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기술분야 교육의 학습지도요령 개정 배경과 방향에 관한 고찰

        이소이 한국기술교육학회 200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8 No.2

        외국의 교육 현황에 관하여 인식하는 것은 자국의 교육에 관하여 재인식 할 수 있 는 기회와 학문적 시야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요구된다. 이 연구는 일본 기술분야 교육의 학습지도요령 개정 배경 및 방향에 관하여 고찰함으로써 그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일본의 학습지도요령과 학습지도요령의 개정에 관한 학회지, 출판물 등의 현지 자료를 중심으로 한 문헌 연구 방법으로 실시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일본에서는 국가관리와 시장논리를 적용한 신자유주의적 교육정책으로 교육개혁을 진행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기술분야의 교육 목표, 내용 체계 및 그 제시방법 등은 교육의 충실화 측면에서 개정 방향과 일치하여 긍정적으로 확인되었다. 셋째,학습지도요령의 개정 전체에 있어서 기술 과목이 중요시 다루어지지 못한 점과 그로 인하여 남겨진 과제들이 확인되었다. 넷째, 기술 교육과 관련된 행정적 입지가 축소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In order to expand the academical vision and to reassure one's country's present educational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an awareness on other country's present educational condi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the revised new course of study on technology education in japan, and to identify areas of implications for technology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with the japanese new course of study, journals and publication related to this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first, education reform i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logic of the market economy and the goverment-controlled in Japan. The second, educational objectives, structure of contents and way of presentation on technology education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course of study's revision in the view of educational substantiality. The third, technology education was not placed in high order of importance during the process of course of study's revision. The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administrational status of technology education is reducing within MEXT(Ministry of Education, Cur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of Japan.

      • KCI등재

        STEM 교육을 위한 기술 수업 설계 모형

        이소이,노태천 한국기술교육학회 201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of technology education that can foster STEM integrated approach in the aspect of instructional method, and therefore the model can help teachers to implement the integrated approach in the classroom. This study included the literature study, content analysis and survey to follow above process. First,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lements and procedures of traditional approach and integrated approach. In addition, literature study was used to frame the initial model an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STEM education. Seco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elements and procedures in STEM integrated approach. Two experts in technology education reviewed and validated the elements and procedure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ird, this study conducted the survey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 and the initial model of STEM integrated approach in technology education. Fifteen educational experts participated the survey.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STEM integrated approach includes learner-centered, collaborative, performance- centered. And it is the type of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It integrated the technological problem centered and the evaluation is executed in form of direct and indirect assessment. Second, the conceptual framework defined the domain knowledge of technology, mathematics, science, and engineering. Third, this study suggested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STEM integrated approach with ten sub-components: 1)conducting needs analysis and identifying learning objectives, 2)conducting content analysis of exiting learning materials, 3)selecting STEM lesson units, 4)analyzing learner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environments, 5)developing practical learning tasks based on the unit analysis and insight of STEM area, 6)identifying sequence of STEM lesson units, 7)stating learning and performance objectives of STEM lesson, 8)selecting and designing instructional strategies of STEM lesson, 9)developing instructional materials and 10)developing the assessment tool. 이 연구의 목적은 STEM 교육을 위한 기술 수업 설계 모형을 개발하여, 기술 교과 교육의 교육방법적 측면에서 통합 교육을 활성화하고, 수업을 설계·실행하고자 하는 교수자에게 실제적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이 연구는 문헌 연구, 내용 분석 연구, 조사 연구의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문헌 연구는 첫째, 일반적 수업 설계 모형의 절차적 요소와 통합적 수업 설계 모형의 절차적 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수업 설계 모형에 관한 문헌을 검토하였다. 둘째, 수업 설계 모형의 핵심 아이디어와 수업 설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STEM 교육에 관한 문헌을 검토하였다. 내용 분석 연구는 일반적 수업 설계 모형의 절차적 요소와 통합적 수업 설계 모형의 절차적 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조사 연구는 STEM 교육을 위한 기술 수업 설계의 이론적 모형과 개념적 모형,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M 교육을 위한 기술 수업 설계를 위한 이론적 모형으로서 STEM 통합 수업 이론은 학습자 중심, 협동 학습, 활동 중심에 기초하며, 간학문적 접근의 형태로, 기술적 문제를 중심으로 통합하며, 평가는 직접 평가와 간접 평가의 형태로 실시됨을 제시하였다. 둘째, STEM 교육을 위한 기술 수업 설계를 위한 개념적 모형으로서 기술, 수학, 과학, 공학의 개념을 정의하고, 각 영역의 방법적 지식과 내용적 지식을 제시하였다. 셋째, STEM 교육을 위한 기술 수업 설계 모형으로서 10가지의 논리적 절차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공과대학의 공학윤리 교육과정 운영 실태 조사

        이소이,김태훈,노태천,김춘길,Lee So-Yee,Kim Tae-Hoon,Rho Tae-Cheon,Kim Choon-Gil 한국공학교육학회 2005 공학교육연구 Vol.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4년제 공과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공학윤리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 분석, 설문조사 등의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설문 조사는 2004년 현재 공학교육 인증을 받았거나 신청한 14개의 대학에 개설된 공학 소양 과목 중에서, 강의의 전체 또는 일부로 공학윤리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강의 담당자 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공학윤리 교육은 EAC(Ethics Across the Curriculum)의 형태로 도입되고 있으며, 수강생의 수가 다소 많으며, 복수의 담당자가 지정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목표에 있어서는 윤리학적인 이론보다는 공학적 상황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교육 내용도 전반적으로 고르게 도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내용에 있어서 이론적인 면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방법에 있어서는 강의식 수업이 주로 사용되며, 평가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평가가 필기고사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업 및 토론 참여, 발표 등의 비율은 낮게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actual state of engineering ethics curriculum in engineering colleg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subjects for the survey were 31 lecturer from 14 colleges that accrediated by ABEEK and prepare accredia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EAC(Ethics Across the Curriclum) was introduced in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There were a lot of students in a lecture and the plural lecturers were not appoined. In objectives of education, it was surveyed that focused in engineering situation above all theory of ethics and theoritical contents are entering into large part of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The lecture method and paper-pencil assessment were used mainly in the lecture.

      • KCI등재

        STEM 교육을 위한 기술 수업 설계 모형의 현장 적용 사례 연구

        이소이 한국기술교육학회 201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and validate the newly develop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of technology education by considering the idea of convergence of STEM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adopting the new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ase study and survey research. In the case study, six participants who teach technology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were asked to use instructional desig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survey asked both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heir perception of experiencing the new course implemented by following the new model. The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six teachers responded that using new instructional design for STEM education was very effective and helpful. In particular, they agreed that the new model addressed effectiveness of the systemic approach, clarity of the technology education, importance and application of technology education, knowledge integration, increase of learners’ interest, usefulness in consulting students’ learning and career development. Second, the six teachers responded that the new instructional model was helpful mostly for developing operational problems, and understanding content, understanding learners, course development and management were presented in order of survey responses.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new instructional model, responded that the class was effective for understanding interrelation of different knowledge, learning activities, individual interest,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nd guidance and experience of engineering; however the degrees of survey responses for each given category were not significant. 이 연구의 목적은 이론적으로 개발된 STEM 교육을 위한 기술 수업 설계 모형을 현장에 적용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이에 따른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사례 연구, 조사 연구의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사례 연구의 일환으로서 기술 교사 6명이 STEM 교육을 위한 기술 수업 설계 모형에 따라 기술 수업을 설계한 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전사한 후, 각 질문에 대한 응답 내용을 분석의 단위와 수준으로 유도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각 질문에 대한 응답 내용을 분석하여 주제 또는 의미를 생성하는 자료의 유형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조사 연구의 일환으로서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설문은 교사를 대상으로 STEM 교육을 위한 기술 수업 설계 모형 타당도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고,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STEM 교육을 위한 기술 수업 설계 모형 적용 결과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M 교육을 위한 기술 수업 설계 모형의 현장 적용 결과, 교사들이 모형의 유용성과 타당성을 인식하고 있음이 각 단계별로 확인되었다. 특히 모형을 적용한 수업 설계 전반에 관하여 수업 설계의 체계화, 기술 영역의 명확화, 기술의 중요성과 연관성 부각, 지식의 통합적 활용 및 흥미 고려, 진로지도에 도움, 새로운 시도를 통한 배움 등의 측면에서 유용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STEM 교육을 위한 기술 수업 설계 모형의 현장 적용 결과, 교사들은 모형을 적용한 수업 설계가 문제 개발에 가장 큰 도움이 되며, 다음으로 교과 지식, 학습자 이해 및 수업 능력, 교육과정 개발․운영 측면의 순으로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지식의 상호 관련성, 학습자 활동, 개인적 흥미, 기술적 문제해결, 공학에의 안내 및 체험 측면의 순으로 그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그 정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다층 산화주석(SnO)의 합성 및 열처리를 통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음극 소재의 성능 향상

        이소이,명윤,규태,최재원 한국분말재료학회(구 한국분말야금학회) 2021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8 No.6

        In this study, multilayered SnO nanoparticles are prepared using oleylamine as a surfactant at 165oC.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multilayered SnO nanoparticles are determin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energy-dispersive spectroscopy (EDS), X-ray diffraction (XRD),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Interestingly, when the multilayered SnO nanoparticles are heated at 400oC under argon for 2 h, they become more efficient anode materials, maintaining their morphology. Heat treatment of the multilayered SnO nanoparticles results in enhanced discharge capacities of up to 584 mAh/g in 70 cycles and cycle stability. These materials exhibit better coulombic efficiencies.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heat treatment of multilayered SnO nanoparticles is a suitable approach to enable their application as an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 Poly(L-lactic acid)(PLLA)봉합사와 Polydioxanone(PDO)봉합사의 기계적 특성

        이소이(So-i Lee),박종순(Jong Soon Park),박민규(Min Kyu Park),구자경(Ja Gyeong K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

        본 연구는 고분자 재료 중 Poly(L-lactic acid)(PLLA)봉합사와 Polydioxanone(PDO)봉합사에 대한 기계적 특성을 in vitro시험에서 비교하였다. 기계적 특성을 비교하기위해 인장강도와 연신율 및 질량감소와 pH를 비교하였다. Poly(L-lactic acid)(PLLA)봉합사는 Polydioxanone(PDO)봉합사에 비해서 분해가 느리게 일어나며 초기의 인장강도와 연신율은 낮게 나타났다. Poly(L-lactic acid)(PLLA)봉합사의 분해는 약 50주가 넘어서도 완전히 일어나지 않는 반면에 Polydioxanone(PDO)봉합사는 약 16주가되면 완전분해가 되었다.

      • KCI등재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을 위한 협업플랫폼 개발 연구

        이소이 ( Lee Solee ),돈일 ( Lee Donil ),은영 ( Lee Eun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상업공간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디자인적 요소가 요구되고 이와 관련된 전문 회사들의 협력을 토대로 디자인 프로젝트가진행된다. 그러나 공간디자인은 프로세스와 프레임 워크적인 연구는 부족하고 전문적인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는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을 위한 실행 차원에서의 디자인 개발 도구로 상업공간 디자인의 활성화를 위한 특성 요인 구축과 프로세스 활용으로 한정한다. 실무자들은 상업공간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와 상업공간 디자인 경영전략 구축에 통합적으로관리, 소통하며 공유할 수 있도록 활성화 되어 져야 한다. 연구의 목적은 시대적 요구를 받아들여 최근 상업적 공간들의대표적인 디자인경영 전략을 ‘협업 플랫폼’으로 새로운 활로를 모색한다. (연구방법) 상업공간 디자인의 전략적 목표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디자인 프로세스 과정의 개념은 가치 있는 수단이다.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과정으로 소비자와 기업, 디자이너 외 다양한 통합적 소통 프로세스 과정을 설정하고 상업공간의 디자인 전략 과정에 있어 개념, 요소, 절차가 무엇인지 명확한 요인을 도출하여 활용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분석의 틀을 개발하여 실행 체계 검증을 위해 분포도와 빈도를 분석한다.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 기준으로 분석하여 객관적인 가치를 도출하며, 상업공간 디자인이 진행될 때 사용될 수 있는 로드맵을 제시한다. (결과) 상업공간 디자인에서 협업플랫폼은 디자인 전략이 진행될 때 적절하고 합리적으로 진행이 이루어지게 되며 각 진행단계에 따라 공간디자인 세부요소의 우선순위와 중요도에 따라 상황, 시간, 장소에 맞게 플랫폼 세부요소를 선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해관계자 중심의 시각에서 프로세스진행 순서와 디자인 요소에 대해 파악하여 협업적 플랫폼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주체자 관계 간에 따라 마케팅 플랫폼 구성요소에서 어떤 것들을 강조하여 진행해야 하는 지, 혹은 중복되는 작업에 대한 기준 부재를 해결, 적합한 인력구성에 대해 역량을 파악 할 수 있다. (결론)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은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정립되지 못하였고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되며 학제적 접근이 요구되는 디자인 컨설팅 연구이다. 협업플랫폼 프레임 개발로 다양한 상업공간디자인 전략 구축에 일조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의 이론적 기초를 정립하고, 효과와 가치를 증명함으로 상업공간 디자인의 본질적 가치뿐만 아니라, 기업의 미래 사회에서 추구 될 새로운 공간디자인 가치를 구체화 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상업공간의 디자인 협업플랫폼 전략은 기업에게 새로운 시장 개척과 무형의 자산을 선도할 수 있도록 하고, 방법론을 구축하여 필수적 요소들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commercial space design (CSD) development process, it is difficult to find specific operational cases that can be managed by design, design, and marketing departments. Losses and conflicts occur frequently due to such work and work vacancy. In addition, process and framework research is insufficient, as is specialized research. This study is a design development tool at the execution level for a CSD strategy and is limited to the establishment of characteristics and process utilization for the activation of CSD. Practitioners can integrate, manage, communicate, and share the CSD development process and strategy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new way to pursue the needs of the times and of recent commercial spaces with a design management strategy as a “collaboration platform.” It was significant to create a space business model that fits the paradigm shift in the platform to establish a CSD strategy process, and derive the elements necessary for a simple CSD for a collaboration platform to present practical application guidelines. (Method) As a process to create new value, various integrated communication processes other than consumers, companies, and designers are set, and clear factors of concepts, elements, and procedures in the design strategy process of commercial spaces are deduced to study application plans. We develop an analysis framework and analyze the distribution and frequency to verify the execution system. We further analyze the CSD strategy standards to derive objective values and present a roadmap that can be used when CSD progresses. (Results) The study’s purpose is to create a spatial business model for the paradigm change through the platform to establish the CSD strategy process and derive the factors necessary for CSD through the collaboration platform. (Conclusions) The expected effects of the framework based on the collaboration platform for the CSD strategy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① Establishment process of detailed design elements through integrated thinking and communication among stakeholders. ② Shortening the time of overall design development and reducing costs by making decisions through decision-making. ③ Time sharing and communication through real-time feedback by sharing collaboration platform tools among stakeholders. ④ Establishment of a corporate identity and identity of space, progressive distribution, and selection of detailed elements of space design. ⑤ Improving the brand and company’s image according to the matching target images of actual spaces to be installed in the future as well as spaces to be designed as per consumer needs (in other words, detailed development of an open type collaboration platform that can support user participation).

      • KCI등재

        엔지니어의 가치관에 대한 실태 조사

        노태천,이소이 한국공학교육학회 2009 공학교육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on the engineer’s sense of value. For this, we analyzed the ethic code of the engineer relation groups and executed the survey of consulting committee.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six associations related to engineer, and analysis of the ethics was done on the basis of ‘four levels of engineer’s ethics or sense of value’. The subjects of survey were 57 professions.The ethic code shows the most important engineer’s sense of value is dignity maintenance, development of individual and social welfare as well as public service. The survey shows the most important sense of value when engineer make decisions at the present is practica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And it shows the most important sense of value when engineer make decisions in the future is practica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이 연구에서는 엔지니어의 가치관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엔지니어와 관련이 있는 총 6개 단체의 윤리강령을 대상으로 ‘엔지니어 윤리 또는 가치의 4가지 레벨’(札野 順, 2002)에 의거하여 윤리강령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엔지니어를 양성하고 있는 공과대학의 교수들과 엔지니어로서 활동하고 있는 현장 엔지니어 그리고 한국기술사회(韓國技術士會)의 회원 총 57명을 대상으로 엔지니어의 가치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윤리강령에서는 엔지니어 개인의 품위 유지 및 발전, 사회 복지 및 봉사를 가장 중요한 가치로 표명하고 있었으며, 두 번째로 직무의 성실·정직성, 세 번째로 협동·신의 및 상호존중, 기술의 개발과 축적, 네 번째로 전문직으로서의 사명, 법칙, 규칙 및 규정 준수, 인류번영 및 세계평화공헌, 마지막으로 기술 활용의 독립성으로 나타났다.자문위원의 설문조사 결과, 현재 엔지니어가 전문분야와 관련된 의사를 결정할 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는 1위가 실용성 및 경제성, 2위가 안전성 및 품질확보, 3위가 고객의 요구사항 만족, 4위가 인류․사회․대중의 이익, 5위가 경제적 대우(연봉)로 나타났다. 미래 엔지니어가 전문분야와 관련된 의사를 결정할 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는 1위가 실용성․경제성 및 합리성, 2위는 안정성 및 품질확보, 3위는 인류․사회․대중의 이익, 4위는 진실성 및 정직성, 5위는 객관성 및 공정성으로 나타났다. 자문위원의 직업에 따른 엔지니어 가치관으로는 대학에서 종사하는 자문위원의 경우 실용성․경제성 및 합리성을, 기업에서 종사하는 자문위원의 경우 안전성 및 품질확보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공학설계능력의 평가 요소 구명

        김태훈,이소이,노태천,Kim Tae-Hoon,Lee So-Yee,Rho Tae-Cheon 한국공학교육학회 2005 공학교육연구 Vol.8 No.3

        이 연구는 공학설계능력의 평가를 위한 공학설계능력의 평가 요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공학설계능력 평가 요소에 대한 타당도. $\cdot$ 사회적 능력 : 의사소통, 팀웍 $\cdot$ 절차적 능력 : 문제확인 및 정의 검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차적으로 문헌분석과 연구진 자체 검토를 통하여 공학설계능력의 평가 요소를 추출하고 전문가 집단을 통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로 제시된 평가 영역과 평가 요소는 다음과 같다하기, 계획 및 관리하기, 정보 수집하기, 아이디어 도출하기, 아이디어 평가하기 $\cdot$ 경험 : 공학적 경험, 과학적 경험 $\cdot$ 지식 : 공학적 지식, 과학적 지식, 수학적 지식 $\cdot$ 시각화 능력 : 스케치, 제도 $\cdot$ 사고력 : 수렴적 사고, 귀납적 사고, 직관적 사고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elect assessment components for the engineering design ability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elected assessment component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cdot$ Social Ability : 'Communication' and 'Teamwork' $\cdot$ Procedure Ability : 'Acknowledging and Defining Problems', 'Planning and Maintaining', 'Collecting Information', 'Deriving Ideas' and 'Evaluating Ideas' $\cdot$ Experience : 'Engineering Experience' and 'Science Experience' $\cdot$ Knowledge : 'Engineering Knowledge', 'Science Knowledge' and 'Mathematics Knowledge', 'Visualization Ability': 'Sketching' and 'Drawing' $\cdot$ Reasoning : 'Converging Reasoning' 'Inductive Reasoning' and 'Intuitive Reaso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