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상특수경비원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두현욱,안영중,조소현 해양환경안전학회 2018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4 No.2

        In West Africa and Southeast Asia including Somalia, piracy attacks still take place that threaten safety of ships and the lifes of seafarers. In order to protect Korean flag ships and the seafarers on board from piracy attacks,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established the Act to Prevent Piracy Attacks on International Ships on Dec. 27, 2016. This act legally provides for the establishment of Maritime Security Operatives (MSO) on board ships navigating high risk areas to ensure security. Furthermore, mandated training for MSOs is required to prepare them to carry out their duties effectively. In this paper, a new training course for MSOs according to domestic law is suggested through analysis of IMO documents and the MSO training provided by foreign nations. 소말리아를 포함하여 서아프리카 및 동남아시아지역에서는 여전히 선박의 안전과 선원의 생명을 위협하는 해적공격이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적선의 해적공격으로부터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할 목적으로 지난 2016년 12월 27일 국제항해선박 등에 대한 해적행위 피해예방에 관한 법률(이하 “해적피해예방법”이라 한다.)을 제정하였다. 동 법률은 위험해역을 항해하는 선박에 승선하여 선박의 안전운항 경비 업무를 수행하는 해상특수경비원의 승선을 법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또한 이들이 효과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을 이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해사기구의 문서 및 해상특수경비원의 제도를 도입한 외국의 교육제도 분석 등을 통해서 국내법으로 시행되는 해상특수경비원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해상특수경비원의 법적 지위에 관한 고찰과 개선 방안

        두현욱 한국해사법학회 2019 해사법연구 Vol.31 No.2

        Piracy against private ships is a threat to the safety of ships and seafarer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working to cooperate and provide various safety measures. Among them, Privately Contracted Armed Security Person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CASP") for the international maritime industry, who has been used in the land as a security guard, has been attracted as an effective countermeasure against piracy attacks and been spreaded rapidly around the world. Since December of 2017 domestically in Republic of Korea, Act on the Prevention of Damage to Ships on International Voyage against Piracy has taken effect, thereby improving national legal deficiencies related to PCASP.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f the legal status of PCASP who appeared suddenly in a short time in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there exists no international law as well. In this paper,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s Maritime Labor Convention, Seafarers' Act and Security Industry Act as domestic laws are reviewed if PCASP could have legal status as a seafarer and what legal restrictions might be placed on granting seafarer status. The Maritime Labor Convention explicitly does not recognize PCASP as seafarer, but there are no institutional limitations. However, under the domestic law, PCASP is distinguished from special guard under Security Industry Act and understood such as a similar concept. In addition, there are institutional limitations to be recognized such as seafarer, and there is no social consultation between social partner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proposed to treat them as the temporary boarding staff according to Ship Safety Act. 민간선박을 대상으로 한 해적행위는 선박과 선원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해요인으로서 국제사회는 공조를 통하여 다양한 안전조치들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중 국제해운업계의 대응책으로서 육상의 민간경비원과 같이 선박에 승선하여 경비업무를 실시하는 해상특수경비원은 해적공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조치로서 주목을 받으며 빠른 속도로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국내적으로도 지난 2017년 12월 국제항해선박 등에 대한 해적행위 피해예방에 관한 법률을 시행함으로써 그 동안 해상특수경비원과 관련된 국내법적 미비사항을 정비하였다. 그러나 국내외적으로 갑작스럽게 단기간에 등장한 해상특수경비원에 대한 법적 지위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국제법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ILO의 해사노동협약, 국내법으로서 선원법과 경비업법의 검토를 통해서 이들이 선원으로서의 법적 지위를 가질 수 있는지, 그리고 선원의 지위를 부여함에 있어서 어떠한 법적인 제한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MLC은 해상특수경비원을 명시적으로 선원의 지위를 인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제도적 제한은 없다. 그러나 국내법적으로 해상특수경비원은 경비업법상 특수경비원과는 구별되는 경비원으로서 매우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된다. 또한 선원법상의 선원의 지위로서 인정되기에는 제도적 제한이 있으며, 사회적인 협의가 이루어지지도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선박안전법상의 임시승선자 지위를 부여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선원근로감독관제도의 제문제 및 개선 방안 연구

        두현욱 한국해사법학회 2023 해사법연구 Vol.35 No.2

        Labour supervision in workplaces is one of the state's actions to achieve social safety by practically implementing the justice of relevant labour laws and protecting the working conditions and safety and health of workers. Substantial performance of these national tasks is carried out through labour inspector under the Labour Standards Act, and seafarer’ labour inspector exist for workplace and seafarer subject to the Seafarers’ Act. As such, although the purpose of labor inspectors and seafarer' labour inspectors are the identical, the labour laws that serve as the basis for their duties are different, therefore, each has developed independently. In this paper,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the labour inspectorate system and the seafarer’ labour inspectorate system, the legal tasks of the seafarer labour inspectorate system are derived and the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are suggested. First of all, the Seafarers’ Act has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times, but the safety and health field in labour supervision administration is insufficient. Even in the Seafarers’ Act,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authority for safety and health is not clearly stipulated. As a result, a vacuum in administrative supervision may occur and the safety of seafarers mighty be worsen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supervisory authority for seafarers’ safety and health through the revision of the Seafarers’ Act and to strengthen the government's safety and health enforcement. As one of the duties of the labour inspector, it is considered appropriate for the safety and health supervision of the workplace to be performed by the seafarer' labour inspector who has judicial police authority. However, in reality, current seafarer' labour inspectors lack expertise in the field of safety and health and they can not perform additional tasks due to excessive workload.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only when an appropriate number of the inspector and the experts are secured through the duty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of a training course to enhance professional knowledge. In addition, since the inspectors belonging to recognized organization of the maritime labour inspection under the Maritime Labour Convention perform the inspections on working conditions, living conditions, and safety and health at the site on behalf of Flag State, they must be given the same authority as seafarer' labour supervisors and the duty to keep work-related confidentiality. 사업장의 근로감독은 관련 노동법의 정의를 실질적으로 구현하고 노동자의 근로조건과 안전보건을 보호함으로써 사회적 안전을 달성하기 위한 국가 행위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국가 과제의 실질적인 수행은 근로기준법상의 근로감독관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선원법의 적용을 받는 선박(사업장)과 선원은 선원근로감독관이 시행하고 있다. 이처럼 근로감독관과 선원근로감독관의 직무상의 목적은 다르지 않으나 직무 수행의 근거가 되는 법령이 상이하다 보니 각각 독립적으로 발전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근로감독관과 선원근로감독관 제도의 검토를 통해서 선원근로감독관제도의 법적 과제를 도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선원법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 발전하여 왔지만 근로감독행정에 있어서 안전보건분야가 미흡하다. 선원법적으로도 안전보건에 대한 행정감독권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다 보니 행정감독의 공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선원의 안전이 위협받을 수 있다. 따라서 선원법 개정을 통해서 선내안전보건에 관한 감독권을 명확하게 하고 정부의 안전보건집행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사업장의 안전보건감독은 근로감독관 직무의 하나로서 사법경찰권을 가지고 있는 선원근로감독관이 수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선원근로감독관은 안전보건 분야의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고 과도한 업무량 등으로 인해서 추가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직무분석을 통해서 적정정원이 확보되어야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해사노동협약의 해사노동인증검사 대행기관 소속 검사원이 현장의 근로조건, 생활조건 및 안전보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고 있으므로 이들에게 선원근로감독관 같은 권한과 함께 업무와 관련된 비밀 유지의 의무를 부과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선박기인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도에 관한 연구 : EU의 배출권 거래제도를 중심으로

        두현욱 한국해사법학회 2011 해사법연구 Vol.23 No.3

        Historically, Arrihenius, Swedish chemist, issued the Green House Gas(GHG) effects which may be caused by CO2 emitted into the Atmosphere at first. the theory has been controversial issue by establishing of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in 1990.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UNFCCC) was adopted in 1992 as the base of scientific research with which was provided by IPCC. However, UNFCCC was a simply framework convention which didn't regulate the goal of GHG reduction and particular implementation mechanisms.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UNFCCC has been secured through the adoption of Protocol of UNFCCC(Kyoto Protocol). Kyoto Protocol provides the mechanisms, so called as Kyoto mechanisms, such as Joint Implementation(JI), Clean Development Mechanism(CDM) and Emission Trading(ET). Especially, ET has been recognized the economic measure in North America and European Union(EU). Furthermore, EU leaded in the front, on the other hand USA kept the passive position. Even though the ET regulation for International Shipping isn't adopted by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EU declared that the shipping will be included into EU Emission Allowance Trading Scheme regardless of domestic or International shipping visiting to EU por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legality with respect to the act of EU and suggest the way for the future development to diminish the GHG emissions from ships. Therefore, the theoretical differences between UNFCCC and IMO regulation regarding ET are analyzed. Furthermore, concerning with ET which will be applied to Foreign ship visiting to EU as well as EU member's ship, the enforcement of EU is considered whether violating the jurisdiction against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and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in order to suggest the rightful implementation. 1992년 채택된 유엔기후변화협약(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은 온실가스 규제의 기본원칙의 설립과 국제적인 합의를 이끌어 냈다. 또한 1997년 유엔기후변화협약에 관한 교토의정서(Protocol of UNFCCC)를 통하여 구체적인 감축목표량을 설정하였으며, 공동이행(JI), 청정개발체제(CDM) 및 배출권 거래제도(ET)와 같은 이행수단을 규정함으로써 법적 실효성도 확보되었다. 교토의정서는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선박을 통해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그 특성을 고려하여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이하 “IMO”라 한다)를 통해 규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수년간의 노력 끝에 2011년 7월 개최된 제62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에서는 그 동안 노력의 결실로서 선박설계 및 운항 조치에 관한 강제규정을 채택하였으며, 시장기반조치에 관해서도 논의 중에 있다. 그러나 EU는 IMO의 국제적 기준보다 앞서 EU항내에 입항하는 국내항해 선박뿐만 아니라 모든 국제항해선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배출권 거래제도에 포함하여 규제할 계획임을 공포하였다. 이러한 EU의 일방적인 이행은 EU항만 구역 및 영해 뿐 아니라, 공해상에서 배출된 온실가스에 관한 역외적용 관할권을 발생시킴으로써 국제적 분쟁을 야기 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EU의 배출권 거래제도의 입법동향과 관련하여 그들의 규제가 관련 국제법상 적법한 행위로 인정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와 함께 향후 EU의 배출권 거래제도의 입법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총톤수 5톤 미만 선박의 해기면허 제도 시행에 관한 연구

        두현욱,김기선,전영우 한국해사법학회 2021 해사법연구 Vol.33 No.1

        이 논문은 총톤수 5톤 미만 선박의 소형선박조종사 면허제도 도입과 관련하 여 선원의 해기능력을 확보하고 검증하기 위한 교육훈련에 관한 구체적 시행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방법론으로 총톤수 5톤 미만인 선박의 해양사고 발생률과 그 원인에 관한 통계분석, 소형선박에 승무 하는 선원과 선주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분석 그리고 대만, 일본 및 캐나 다의 사례조사와 문헌연구를 채택하였다. 총톤수 5톤 미만 선박의 소형선박조종사면허 제도 도입과 함께 시행되어야 할 선원교육 과정은 승무경력을 기준으로 유경험자와 신규유입자로 구분하여 시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신면허 제도의 정착을 위해서 신규유입자 를 대상으로 한 교육을 별도로 시행하되 해외사례를 참조하여 교육기간 중에 시험평가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실 선훈련과 시뮬레이터훈련 방안을 병행해서 고려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 연구의 구체적 실행을 위하여 법률개정과 사회적 합의 도출 등의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pose a detailed execution plan regarding education and training for ensuring and verifying seafarers’ competence in relation to the introduction of a new small vessel operator certification system for vessel of less than 5 Gross Tonnage(GT). The methods of this study adopted include analysis of statistics of marine accident occurrence rate and causes relating thereto involving vessels of less than 5 GT,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sis for seafarers on small vessels and their shipowners and case study of Taiwan, Japan and Canada and literature survey. Together with the introduction of certification system for small vessels of less than 5 GT the seafarers’ training courses need to be differentiated depending upon whether an applicant has seagoing experience or not. The examination for the certificate for small vessel of less than 5 GT need to be conducted concurrently during the period of training courses in order to ensure soft landing of this new certification system.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troducing actual ship training as well as training utilizing simulators. The follow-up action such as the revision of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obtaining social consensus, etc. needs to be undertaken in order to impl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 KCI등재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Rights and OSH of Seafarers and Tendency in 2022 Amendments of Maritime Labour

        두현욱 해양환경안전학회 202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8 No.7

        The COVID-19 pandemic can be deemed one of the greatest hardships faced by mankind in the 21st century. All industries have been severely affected and workers are still experiencing deep difficulties due to the changed working and living environment. Seafarers have been recogniz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key workers since the pandemic began. They are also working internationally to establish a Level Playing Field through the protection of their rights through the Seafarers’ Employment Agreement and the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labour standards. However, despite the obligations under international conventions to be implemented by State parties and the recommendations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rights of seafarers under the Maritime Labour Convention were violated were violated and thei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f seafarers were further threatened throughout the pandemic. This article analyzes the impact of the international shipping industry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Maritime Labour Convention based on each country's measur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urthermore, the amendments of the Maritime Labour Convention adopted through the fourth Special Tripartite Committee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nference documents and reports to comprehend the implied meaning. The adopted eight amendments to the Maritime Labour Convention are expected to positively affect the seafarers’ rights, safety and health in the future, but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efforts should continue because the issues of maximum working hours, maximum service period on board, and the repatriation of seafarers still remain unsettled.

      • KCI등재

        The Study on ensuring Effectiveness of IMO Instrument regarding GHG emission from Ships - focusing on MARPOL73/78 Annex Ⅵ

        두현욱,이윤철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7 No.5

        UNFCCC was adopted in 1992 in order to prevent global warming. However, as a lack of concrete reduction goal and implementation plan, UNFCCC could not have effectiveness. In 1997, Kyoto Protocol to UNFCCC was adopted and UNFCCC regime started practically binding on the parties. Global warming takes the leading role in changing marine environment such as the rising of water level and sea water temperature. Also, Ocean plays the vital role in storing carbon to prevent global warming. Meanwhile ships which get the propulsion generated by consuming the fossil fuel are identified as GHG source and the discussions regarding the control of GHG emitted from ships are still in progress in IMO. IMO instrument has some legal conflicts with UNFCCC in principle. Therefore, this paper reviews the present UNFCCC regime and UNCLOS. Also, it surveys activities of IMO and analyze the Amendment to MARPOL73/78 Annex Ⅵ which entered into force on January 1, 2013. Finally, conclusions suggest the improvements in order to ensure effectiveness the new Amendment to MARPOL73/78 practically.

      • KCI등재

        크루즈선기인 오염물질 규제에 관한 국제법 검토와 우리나라 법제 개선방안

        두현욱 한국해사법학회 2012 해사법연구 Vol.24 No.3

        크루즈 관광산업은 고부가 가치 창출산업으로서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관광산업이다. 세계관광기구(World Tourism Organization)도 항공과 크루즈 관광산업은 2020년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크루즈선 승객 1명당 발생하는 부가가치는 컨테이너 1개와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는 연구보고도 있다. 그 동안 북미 및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성황하던 크루즈 관광산업은 아시아지역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 입항하는 크루즈선은 꾸준하게 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경제적 이점과는 반대로 크루즈선의 대형화와 수적증가는 해양환경 측면에서 대량의 폐기물 및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새로운 오염원으로 부상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전 세계 상선선대의 1%를 차지하는 크루즈선이 상선대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25%를 차지할 만큼 엄청난 오염물질을 배출함을 지적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촉구하고 있다. 또한 크루즈선 오염문제를 뒷받침 하듯 크루즈선 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불법배출로 인해 연안국 및 공해의 해양환경이 위협받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아직까지 우리에게 생소한 크루즈 산업의 특징과 크루즈선기인 오염물질의 환경영향을 알아본다. 그리고 현재 발효된 선박기인 오염물질 규제 국제법 검토를 통해서 크루즈선기인 오염물질의 문제점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또한 크루즈 관광산업이 일찍이 발전한 미국의 관련 입법 분석을 통해 해양환경관리법상 크루즈선기인 오염물질 규제의 문제점을 도출해 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ruise tourism industry, a high value-added industy, is rapidly growing in the overall tourism industry. World Tourism Organization expected that the aviation and cruise industry would continually develop until 2020 year. According to the research, a passenger of the cruise creates the value corresponding to one container transport. Presently, Asia is a fast emerging market compared to North America and Europe region, the cruise tourism and the number of cruise ship visiting to the Republic of Korea also continue to increase. However, on the contrary to economic advantage, large cruise ships and a number of the ships are considered as the new marine pollutant source at the aspect of marine environment. Cruise ships occupy less than 1% of the global merchant fleet but they are responsible for 25% of all waste generated by merchant vessels. Furthermore, the pollution occurred by illegal discharge from cruise ships frequently takes place and also it threatens the marine environment of coast state and high s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cruise tourism and the effect of pollutants discharged from cruise ship. Also, it is to consider the problems of the control and regulations with respect to cruise ship pollution through the review of the international laws and United States laws. Consequently, it suggests the way forward to improve and supplement in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in order to control and regulate the pollutants in Korea jurisdictional sea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