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배제와 제품 유형의 상호작용이 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독특성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환호 ( Noh¸ Hwan-ho ),임혜빈 ( Rim¸ Hye Bin ),이병관 ( Lee¸ Byung-kwan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4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살아가지만, 삶의 여러 영역에서 사회적 관계의 단절인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다. 사회적 배제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선행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위협인 배제를 경험한 사람들은 자신의 가치를 드러내기 위해 독특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아진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소비자가 자신의 가치를 표현하기 위해 기계 생산 제품보다 독특성이 높은 수제품을 더 선호하는지 확인하고 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회적 배제와 제품 유형이 소비자의 독특성 추구와 수제품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온라인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제품 구매 상황에서 사회적 배제 조건이 사회적 수용 조건보다 독특성을 추구하려는 경향이 높았고 이는 수제품에 대한 선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한편, 이와 같은 효과는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제품(안경 테)에서 유의하였고, 그렇지 않은 제품(안경 렌즈)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Humans as social animal live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but experience social exclusion, a disconnection of social relationships in many areas of life. According to prior studies dealing with the impact of social exclusion on consumer behavior, people who have experienced exclusion tend to pursue uniqueness to reveal their valu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at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prefer hand-made products with higher uniqueness to machine-made products in order to express their social value. An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impact of social exclusion on consumers' pursuit of uniqueness and preference for hand-made products.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in the social exclusion condition tended to seek product uniqueness compared to those in the social inclusion condition, which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reference for handmade products. This effect was significant in purchasing a glass frame with which people can express themselves but not in purchasing a glass lens with which they cannot express themselves. Discussions were made 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 KCI등재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사회적 배제 경험이 이용 동기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기증진과 상호작용 동기를 중심으로

        노환호(Hwan-Ho Noh),임혜빈(Hye Bin Rim),이병관(Byung-Kwan Lee) 한국광고PR실학회 2021 광고PR실학연구 Vol.14 No.4

        사회적 배제란 사회적 관계의 단절로 인해 사람들이 겪는 위협을 의미한다. 사람들은 일상의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거절과 무시와 같은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다. 사회적 배제에 따른 사회적 욕구의 결핍은 많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한편,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사람들의 상호작용이 증가하면서 인스타그램이 상호작용과 자기표현에 적합한 플랫폼으로 높이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사람들이 인스타그램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어떤 동기가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의 두 가지 유형인 무시와 거절을 경험한 사람들의 인스타그램 이용 몰입에 미치는 자기증진과 상호작용 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배제 중 무시는 자기증진 동기를, 거절은 상호작용 동기를 유발하였으며, 해당 동기의 매개를 거쳐 인스타그램 이용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논하였다. Social exclusion refers to the threat that people face due to a break in social relationships. People experience social exclusion, such as ignorance and rejection, from various social interactions in their daily lives. The lack of social needs resulting from social exclusion has many negative consequences. Meanwhile, as people s interaction with social media increases, Instagram is recognized as a platform suitable for interaction and self-expres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what motivations affect people who have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in using Instagram. Specifically, this study sough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promotion and interaction motivation on Instagram use engagement of people who have experienced two types of social exclusion: ignorance and rejection. Results show that ignorance induced motivation for self-promotion whereas rejection induced motivation for interaction, and each of which significantly affected engagement into Instagram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motivation (self-promotion & interac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A #CarbonNeutrality TikTok Challenge on Perception of Environmental Issues : The Interaction Effect of Environmental Involvement and Trust in Government

        Taejun (David) Lee(이태준),Hwan-Ho Noh(노환호),Eun Hee Lee(이은희) 한국광고홍보학회 2024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6 No.2

        디지털 시대로 접어들면서 소셜 미디어는 기후 변화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제고하고자 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점점 더 중요한 플랫폼이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탄소 중립을 장려하는 틱톡 챌린지 참여가 젊은 층의 친환경 태도 채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 틱톡 챌린지에 참여하면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 신뢰수준이 틱톡 챌린지가 가져온 환경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틱톡 챌린지 참여 효과는 능동적으로 학습하려는 사람들의 의지와 정부신뢰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연구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소셜 미디어 참여의 한 형태가 지속 가능한 사회를 촉진하기 위한 새로운 개입으로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s we move further into the digital age, social media is becoming an increasingly valuable platform for a range of stakeholders who seek to enhance public awareness of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the impact of participating in a TikTok challenge promoting carbon neutrality on the adoption of pro-environmental attitudes among young individuals is investigated. The findings showed that participation in the TikTok challenge enhances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al issues. Moreover, the level of trust in the government acted as a crucial moderator in how environmental involvement impacted the change of environmental perception brought about by the TikTok challenge. The TikTok challenge effect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an active learning approach. The present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how a form of social media participation can serve as an emerging intervention for promoting sustainable society.

      • KCI등재

        공공 서비스 인식과 디자인 유형의 일치 여부가 소비자의 서비스 기대에 미치는 영향: 고정관념 내용 모형을 중심으로

        이병관(Byung-Kwan Lee),노환호(Hwan-Ho Noh),임혜빈(Hye Bin Rim) 한국OOH광고학회 2019 OOH광고학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공공 서비스 제공 장소의 디자인 유형이 소비자의 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Fiske, Cuddy, Glick 및 Xu(2002)의 고정관념 내용 모형을 중심으로 디자인의 유형에 따라 공공 서비스 제공 장소의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1은 기초적인 디자인 요소인 둥근 이미지와 각진 이미지를 기반으로 연구를 설계하여 진행하였으며, 모형에 따른 차이 확인 결과 둥근 이미지가 온정과 더 관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1). 또한 기관의 서비스에 대해 더 온정적으로 기대할수록 두 가지 디자인 중 둥근 디자인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가설 2). 이어서 두 가지 디자인 유형에 따른 서비스기대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디자인에 따른 서비스 기대가 온정에 대한 기대 수준에 의해 완전 매개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어서 연구의 결과와 함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sumer expectation of service by public institution and public design on perceived service quality. Based on Fiske et al’s stereotype contents model (2002), it was hypothesized that when consumers are exposed to a specific design element, a stereotype associated with the design element is activated to prime them to expect service quality corresponding to the design image. In Study 1, it was found that circular image is more related to warmth than rectangular image in public design (H1). Also it was found that when the more participants expected warmth from public institution, the more they chose circular design than rectangular design (H2). In Study 2, the effect of public design on public service was fully mediated by consumer perception (stereotype) that public service is more related to warmth than competenc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on public service and public design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공공 서비스 제공 장소의 디자인 유형이 소비자의 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Fiske, Cuddy, Glick 및 Xu(2002)의 고정관념 내용 모형을 중심으로 디자인의 유형에 따라 공공 서비스 제공 장소의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1은 기초적인 디자인 요소인 둥근 이미지와 각진 이미지를 기반으로 연구를 설계하여 진행하였으며, 모형에 따른 차이 확인 결과 둥근 이미지가 온정과 더 관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1). 또한 기관의 서비스에 대해 더 온정적으로 기대할수록 두 가지 디자인 중 둥근 디자인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가설 2). 이어서 두 가지 디자인 유형에 따른 서비스기대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디자인에 따른 서비스 기대가 온정에 대한 기대 수준에 의해 완전 매개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어서 연구의 결과와 함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sumer expectation of service by public institution and public design on perceived service quality. Based on Fiske et al’s stereotype contents model (2002), it was hypothesized that when consumers are exposed to a specific design element, a stereotype associated with the design element is activated to prime them to expect service quality corresponding to the design image. In Study 1, it was found that circular image is more related to warmth than rectangular image in public design (H1). Also it was found that when the more participants expected warmth from public institution, the more they chose circular design than rectangular design (H2). In Study 2, the effect of public design on public service was fully mediated by consumer perception (stereotype) that public service is more related to warmth than competenc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on public service and public design are discussed.

      • KCI등재

        생성형 AI 긍정 태도는 어떻게 형성될 수 있을까? 소비자 경험과 디지털 리터러시가 디지털 자아효능감을 통해 생성형 AI 긍정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민진 ( Kim Minjin ),김미예 ( Kim Miyea ),노환호 ( Noh Hwan-ho ),김범수 ( Kim Beomsoo ) 한국소비자학회 2024 소비자학연구 Vol.35 No.2

        ChatGPT의 등장 이후 생성형 AI 사용 범위가 빠른 속도로 확대되면서 생성형 AI 활용에 있어 개인, 기업, 국가 간 격차가 예상된다. AI 활용의 확대는 추후 디지털 격차와 같이 AI로 인한 격차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성형 AI 활용 증진을 위한 소비자 중심의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소비자들은 컴퓨터, 인터넷, 전자 상거래, 스마트폰 앱, AR/VR과 같은 기술의 발전을 늘 경험하며 이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술에 적응해 나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형 AI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에 있어 선행요인으로 소비자 경험과 디지털 리터러시를 제시하고, 이 둘의 관계에서 디지털 자아효능감의 역할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한다. 연구 결과, 소비자 경험의 하위 분류인 컴퓨터 경험과 모바일 경험은 모두 디지털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디지털 자아효능감은 생성형 AI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생성형 AI에 있어서 자아효능감이 긍정 태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모바일 리터러시의 경우 디지털 자아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디지털 자아효능감을 통해서도 생성형 AI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러한 차이는 생성형 AI가 가진 복잡성과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한 개발의 특성 때문으로 보이며, 컴퓨터 리터러시가 모바일 리터러시보다 생성형 AI 사용에 요구되는 능력을 보다 명확하게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AI 수용태도에 더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속에서 기기 사용의 중요한 결정요인 중 하나로 설명되고 있는 자아효능감이 생성형 AI 태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실증 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생성형 AI 인터페이스 운영과 AI 관련 소비자 교육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advent of ChatGPT, the use of generative AI has seen rapid proliferation, concomitantly deepening disparities among consumers, businesses, and nations based on their adoption rates. The impact of generative AI on the digital divide highlights the need for research into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intentions and attitudes toward its use.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empirical and analytical research on the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s generative AI.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consumer experiences with digital technologies and digital literacy to identify how such factors affect AI acceptance and how digital self-efficacy can act as a mediator between consumer experience, digital literacy, and AI attitude. With the rise of ChatGPT, the use of generative AI has quickly grown. At the same time, the differences between consumers, companies, and countries in how they use generative AI have grown. This situation has highlighted the need for research into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intentions and attitudes towards using generative AI.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empirical and analytical research on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s the acceptance of generative AI.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existing consumer experiences and digital literacy affect the attitude towards AI acceptance and how digital self-efficacy acts as a mediator between consumer experience, digital literacy, and AI acceptance attitude. The study found that consumers with high digital self-efficacy are more likely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generative AI. This aligns with existing research that confidence in digital technology positively impacts the acceptance of new digital technologies. Moreover, consumer experiences, including computer and mobile experiences, were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digital self-efficacy. Computer literac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digital self-efficacy, but mobile literacy did not. This difference is likely due to the complexity of generative AI and the nature of its computer-based development. This result proposes that this makes computer literacy more important to AI acceptance, as it more clearly reflects the skills required to use generative AI than mobile literacy, despite the widespread use of mobile devices.

      • KCI등재

        자기가치확인 점화가 담뱃갑광고의 경고그림에 대한 흡연자의 반응에 미치는 효과 연구: 흡연자의 흡연량과 담뱃갑광고 소구 유형에 따른 차이 검증

        오성수 ( Sung-su Oh ),나운봉 ( Woon-bong Na ),이병관 ( Byung-kwan Lee ),노환호 ( Hwan-ho Noh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지역과 세계 Vol.42 No.2

        본 연구는 자기가치확인 점화가 담뱃갑광고의 경고그림에 대한 흡연자의 메시지 수용도 (흡연에 대한 평가)와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흡연자의 흡연량과 담뱃갑광고 소구 유형에 따라 자기가치 점화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삼원 상호작용 검증을 실시하였다. 흡연량에 따라 고흡연자와 저흡연자로 나뉜 참가자들은 자기가치확인 점화 조건 (점화 대 통제)과 담뱃갑광고 소구 유형 조건 (신체위협 대 관계위협)에 무선 할당되었다. 참가자들은 담뱃갑광고 노출 후 메시지 수용도와 금연의도를 묻는 설문에 답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가치 점화, 참가자의 흡연량, 담뱃갑광고 소구 유형의 삼원 상호작용 효과가 한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구체적으로, 신체위협 광고의 경우 고흡연자가 통제 조건보다 자기가치 점화 조건에서 메시지를 더 높게 수용하는 자기가치 점화 효과가 확인되었다. 반면에, 관계위협 광고의 경우는 저흡연자에게서 자기가치 점화의 효과가 발견되었다. 한편, 참가자의 흡연량과 담뱃갑광고 소구 유형에 따른 자기가치의 점화가 금연의도에 미치는 효과가 메시지 수용도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개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피험자를 대상으로 자기가치 확인이 메시지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을 뿐 아니라, 흡연자의 유형과 경고그림의 유형에 따른 차이를 확인한데 의의가 있다. 이어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후속연구에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riming effect of self-affirmation on smoker’s acceptance of message from a warning graphic in cigarette packs. For this purpose, three way interaction of smoking amount, appeal type of warning graphic in cigarette packs, and priming effect of self-affirmation was evaluated. Participants who are heavy or light smok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self-affirmation priming condition (priming vs. control) and appeal type condition (threat to body vs. threat to relationship). After exposed to a warning graphic in cigarette packs, participants answered questionnaires on message acceptance (evaluation on smoking)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Results show that three way interaction of smoking amount, appeal type of warning graphic in cigarette packs, and priming effect of self-affirmation was margin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for the warning graphic with threat to body appeal, priming effect of self-affirmation was found in such a way heavy smokers showed higher message acceptance in priming condition than control condition. On the other hand, for the warning graphic with threat to relationship appeal, priming effect of self-affirmation was found with light smokers. Meanwhile, the three way interaction effect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was moderated by message acceptanc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confirm that self-affirmation affects message acceptance by Korean smokers with different smoking amounts and in different appeal typ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메타버스 이용자의 심리 특성 탐색 연구

        김현정 ( Hyeonjeong Kim ),김현중 ( Hyunjung Kim ),김범수 ( Beomsoo Kim ),노환호 ( Hwan-ho Noh ) 한국지식경영학회 2023 지식경영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를 거치며 증가한 메타버스 공간에 관한 관심을 바탕으로 주된 이용층을 확인하고 이를 예측하는 변인을 탐색하고자 했다. 온라인 활동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이용자 이용 목적과 동기 및 관련된 인구통계적 요인을 확인해야 하므로 이를 예측 변인으로 모형 분석을 진행했다. 2022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메타버스 이용자를 예측하는 Heckman 2단계 표본선택모형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1단계 선택모형에서 메타버스 이용을 결정하는 주된 요인으로는 오프라인 활동, 개방성, OTT 이용 여부, 그리고 유료 콘텐츠 구입 여부가 확인되었다. 또한 2단계 결과모형에서는 개방성, 성별, 유료 콘텐츠 구입 여부가 메타버스 이용 시간을 높이는 주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코로나-19 시대 온라인 활동 증가와 함께 메타버스 서비스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메타버스 이용자를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메타버스 플랫폼 관련 기업과 개발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imary user group in the growing metaverse space based on the increased interest during the COVID-19 era. It also aims to explore the predictive factors for metaverse adoption. To predict online activities, the study examined user purposes, motivations, and relevant demographic factors as predictive variables through model analysis. The data from the Korean Media Panel Survey were used, and a two-stage analysis with the Heckman two-stage sample selection model was conducted to predict metaverse user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key factors influencing metaverse adoption were offline activities, openness, OTT usage, and purchasing of paid content. Moreover, in the second stage model, openness, gender, and paid content purchase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for increasing metaverse usage tim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understanding metaverse users is essential in the context of the rising interest in online activities during the COVID-19 era and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metaverse platform-related companies and developers.

      • KCI등재

        인스타그램 이용 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인스타그램 이용동기와 성격 5요인(Big 5)의 구조적 관계를 중심으로

        이병관(Byung-Kwan Lee),문영숙(YoungSook Moon),윤태웅(TaiWoong Yun),이진균(Jin Kyun Lee),정지나(Ji Na Jeong),노환호(Hwan-Ho Noh),임혜빈(Hye Bin Rim)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5 No.3

        인스타그램 이용자 수의 급격한 증가와 마케팅 영역에서의 높은 활용도로 인해 광고, 홍보, 소비자 연구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인스타그램에 대한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성격 유형과 행동 간 관계성의 탐색에 국한되어 있으며 이용자들의 능동적인 이용 행동과 이를 예측하는 심리적 변인을 통한 심리적 기제 탐색의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의 기본적인 인스타그램 이용 행동과 더불어 인스타그램을 사용하는 개인의 이용 동기와 BIG 5 성격 유형이 인스타그램 이용 행동을 예측하는 심리적 기제 모형을 검증하고 심리적 변인 간 관계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의 주요 이용 행동의 영향 요인 중 이용 동기는 자기 증진과 사회적 상호작용 및 주위 환기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이용 동기는 BIG 5 성격 요인 중 개방성과 친화성 및 신경증에 의하여 예측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본 연구 결과의 의의와 실무적 활용방안을 함께 논의하였다.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Instagram users and high utilization in the marketing domain, need for research on Instagram is on the increase in various areas such as advertising, public relations, and consumer research. However, research on SNS users such as Instagram is limited to the search for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behaviors,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users’ active use behavior and psychological variables that predict it.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verifying the psychological mechanism model of predicting Instagram usage behavior and the BIG 5 personality type as well as the basic Instagram usage behavior of Instagram users. Studies have shown that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Instagram users’ major usage behaviors, the motivation for use was self-promotion, social interaction, and diversion, and that such motivation could be predicted by openness, aggreableness, and neuroticism among BIG 5 personality factors. Implications of the study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