armed provacations against the Republic of Korea began at the same time as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in August 1945, and will continue as long as the NK regime survives, with only tactical differences. The recent change in the wording of the NK ruling Workers Party's protocol is nothing more than a confusion tactic involving changes in terminology, stemming from "nuclear conceit," but some argue that "the revolutionary theory regarding South Korea has disappeared." NK's nuclear reserves have doubled in the past four years to at least 45 bombs, threatening not only the ROK's existence but also the U.S. mainland. In the current state of intensifying competition between China and the U.S., the viewpoint of the PRC’s leadership regarding recent history and the Korean peninsula shows that there is an inherent limit to possible improvements in the ROK-PRC relationship. NK's threats during the rule of Kim Il-sung and Kim Jong-il had largely been characterized by limited conventional armed provocations and terrorist acts. However, during the Kim Jong Un era, NK has entered into a state of attempting to "make a structual change" of a hierarchical inter-Korean relations, by playing a strategic game of pursuing "decisive interests" with nuclear weapon as a "decisive means". The ROK-U.S. alliance must accurately recognize NK's political intentions and military capabilities, and clearly inform NK of our firm commitment to respond to the threat. Conversely, it is also necessary to know how NK perceives the “deterrent-threat” of the ROK-US alliance The shortcut to resolving the NK nuclear issue is for the ROK-U.S. alliance to evolve into a ‘nuclear alliance’. A ‘nuclear culture’ must be formed so that military consciousness and activities to deter the NK nuclear threat become the central axis of the combined defense of the ROK-U.S. alliance. In this article, we will discuss three basic points of view. First, what characteristic changes are there in the NK threat during the Kim Jong-un era compared to that of previous generations? Second, what is the pattern of “invisible provocations” or “provocations in the form of surprising surprise” that NK is likely to commit in the future? Third, what are the measures to strengthen ‘nuclear deterrence and nuclear assurance’ to prevent the risk of a conventional war as well as its turning into a nuclear war in a joint effort of the ROK-U.S. alliance?

      • KCI등재

        김정은 체제의 실상과 우리의 전략적 접근

        류제승 사단법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20 한국국가전략 Vol.5 No.3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011년 12월 17일 김정일이 급성 심근경색으로 사망한 직후 북한 최고 권력을 공식적으로 세습했다. 김정은의 실질적 통치 행위는 김정일의 건강이 급격히 악화한 2009년 초부터 시작됐다고 봐야 할 것이다. 김정은의 ‘유일 영도 체제’는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공고화되는 과정을 거친 셈이다. 더욱이 김정은은 체제 생존을 위한 결정적 수단인 핵무기를 손에 쥐게 되었다. 2020년 초부터 북한 내부 상황에 대한 전문가 커뮤니티의 평가 경향에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2016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채택된 5개의 유엔 대북제재 결의안이 북한의 민수경제와 인민생활을 상당히 위축시켜 왔다. 이러한 추세에서 코로나19 감염병이 확산일로였던 지난 3월, 이미 북한 내부에서 ‘제2의 고난의 행군’이란 표현이 터져 나왔던 터에 여름철 사상 최악의 태풍·홍수 피해까지 겹쳤다. 북한 주민들은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만일 외부 세계의 인도적 지원이 없다면 북한 체제는 어느 순간 임계점을 넘어 자체 통제력을 상실하고 한국까지 혼란에 빠뜨릴지 모를 일이다. 한미 양국 정부는 ‘한반도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정착’를 성취한다는 목표에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한·미는 두 노력선의 선후 ‘순서’ 문제를 두고 갈등을 빚고 좀처럼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지난 10월 14일 한미 SCM 국방장관 공동성명에서 보듯이 전작권, 유엔사, 방위비 분담금 문제 등 거의 모든 협의에서 불협화음을 넘어 동맹의 정체성까지 흔들리는 상황까지 왔다. 지난 10년 동안 진행된 북한 변화의 구조적 특징에 관해 김정은 개인의 리더십, 권력 구조, 경제 상황, 군사 정책, 대남 정책 등의 분야별로 조망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과 태세에 대한 평가는 김정은 체제의 실상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핵심 요소로서 한반도 분단 상황 관리의 출발점이다. 북한 핵무기는 대내적으로 김정은 체제를 보위하고 대한민국을 위협하는 핵심 수단이며, 대남·대외 정책을 펴는데 위력적 ‘뒷배’로 작용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북한 체제의 안정성과 불안정성 문제는 기저적 관점으로 다루고 있다. 이어서 독일의 사례에 비춰 본 한반도의 분단 상황 관리와 남북관계 발전의 원칙, 북한의 긍정적 변화와 비핵화를 이끌기 위한 한미 동맹의 공조와 미래지향적 발전에 초점을 맞춰 바람직한 전략적 접근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s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has solidified for more than a decade. Furthermore, he has come to possess nuclear weapons, a decisive means for the regime's survival. Beginning in early 2020, there have been changes on the expert community's assessment of the internal situation in NK. Five U.N. resolutions on sanctions against NK adopted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7 have considerably dampened the NK civilian economy and people's lives. In this trend, the term "Second March of Hardship" erupted inside of NK in March, when COVID-19 was spreading. Furthermore, the worst typhoons and floods in the summer season overlapped. Without humanitarian aid from the outside world, the NK regime may at some point cross the threshold and lose its own control and cause chaos to the ROK. The ROK and U.S. governments agree on the goal to achiev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permanent peace settlement". However, the ROK and U.S. have been at odds over the sequence of the two lines of efforts and have been unable to narrow their differences. There is constant discord in the process of major policy coordination and agenda consultations between the two. This paper views at Kim Jong-un's personal leadership, power structure, economic situation, military policy, and vis-a-vis ROK policy, with emphasis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NK changes over the past decade. Above all, NK nuclear weapons are a key means of defending the Kim Jong-un regime and threatening the ROK, and they are a powerful "back up" in implementing policies toward the ROK and other countries. In this study, the stability and instability of the NK regime is set as a basal perspective. Next, in the light of Germany's case, a desirable strategic approach is proposed focusing on managing the state of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the principles of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cooperation and future-oriented development of the ROK-US alliance to lead positive changes and the denuclearization of NK.

      • KCI등재
      • KCI등재

        전환기 한미동맹의 갈등과 진로

        류제승 ( Yoo Jehseung )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20 한국국가전략 Vol.5 No.1

        한미 동맹은 전환기적 상황에 들어섰다. 세계적으로 국제주의가 퇴조하고 애국주의(민족주의)가 만조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016년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내세워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 왕성한 실행력으로 ‘거래적’ 이익을 추구하고 있다. 작년 9월 유엔 총회 연설에서도 미래는 국제주의자가 아닌 애국주의자에게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시진핑 주석은 임기 제한을 없애고 강력한 지도체제를 구축하여 중국몽과 강군몽 실현을 통해 기존 미국 중심의 인도·태평양 질서를 중국 중심으로 변경하려고 골몰하고 있다. 일본의 아베 수상은 장기 집권에 성공하면서 ‘보통국가’ 실현을 눈앞에 두고 있다.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은 오랜 기간 최고 권력자의 지위를 유지하면서 냉전체제 종식 후상실했던 국가 위상을 회복하고 주변지역에 대한 영향력 확대를 노리고 있다. 한국의 동맹국인 미국을 비롯한 주변국들의 전략 노선은 지정학 및 지경학적 관점에서 한반도의 현재와 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요인이다. 한편으로 중견국 한국의 생존과 번영은 미국을 비롯한 주변 4국의 안보적·경제적 영향력에 의존적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주변 4국이 추구하는 전략적 이익의 크기도 한국이 어떤 전략적 입장을 취하고 어떤 전략적 접근을 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전략 환경 속에서 한국은 앞으로 어떻게 국익을 보호하고 증진해 나갈 것인가? 이 근본 물음은 국가가 존재하는 이유이면서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살펴보는데 기본 관점을 제공한다. 핵을 손에 쥔 김정은 위원장의 무모한 셈법과 전횡적 태도를 이대로 두고만 볼 것인가? 한미 동맹의 갈등이 심화되고 체질이 약화되는 원인은 어디에 있으며 회복은 가능한가? 한미 양국 대통령의 가치관과 양국 정부가 채택하고 있는 정책 노선의 차이는 좁힐 수 있는가? 한미가 직면한 주요 의제 협의에서 나타나는 이견과 대립을 어떻게 조율할 것인가? 이처럼 전환기적 상황을 맞이한 한미 동맹은 미래 진로를 어떻게 열어가야 하는가? 등의 문제의식을 토대로 최적의 해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ROK-U.S. alliance has entered into a transitional phase. It seems clear that internationalism tends to abate and nationalism prevails in the global arena. The U.S. president Donald Trump has been pursuing “transactional” interests with his vigorous implementation ever since he was elected president in 2016 under the slogan of "America First". In an address at the U.N. General Assembly last September, he also stressed that the future lies with patriots, not internationalists.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is trying to transform the existing U.S.-centered Indo-Pacific order to China-centered order through the achievement of "China Dream" and "Strong Army Dream" by removing the presidential term limits and establishing a robust leadership system. Abe, the Japan’s prime minister, is on the verge of becoming an "Ordinary Country" as he has succeeded in taking long-term seizure of power. Russia’s President Putin is seeking to restore Russia's previous stature that was divested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and expand its influence on the surrounding regions maintaining his position as a long-term supreme power. The strategic lines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ROK's ally, U.S., are crucial factors that can affect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perspectives. The survival and prosperity of Korea as a middle power depend on the security and economic influence of the U.S. and four other neighboring countries. However, at the same time, the strategic interests pursued by the four neighboring countries are also dependent on what strategic positions and approaches the ROK takes. In this strategic environment, how will Korea protect and promote national interests in the future? This fundamental question provides answers to an existence of a nation and offers basic perspectives on the following issues. Will we stand aside and watch nuclear-capable Kim Jong-un’s reckless calculation and arbitrary attitudes as they are? What are the causes of the intensified conflict and weakened ROK-U.S. alliance, and is it possible to recover from it? C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s of the two presidents and the policy lines adopted by the two governments be narrowed? How will we coordinate the different views and confrontations that emerge on major agendas that the ROK-U.S. are facing? How should we open the future course of the ROK-U.S. alliance in this transitional environment? We have to find the best solutions with being mindful of the questions mentioned above.

      • 한·UAE 관계 - 축복(Barakah)받은 형제(Akh)의 현재와 미래 -

        류제승 ( Yoo Jeh-seung ) 한국외교협회 2023 외교 Vol.146 No.0

        The diplomatic relations were established in 1980. And the signing of the contract to build the Barakah Nuclear Power Plant marked a pivotal juncture in the bilateral tie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Arab Emirates, paving the way for an expanded relationship in various areas. As a result, the bilateral relationship, which was defined as a Strategic Partnership in 2009, was elevated into a Special Strategic Partnership in 2018. Th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nations has evolved beyond the sectors of energy and infrastructure into such areas as the military and defense, health, artificial intelligence, digital technology, space, agriculture and cultural fields. Indeed, the State Visit made by President Yoon Suk Yeol in January has served to further expand the concerted endeavors. President Yoon’s visit to the UAE was the first state visit by a Korean President to the UAE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During this visit, the two Presidents agreed to strengthen the strategic cooperation in four main areas: energy, nuclear power, investment, and defense. The two Leaders also laid the legal groundwork for new strides forward by signing an impressive 48 MOUs. Furthermore the UAE government announced its plan to invest USD 30 billions in Korea. Bilateral relations will keep growing based on the solidar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the newly nurtured friendship between our two Leaders. The two countries will not only pursue short and mid-term economic benefits but indeed, more broadly, embrace a joint vision for coordination and teamwork to build strong, rich and sophisticated nations of cultural influence based on mutual deep understanding and firm bonds between the peoples. The two nations have a duty to hand over to future generations the legacy of a strong and affluent country, a beautiful and clean environment and a free and peaceful world. Such a goal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partnership with a country such as the UAE with which we share strong brotherly bonds. Last April, the UAE rendered invaluable help in the evacuation of Koreans from Sudan in a spirit of “Korean nationals are UAE nationals and the safety of Koreans is the safety of Emiratis.” Based on such true bonds of sincere trust and affinity, the author is fully confident that the two countries will work together in friendship for the next 100 years, opening a new era of flourishing cooperation and thriving prosperity.

      • 1.8GHz대 평형 전력 증폭기의 설계

        이재섭,제승,권경훈,근무,이승현,임종식 순천향대학교 부설 산업기술연구소 2012 순천향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18 No.2

        In this paper, a design of 1.8GHz balanced power amplifier (PA) is described. PAs, which are placed in the transmitter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transfer the high power signal to antenna. In order to design the configuration of the balanced PA, a pre-amplifier is designed first for high gain and stable operation. The drive amplifier is designed to have sufficient output power which guarantees the linear driving the balanced PA, the last amplifying stage. The last stage consists of the balanced structure for doubling output power and backup function. This enables one to obtain 2Watt output power using two 1Watt power transistors. In this work, both reliable simulated and measured data are shown with 2Watt output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