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방형 BIM 기반 IFC 모델을 이용한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도구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류정림,문선기,추승연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3 No.5

        MOLIT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uthorized Indoor Spatial Information as Basic spatial information in 2013. It became a legal evidence for constructing and manag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Although it has a little advantage to utilize as service level that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laser scan or measurement, it has a lot of problems such as consuming many resources, requiring additional progresses for inputting Object Information. In conclusion, it is inefficient to utilize for the maintenance and domestic AEC/FM field.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output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operating IFC model which based on open BIM and to improve availability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with data visualization. The open-sources of IFC Exporter, a inner program of Revit (Autodesk Inc), is used to output Indoor Spatial Information. Directs 3D Library is also operated to visualize Indoor Spati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nter-operate between XML format and the objects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It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 as well. For example COBie linkage in facility management, construction of geo-database using air-photogrammetry of UAV (Unmaned Areal Vehicle), the simulation of large-scale military operations and the simulation of large-scale evacuation. The method that is purposed in this study has outstanding advantages such as conformance with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licy, high level of interoperability as indoor spatial information objects based on IFC, convenience of editing information, light level of data and simplifying progress of producing information. 2013년 국토교통부는 부가가치와 활용도가 높은 실내공간정보를 국가 핵심 공간정보로 구축 관리하기 위하여 ‘기본공간정보’로 추가 지정하였으며, 이에 전국의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법률적 근거와 계기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측량/촬영 및 레이저스캐닝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할 경우 실내공간의 매핑으로 시각적 서비스차원의 활용은 유리하지만 시간적, 인적, 물적 자원의 소비가 크고 속성정보의 입력을 위해 추가적인 정보가공을 필요로 하는 등 유지관리 측면과 국내 AEC/FM 분야 정보의 활용이 제한적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BIM 기반의 IFC 모델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 시각화 기술과 연계하여 이해와 표현이 쉬운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실내공간정보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시각화 도구는 Autodesk사의 Revit 내부 프로그램인 IFC Exporter의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추출하였으며 실내공간정보의 시각화를 위해서는 Direct3D Library를 사용하였다. 생성된 실내공간정보 객체는 XML 포맷과 상호호환이 가능하며 시설물 유지관리 분야의 COBie 연계, 항공촬영 혹은 UAV를 활용한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대규모 군사작전 시뮬레이션, 재해/재난 발생 시 대규모 피난 시뮬레이션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방안은 국가의 공간정보정책방향에 부합하고 기존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생성함으로써 정보생산의 단계가 간편하다. 또한, IFC 기반의 실내공간정보 객체로써 상호운용성이 높고 정보의 편집이 용이하며 데이터의 경량성 측면에서 우수하다.

      • KCI등재

        드론 활용 체적산출 자동화를 통한 해체 폐기물량 예측기법에 관한 연구

        류정림,김혜리,박원준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2 No.6

        본 연구에서는 도면정보나 건축물 정보가 불확실한 노후 지역의 건설폐기물 발생량 예측을 위하여 드론촬영, 자동 체적산출, 연면적 간접 변환, 폐기물량 예측의 과정을 QGIS 플러그인 형태로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모의검증을 통하여 드론 활용 자동 산출된 체적과 현장실측 기반 BIM 체적과의 높은 일치성을 확인하였다. 실제 해체예정지를 대상으로 현장검증을실시하고 드론 기반 체적과 실측-BIM기반 체적의 일치성을 재확인하였다. 층고와 건축물 유형 설정을 통하여 폐기물 발생원단위를 적용하고 직간접적인 방식으로 폐기물량을 산출하였고, 전체 과정은 드론 촬영과 산출 자동화 과정을 포함하여 면적 1,200,000m2 대상지를 6시간 이내의 작업시간으로 신속하게 처리하였다. 비록 건축물 정보와 드론을 통한 건물 객체의 차이는 가설물, 적재물, 층고 설정에 따라 오차가 발생하였지만, 실제 해체물량도 최초 예측보다 더 크게 발생할 것으로파악되었으며, 향후 사례조사를 통하여 체적-연면적 변환의 정확도 향상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 공간자료 구축을 위한 BIM/GIS 표준정보 기반 건축도시통합모델(iBUM)의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류정림,추승연,Ryu, Jung Rim,Choo, Seung Yeo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5

        최근 건축정보 분야에서는 터널, 교량 등 도시의 인프라에도 건축정보모델링(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 적용되면서 대형화된 도시 건축물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해 BIM 뿐만 아니라 건물의 외부환경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건축물정보모델 및 도시/지리정보 모델 간 정보의 상호운용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시뮬레이션 및 도시계획, 국토보안 등 기타 응용프로그램에서의 상당한 이익과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는 관점에서 공간정보와 빅 데이터의 융합은 강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정보 분야의 개방형 BIM(open BIM) 표준모델인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와 GIS분야의 표준모델인 CityGML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연계하기 위해 IFC와 CityGML, LandXML의 정보체계 및 형상표현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공간정보 분석을 위한 객체기반의 건축 도시통합모델의 개발방향을 제시하고 BIM과 GIS 간의 기초 융합전략 및 활용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Recently,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has been applied to the infrastructure such as road and bridge, and information about the outside environment of buildings is needed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the large urban facilities. In addition, the convergence between spatial information and Big-data has a large potentiality, in respect that considerable profits and developments in other application problems such as various simulations and urban plans, national land security, may be brought about on the basis of the interoperability of information between BIM and GI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 model integrating building for spatial information analysis and city on the subject by comparing and analyzing difference between information system and shape expression of IFC, CityGML and LandXML to efficiently link information between IFC as a standard model of BIM and CityGML as a standard model in the GIS sector and to prepare a basic fusion strategy and a method of utilization between BIM and GI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ly, contents and structure of IFC, CityGML and LandXML are compared and analyzed. Secondly,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iBUM(Integrated Building and Urban Model) suggested, which is based on convergence technology for analysis of space information. Finally, a strategy and method of the BIM and GIS are proposed in the iBUM environment.

      • KCI등재

        공간자료 구축을 위한 BIM/GIS 표준정보 기반건축도시통합모델(iBUM)의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류정림,추승연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2 No.5

        Recently,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has been applied to the infrastructure such as road and bridge, and information about the outside environment of buildings is needed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the large urban facilities. In addition, the convergence between spatial information and Big-data has a large potentiality, in respect that considerable profits and developments in other application problems such as various simulations and urban plans, national land security, may be brought about on the basis of the interoperability of information between BIM and GI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 model integrating building for spatial information analysis and city on the subject by comparing and analyzing difference between information system and shape expression of IFC, CityGML and LandXML to efficiently link information between IFC as a standard model of BIM and CityGML as a standard model in the GIS sector and to prepare a basic fusion strategy and a method of utilization between BIM and GI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ly, contents and structure of IFC, CityGML and LandXML are compared and analyzed. Secondly,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iBUM(Integrated Building and Urban Model) suggested, which is based on convergence technology for analysis of space information. Finally, a strategy and method of the BIM and GIS are proposed in the iBUM environment. 최근 건축정보 분야에서는 터널, 교량 등 도시의 인프라에도 건축정보모델링(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 적용되면서 대형화된 도시 건축물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해 BIM 뿐만 아니라 건물의 외부환경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건축물정보모델 및 도시/지리정보 모델 간 정보의 상호운용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시뮬레이션 및 도시계획, 국토보안 등 기타 응용프로그램에서의 상당한 이익과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는 관점에서 공간정보와 빅 데이터의 융합은 강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정보 분야의 개방형 BIM(open BIM) 표준모델인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와 GIS분야의 표준모델인 CityGML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연계하기 위해 IFC와 CityGML, LandXML의 정보체계 및 형상표현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공간정보 분석을 위한 객체기반의 건축도시통합모델의 개발방향을 제시하고 BIM과 GIS 간의 기초 융합전략 및 활용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KCI우수등재

        간호사의 그릿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와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류정림,홍소형,양윤서 간호행정학회 2023 간호행정학회지 Vol.29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그릿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열의와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고, 대상자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142명이었다. 자료는 SPSS 24.0, Hayes의 SPSS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업무성과는 그릿, 직무열의 및 잡크래프팅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릿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잡크래프팅 증진에 초점을 맞춘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간호사의 그릿에 대한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잡크래프팅을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engagement and job craf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Grit on nursing performance.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rough online surveys from 142 clinical nurses in five hospital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Hayes’s SPSS Process Macro 4.0 version program. Results: Nursing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rit, work engagement and job craft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on the Grit on nursing performance was confirme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focuses on improving job crafting. Further, job crafting needs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nurses' Grit and improve nursing performance for nurses.

      • 개방형 BIM 기반 IFC 모델을 이용한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도구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류정림,문선기,추승연,Ryu, Jung Rim,Mun, Son Ki,Choo, Seung Yeo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5

        2013년 국토교통부는 부가가치와 활용도가 높은 실내공간정보를 국가 핵심 공간정보로 구축 관리하기 위하여 '기본공간정보'로 추가 지정하였으며, 이에 전국의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법률적 근거와 계기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측량/촬영 및 레이저스캐닝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할 경우 실내공간의 매핑으로 시각적 서비스차원의 활용은 유리하지만 시간적, 인적, 물적 자원의 소비가 크고 속성정보의 입력을 위해 추가적인 정보가공을 필요로 하는 등 유지관리 측면과 국내 AEC/FM 분야 정보의 활용이 제한적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BIM 기반의 IFC 모델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 시각화 기술과 연계하여 이해와 표현이 쉬운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실내공간정보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시각화 도구는 Autodesk사의 Revit 내부 프로그램인 IFC Exporter의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추출하였으며 실내공간정보의 시각화를 위해서는 Direct3D Library를 사용하였다. 생성된 실내공간정보 객체는 XML 포맷과 상호호환이 가능하며 시설물 유지관리 분야의 COBie 연계, 항공촬영 혹은 UAV를 활용한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대규모 군사작전 시뮬레이션, 재해/재난 발생 시 대규모 피난 시뮬레이션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방안은 국가의 공간정보정책방향에 부합하고 기존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생성함으로써 정보생산의 단계가 간편하다. 또한, IFC 기반의 실내공간정보 객체로써 상호운용성이 높고 정보의 편집이 용이하며 데이터의 경량성 측면에서 우수하다. MOLIT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uthorized Indoor Spatial Information as Basic spatial information in 2013. It became a legal evidence for constructing and manag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Although it has a little advantage to utilize as service level that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laser scan or measurement, it has a lot of problems such as consuming many resources, requiring additional progresses for inputting Object Information. In conclusion, it is inefficient to utilize for the maintenance and domestic AEC/FM field.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output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operating IFC model which based on open BIM and to improve availability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with data visualization. The open-sources of IFC Exporter, a inner program of Revit (Autodesk Inc), is used to output Indoor Spatial Information. Directs 3D Library is also operated to visualize Indoor Spati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nter-operate between XML format and the objects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It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 as well. For example COBie linkage in facility management, construction of geo-database using air-photogrammetry of UAV (Unmaned Areal Vehicle), the simulation of large-scale military operations and the simulation of large-scale evacuation. The method that is purposed in this study has outstanding advantages such as conformance with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licy, high level of interoperability as indoor spatial information objects based on IFC, convenience of editing information, light level of data and simplifying progress of producing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