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고등학교 기술 교사가 인식하는 교과교육 직무수행능력 분석

        류군,김태훈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s about the job performance of high school technology teacher and analyzed according to technology teachers’ main factors to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job performance between technology teachers. It can be contributed to the Chinese technology teachers’ educational activity of developing professionalism. The technology teachers’ ‘Gender’, ‘Age’, ‘Length of time’, ‘Employment type’ were chosen as the technology teachers’ main factors. Using systematic sampling technique, 100 Chinese high school technology teachers were sampled for this study. For the data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find out the general of the subjects using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 16.0. And t-test, one-way ANOVA were implemented to se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f the technology teachers on main factors. The analysis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First, Chinese high school technology teachers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process of scoring and result on the job performance assessment. Second, Chinese high school technology teachers perception to job performance shows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Length of teach time’ and most of the Chinese high school technology teachers on ‘professional competenc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Employment type’. 이 연구는 중국 고등학교 통용기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실태를 분석하여 주요 변인에 따라 직무수행능력의 차이를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고등학교 통용기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수준은 ‘교수·학습 설계 능력’, ‘교수·학습 평가’, ‘교수·학습 실행 능력’, ‘교육 시설 조직·운영 능력’, ‘전문성 개발’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 고등학교 통용기술 교사의 전체 직무수행능력 수준이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둘째, 주요 변인 중 ‘연령’과 ‘교수 경력’에 따라 통용기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이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중국 통용기술 교사 직무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이러한 변인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성별’, ‘임용 유형’ 변인에 따른 통용기술 교사의 ‘전문성 개발 능력’이 차이를 보였다. 전문성 개발 능력에 대해서 남자 교사는 여자 교사보다 기술교과 전문성 개발·탐색 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 통용기술 교사 직무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할 때, 통용기술 교사의 양성과 재교육에 ‘성별’, ‘임용 유형’ 등의 변인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통용기술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해서 중국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직무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실천할 필요가 있다.

      • 雙中央民族大學民族博物館館藏實物看中國少數民族的傳統酒具

        劉軍 韓國暻園大學校아시아文化硏究所 中國中央民族大學韓國文化硏究所 2003 亞細亞文化硏究 Vol.7 No.-

        Food and drinking in China has a long history and profound influence. Chinese pay attention not only to the nice food, nice taste and nice drinking, but also the beauty of implements, and stress the perfect and harmony of implements and food. Drinking implements ar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representatives. Like Han, ethnic minorities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 drinking implements. This article discussed over 200 pieces of traditional drinking implements from Mongolia, Oroqen, Tibet, Miao, Buyi, Naxi, Jingpo, etc. collected in the museum of the Central University of Nationalities, and summarized different types of traditional drinking implements from Chinese ethnic minorities combined with concerned documents. At the same time, this article analysed the different features of drinking implements. This article thought that drinking implements can not only be used in daily life, but also were one kind of cultural phenomena with profound contents.

      • KCI등재

        동북아(韓中日台) 중학교 기술교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국가수준의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류군,노태천 한국기술교육학회 201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0 No.2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Technology Education(TE) curriculums of Northeast Asian countries(Korea, China, Japan and Taiw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 curriculums in middle schools of Northeast Asian countries. In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s of TE curriculums have been analyzed among four countries comparativel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is study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 curriculums in four countries were focused on students' adaptation toward future society and were implemented in a mandatory curriculum as a fundamental course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Second, the most important aim of the TE is to promote problem solv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practical ability to adapt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Third, this study shows that four Northeast Asian countries were composed of consecutive academical structure based on the technologies of manufacturing, construction, communication, transportation and biotechnology. Fourth, four countries have the lecture style teaching method as a traditional teaching technique in TE classes. And CAI, field trip, problem solving method, project method, program teaching method, and modular teaching method are applied to the T. E.'s classes. Fifth, most countries like Korea, Japan, and Taiwan depend on the paper and practice test, and other evaluation methods such as actual training evaluation, observation, self-evaluation, colleague evaluation and report have been found. 이 연구는 근년에 동북아(韓中日台)의 중학교 기술교과 개정한 교육과정의 성격, 교육 목표와 내용, 교육 방법 및 평가 등을 비교 분석하여 차기 기술교과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과 구성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비교 연구를 통하여 동북아(韓中日台)의 중학교 기술교과 교육과정의 활용 가능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한다. 이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 방법과 비교 연구의 형식을 갖추었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기술교육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기초 기술 소양을 양성한 국민들의 필수교과로 이수과정을 실행해야 한다. 둘째, 중학교 기술교과 향후 발전의 목표는 사회의 변화에 대처하는 문제해결과 설계능력, 창조능력, 궁극적 태도를 기초 방향으로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중학교 기술교과의 내용은 교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생 활에서 대체로 제조, 건설, 통신, 수송, 생물 기술 등의 기술학에 근거하여 일관된 학문적 체계를 가지고하야 한다. 넷째, 중학교 기술교과의 교육방법은 전통적 강의법 등과 실습중심의 프로젝트법, 문제해결법등 교육방법을 결합하여 수용하야 한다. 다섯째, 중학교 기술교과의 평가 영역에서 지식의 이해, 기능, 응용, 태도 등의 측면을 평가하도록 평가 방법에도 다양성을 두어 수행 평가와 지필 평가를 병행하는 등 교육 현실과 평가 이론을 접목시키는 다양한 시도가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중국 고등학교 통용기술교사의 교수 능력 분석

        류군,노태천,이소이 한국기술교육학회 201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2 No.2

        이 연구는 중국 고등학교 통용기술교사의 교수 능력과 교수 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구명하여, 이를 기초로 중국 통용기술교사의 교수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질적 연구의 한 방법인 근거 이론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포화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3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반구조화 인터뷰와 조사 자료, 파워포인트, 수업지도안, 포트폴리오 자료 등 기타 자료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자료 수집과 분석이 동시에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은 자료의 범주화를 위해 개방코딩을 실시하였고, 패러다임 모형과 과정 분석을 통해 축코딩을 실시하였으며, 선택코딩을 통해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이론을 생성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는 중국 고등학교 통용기술교사 교수 능력과 관련된 33개의 개념, 7개의 범주를 명명하였다. 그리고 통용기술교사의 교수 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관련된 38개의 개념, 9개의 범주를 명명하였다. 그리고 자료 비교 과정에서 통용기술교사의 교수 능력을 제고하는 관련 요소와 방안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기초로 중국 통용기술교사의 교수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has three aspects: firstly, to discuss the teaching ability of general technology teachers of senior high school in China; secondly, to study on the elements that influence the teaching ability of general technology teachers; thirdly, to summarize the way of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bility of general technology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aper carried out deep interview to 34 general technology teachers and experts of China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of qualitative study as the study method, and it transcribed the contents of interview into writing data.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performed with open coding for the categorization of the data, and the axial coding was performed through paradigm, and through the selective coding, a theoretical framework of teaching abilities of general technology teachers of senior high school in China has been created with core category as the center, and finished the initial aim of this study. There are 33 concepts and 7 categories of teaching ability in the study results. And there' re also 38 concepts and 9 categories which influence the teaching ability of general technology teachers. Meanwhile, this paper summarized the four ways for the teaching ability development of general technology teachers in the discussion of study results.

      • KCI등재

        기술교과 설계 학습 활동에서 팀 기반 학습이 학업 성취도와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중국 고등학교 1학년 통용기술교과를 중심으로-

        류군,김태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Technological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specific interests in the subject of Technology.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study selected the subjects of 36 students for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out of 2 classes from the lst-grade students from H junior high School located in Liaoning province of China. For the statistical treatment of data, a Window SPSS 16.0 program was used. The statistical technique used for data analysis was t-test and significance level of .01 was established prior to data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ea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on students' Technological Academic Achievement (p<.01). Second, Tea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on students' Subject-specific interests (p<.01). Three Subordinate Fields of Subject-specific interests(The interests of curriculum, The interests of related technological Content Areas and Understanding of technological curriculum) also were effective according to Team-Based Learning. 이 연구의 목적은 팀 기반 학습이 기술교과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기술 설계 학습 활동의 학업 성취도와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 랴오닝성(辽宁省) 소재 H고등학교 1학년 2개 학급을 채택하여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6명씩 한 팀을 구성하였으며 10차시의 팀 기반 학습을 수행하였다.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설명식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팀 기반 학습 후 통제집단보다 학업 성취도 점수가 향상되었고(p<.01), 팀 기반 학습이 기술 설계 학습 활동에서 학업 성취도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팀 기반 학습은 학생들의 기술교과 설계 학습에 대한 흥미도 제고에 효과가 있었다(p<.01). 하위영역인 수업과정에 대한 흥미, 기술 내용에 대한 흥미,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留学生语伴互助对外语学习自我效能感的影响研究

        류군 ( Liu¸ Jun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1 중국언어연구 Vol.- No.96

        Based on the S-O-R theoretical model,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language partnership on self-efficacy by selecting international students’ subjec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descriptive statistics, relevant analyses,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and brokerage effect analysis of the research data: First, the cooperation in acquiring foreign language knowledge in the cooperation process of international students’ language partners has a great effect on helping them to increase their sense of learning effectiveness whe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Second, the cooperation of foreign language applications in the cooperation process of international language partners helps international students use the foreign language knowledge they have learned in real-life relationships, and greatly affects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foreign language learning. Third, foreign language emotional cooperation in the cooperation process of foreign language partners is relatively special, and research shows that it helps students learn foreign languages and experience emotions in studying abroad, and increases in their foreign language learning efficacy. Fourth, in the course of cooperation with foreign language partners, students learn foreign language easily through cooperation, and experience experience, language application practice, and emotion, and this synesthesia emotional experience affects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data show that the mutual assistance between the language partners of foreign students produces a sense of identification such as ease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practical foreign language application and emotional experience. The model constructed in the final research process is verified: the mutual assistance between foreign students’ foreign language partners Self-efficacy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 KCI등재후보

        한국과 대만의 중학교 1학년 기술 교과서 체제 비교 분석

        김태훈,류군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4

        이 연구는 개정된 한국과 대만의 중학교 1학년 기술 교과서 체제를 비교하여 양국의 기술교과 수업에 대한 이해와 향후 계속적인 기술 교과서 개발과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첫째, 대만 교과서는 1종 국정교과서로써 교육부가 출판사를 선정하여 발행하여 일선 학교에 무상으로 배부하고 있는데, 한 교과서는 교육부가 인정하는 검인정 교과서로써, 교육부에서 인정된 각 교과서를 각 출판사들이 자유발행하고, 각 급 학교에서 선정 활용하도록 되어 있다. 둘째, 한국 기술 교과서의 특징은 외적체제가 학습자의 사용 편의 면에 중점을 두어 있고 내적체제가 학습자간의 상호 의사소통이 지니고 있다. 셋째, 대한 기술 교과서의 특징은 학습자가 교과서에 실린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넷째, 한국과 대만의 개정된 중학교 1학년 기술 교과서 외적 체제는 판형, 글자, 색도, 여백, 지질 등에 있어서 유사하며, 한국의 기술 교과서가 내용 분량과 삽화에 있어서 대만보다 더 많은 양을 제공하고 있다. 다섯째, 내적 체제의 내용 조직은 한국 교과서가 교과서 조직 및 대단원 조직에서 대만의 교과서보다 여러 단계로 설계되어 있다. 여섯째, 내용 구성 요소에서는 한국과 대만이 학습목표를 제시하는 위치와 개수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며, 양국의 교육과정에 따라 내용 구성 영역에 차이가 있다. 실험·실습활동과 심화 및 정리 평가에서 한국이 대만보다 다양한 형태로 더 많은 활등을 제공하고 있다. 향후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으로는, 첫째, 교과서 개발시 체제내용은 국가 문화적 특성, 사회적 정책, 시대적 요구를 고려가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서 외적 체제를 선정하여 구성할 때 학생들의 흥미를 반영시키는 요인들을 먼저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교과서 내적 체제는 교육과정에 반영된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하여 계열성, 계통성, 계속성을 고려하여 전개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ly study the structure of Technology part in Technology Education & Home Economics textbook for the 7th grades of Korea and Taiwan, and provide the current issues for textbook development and improvement about the structure of Technology part in Technology textbook of the both nation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aiwan Ministry of Education only formulates one kind of Technology textbook and in Korea the textbook which is authentica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to be possible to publish freely. Second, regard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content, the textbooks of Korea and Taiwan were generally similar except the page number. Third, regard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tents, it was set more in large units of Taiwan than Korea. The content of the units was different between Korea and Taiwan, the number of experiments and evaluations of Korea more than Taiwan. Fourth,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①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organization of the Technology textbook with the considerations of national culture trait, social policies and needs. ②When select external structure of contents to compose the Technology textbook, the authors of the Technology textbooks must consider the interest of the students with a priority. ③To achieve educational goals reflected by curriculum,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extbook contents should decided by the context of sequence and consistency.

      • KCI등재

        中国大学生择偶取向对婚恋观的影响研究

        장효평,류군(刘君) 중국인문학회 2022 中國人文科學 Vol.- No.80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의 배우자 선택 취향이 연애와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 대학생 404명으로 비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何立国 (2012)의 대학생 연애 취향 구조표, 朱永涛 (2002)의 연애와 결혼관 척도를 기초로 대학생의 배우자 선택 취향은 소통 · 책임 · 외모 · 재능 · 경제 등 5가지를 분류하며 대학생들의 연애와 결혼관을 낭만형, 현실형, 전통형 등 3가지로 분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 · 책임 · 외모적인 배우자 선택 취향은 낭만형 연애와 결혼관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모 · 재능 · 경제적인 배우자 선택 취향은 현실형 연애와 결혼관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 · 외모적인 배우자 선택 취향은 전통형 연애와 결혼관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책임 있는 배우자 선택 취향은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