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도수정(SooJung Do),송나리(Naree S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소통역량을 함양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각 요인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대학의 핵심역량 진단도구 중 소통역량 척도를 기준으로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소통역량 함양에 미치는 요인별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S대학에서 2022년 10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재학생 9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소통역량 변화를 문항별, 성별, 학년별, 단과대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별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IBM SPSS 21.0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 반복측정 분산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소통역량 변화는 문항별, 일반적 특성 중 성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학년과 단과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둘째,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 단과대)에 관계 없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소통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모든 학생에게 균일한 효과를 제공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대학 교육에서 학생들의 소통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및 비교과 프로그램의 중요성이 강조됨과 동시에, 프로그램의 장기적인 효과, 다양한 학습 스타일에 대한 적합성 그리고 다른 교육적 맥락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 of a writing extracurricular program on university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scale items and the program satisfaction items by background variables to utilize the findings as foundational data for program improvement. Methods Ninety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writing extracurricular program from October 2022 to December 2022 were targeted for analyzing changes i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e program satisfaction by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majors or genders was survey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BM SPSS 21.0, employing paired-sample t-tests, repeated meas-ures ANOVA, independent-sample t-tests, and one-way ANOVA. Results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changes by items and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y years and departments. Additionally, the program satisfac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genders, years, and departments. Conclusions The writing extracurricular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the university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provided uniform benefits to all students.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program development for enhancing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in university education. Further research on the long-term effects of the program, its suitability for various learning styles, and its applic-ability in different educational contexts is recommended.

      • KCI우수등재

        초고령화 사회의 고령자의 사회적 네트워크 활동과 고령자 빈곤 완화의 관계: 고령자의 주관적 웰빙과 경제 상황 인식, 노후 사회보장과 객관적 소득을 중심으로

        도수,박기묵 한국행정학회 2020 韓國行政學報 Vol.54 No.3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trend of senior poverty in a super-aged society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ssociational activities of the elderly and their poverty by focusing on subjective well-being and economic status, social security, and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elderly. This study constructs a measure of associational activities which incorporates indicators of passive and active membership activities of the elderly. Results from OLS regression an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which simultaneously control for factors that are theorized to affect subjective well-being and economic status, social security, and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elderly at the individual level indicate that a positiv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associational activities of the elderly and level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economic status, social security, and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a promotion program targeting elderly adults’ associational activities is a particularly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elderly poverty in a super-aged society. 이 연구에서는 초고령화 사회의 위험 불확실성 상황 속 고령자들의 빈곤 현황을 분석하고, 고령자의 사회적 네트워크 활동이 그들의 빈곤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주관적 웰빙과 경제 상황 인식 그리고 객관적 노후 사회보장과 소득 수준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고령자의 사회적 네트워크 활동 개념은 소극적 네트워크 활동과 적극적 네트워크 활동으로 구분하여 측정이 이루어졌다.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의 적극적인 사회 네트워크 활동은 고령자의 행복감, 삶에 대한 만족도, 본인이 하는 일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 본인의 현재 경제적 상황이 안정적이라고 생각하는 정도 등을 나타내는 주관적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령자의 소극적 네트워크 활동은 본인의 현재 경제적 상황이 안정적이라고 인식하는 정도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령자의 소극적 네트워크 활동과 적극적 네트워크 활동 모두 노후에 대한 경제적 준비 정도와 중병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경제력의 충분성 등과 같은 주관적 경제 상황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령자의 소극적, 적극적 사회 네트워크 활동 모두 노후 사회보장과 고령자의 월평균 개인소득과 월평균 가구소득과 같은 객관적 소득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분석 결과들이 의미하는 바는 초고령화 사회의 위험 불확실성 상황 속에서 고령자의 주관적 측면과 객관적 측면에서의 빈곤 문제 완화를 위한 정부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령자들에게 일회성의 저임금 일자리 제공이나 직접적인 소득 보전정책과 같이 일시적・단기적・직접적・정부 주도적인 정책뿐만 아니라 고령자 스스로 빈곤 문제 해결에 능동적・적극적・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령자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지원하는 장기적 정책을 추진하고 이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업의 ‘기술혁신성’과 기업 성과의 관계 분석 - 울산지역 DNA(Data, Network, AI) 산업 분야 핵심원천기술 보유 기업을 중심으로 -

        도수관 ( Doh Soogwan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4

        이 연구는 지역 기업의 기술혁신성과 기업 성과의 관계를 울산지역 DNA(Data, Network, AI) 산업 분야 핵심원천기술 보유 기업의 특성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성과를 기업의 매출액과 고용 창출로 구분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노비즈기업 여부로 측정된 기업의 기술혁신성은 기업의 매출액 제고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이 보유한 연구원수와 특허 등록건수도 기업의 매출액 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기술혁신성은 기업의 고용 창출 성과 제고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벤처기업일수록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기업의 고용 창출 성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분석결과들이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먼저, DNA 산업 분야에서는 미래 유망분야 핵심원천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중요하기 때문에 기업의 기술혁신성이 기업 성과를 제고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점이다. 따라서, 기업의 R&D 투자와 신기술 특허 등록을 장려하는 정책적 지원을 통해 기업이 기술혁신성을 보유할 수 있도록 장려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DNA 산업 분야에서는 기업이 미래 유망분야 핵심원천기술을 보유함으로써 기술혁신성을 지니고, 이를 통해 미래의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는 벤처기업일수록 더 많은 고용 창출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지방정부는 지역의 우수한 벤처기업들을 많이 발굴하여 육성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seek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and corporate performance by using data of local corporate with original/core technology in the DNA (Data, Network, AI) industry in Ulsan. In this study, corporate performance was divided into corporate sales and job creation, and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of a corporate, measured by whether it was an INNOBIZ company,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the corporate's sales. Second, the number of R&D researchers and patent registrations held by a corporate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rporate's sales growth. Third, it was found that the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of a corporate makes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increase in the employment of the corporate. Fourth, it was found that venture companies have a higher number of employees than those that do not. This study implies that corporate with original/core technology for a quite promising field of industry are very important economic actors in the DNA industry, therefore,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of the corporate is an extremely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corporate performance. Thus,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corporate to possess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through government support policy that encourages the corporate to invest in R&D and register new patents. In the DNA industry, it can be predicted that venture companies that are recognized for their growth potential in the future will be able to increase employment more because they possess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by possessing original/core technologies in a quite promising field of industry for the future. Therefore, local governments need to create an ecosystem that can discover and nurture many excellent local venture companies.

      •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의 관계 유형과 정부의 질

        도수관(Soo Gwan Doh) 한국정부학회 2015 한국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12

        본 연구는 OECD 및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아프리카 지역의 국가 등 다양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퍼지셋 (fuzzy set) 방법을 적용하여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의 관계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따라 개별 국가들의 정부의 질적 수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 그리고 정부의 질간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정부의 진 분석용 위한 연구모형을 개발한 다음 이를 본연구의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운영 방식의 측정변수로 활용한 정부지출 규모는 정부의 효과성, 법치주의 부패 통제 등으로 측정된 정부의 질적 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의 관계에 따라 사회자본이 정부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 셋째, 사회자본과정부지출 수준이 모두 높은 유형에 속하는 국가들은 정부의 효과성, 법치주의, 부패통제, 불편부당성, 행정의 전문성 등으로 측정된 정부의 질적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분석결과들이 의미하는 바는 사회자본과 정부의 질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의 관계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governmental quality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size of government in a cross-section of countries. It is shown that countries with high level of government expenditure exhibit higher quality of government as measured by government effectiveness. rule of law. and control of corruption. It is also shown that both high levels of social capital and government expenditure exhibit higher quality of government as measured by government effectiveness. rule of law. control of corruption. impartiality. and professionalism. These findings question the use of heterogeneous indicators for governmental quality and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quality of government depends on the size of government measured as the level of government expenditure. Thus. the importance of the size of government in explaining the variation in the quality of government sheds light on the social capital theories of governmental Qualities.

      • KCI등재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의 관계 유형과 정부의 질

        도수관(Doh Soo gwa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6 지방정부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OECD 및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아프리카 지역의 국가 등 다양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퍼지셋(fuzzy set) 방법을 적용하여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의 관계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따라 개별 국가들의 정부의 질적 수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 그리고 정부의 질 간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정부의 질 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을 개발한 다음 이를 본 연구의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운영 방식의 측정변수로 활용한 정부지출 규모는 정부의 효과성, 법치주의, 부패 통제 등으로 측정된 정부의 질적 수준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의 관계에 따라 사회자본이 정부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 셋째, 사회자본과 정부지출 수준이 모두 높은 유형에 속하는 국가들은 정부의 효과성, 법치주의, 부패통제, 불편부당성, 행정의 전문성 등으로 측정된 정부의 질적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분석결과들이 의미하는 바는 사회자본과 정부의 질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의 관계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governmental quality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size of government in a cross-section of countries. It is shown that countries with high level of government expenditure exhibit higher quality of government as measured by government effectiveness, rule of law, and control of corruption. It is also shown that both high levels of social capital and government expenditure exhibit higher quality of government as measured by government effectiveness, rule of law, control of corruption, impartiality, and professionalism. These findings question the use of heterogeneous indicators for governmental quality and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quality of government depends on the size of government measured as the level of government expenditure. Thus, the importance of the size of government in explaining the variation in the quality of government sheds light on the social capital theories of governmental qualiti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Impact of Human and Social Capital on Innova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도수 한국정부학회 2011 한국행정논집 Vol.23 No.1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and social capital and innova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at the country level. To measure the level of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of each country, the author uses the data from the World Development Report and the World Values Survey. Based on previous theoretical studies, this study produces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indicators. The human capital indicator consists of life expectancy, educational attainment, and standard of living. The social capital indicator consists of (generalized and institutional) trust, associational activities (passive and active membership), and norms of civic behavior. After testing several models with time lag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and social capital and innovation and between human and social capital and economic performance at the country level across 49 different countries. This implies that human and social capital would be drivers of innova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of each country. Thus,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good evidence of the positive contribution of human and social capital to innova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of each country. This is also in line with most previous studies that have examined the roles of human capital in innova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사회자본과 경제성장의 관계 : 국가 수준의 패널회귀분석을 중심으로

        도수관(Doh, Soo Gwan)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0 사회융합연구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수준에서 사회자본과 경제성장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이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Legatum Institute에서 제공하는 2009년~2019년 패널데이터를 활용한 패널회귀분석(고정효과모형과 임의효과모형)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자본은 1인당 GDP 성장률과 인플레이션비율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측정한 경제성장 수준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역동성, 투자 환경 요인, 노동 환경 요인, 안전과 보안 요인들도 국가의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효과성도 국가의 경제성장 수준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economic growth at the country level. Panel data for year 2009-2019 came from the Legatum Institute. By adopting panel regression analysis such as fixed-effect and random-effect models, the author of this paper tests hypothesis that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impact on economic growth at the country lev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result is that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impact on economic growth measured by two key elements of the economy such as the GDP per capita growth rate and the volatility of the inflation rate. Second, it is also shown that countries with high levels of economic dynamism, investment environment, labor force engagement, or safety and security exhibit higher economic growth. Finally, government effectiveness can be an important factor for economic growth at the country level.

      • KCI우수등재

        개인의 사회자본적 속성과 환경보호의지 간의 관계 분석

        도수 한국행정학회 2013 韓國行政學報 Vol.47 No.3

        본 연구에서는 지식정보사회에서 개인이 지니고 있는 사회자본적 속성과 환경보호의지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사회자본적 속성과 환경보호의지 간의 관계를 OECD 회원국 여부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할 경우에는 집단별로 큰 차이가 존재한다. 둘째, 개별 행위자가 다른 개별행위자나 제도 또는 기관들에 대해 지니고 있는 신뢰의 수준이 높을수록 환경보호 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네트워크의 경우에는 적극적인 사회네트워크 활동 수준이 높을수록 환경보호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OECD 비회원국에 속하는 집단의 구성원들의 시민의식(사회규범) 수준이 증가할수록 그들이 환경을 보호하려는 의지를 지닐 가능성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하위구성요소들을 포괄하는 하나의 지표인 사회자본지수가 높을수록 개인들의 환경보호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은 개인이 지니고 있는 사회자본적 속성이 환경보호와 같이 공익 또는 공동선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아울러 사회자본은 정치, 경제, 사회적 기반이 취약한 OECD 비회원국의 환경파괴 문제 완화와 환경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