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행 만족감이 주관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분석: 긍정적 심리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은희(Noh, Eunhee),김태민(Kim, Teamin)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개인이 인식하는 보행 만족감이 강화될수록 신체 전반에 대한 주관적 건강인식 수준이 증가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 심리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매개변수를 추가로 설정하여 구조적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두었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상황의 확산세를 감안하여 온라인 설문조사(online survey)를 실시하였으며, 성별, 연령, 학력, 기저 질환 유무, 직업, 결혼 유무, 경제력, 1일 보행 거리, 1주간 운동 횟수, 거주지역 등의 인구통계학적 일반 특성을 파악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무응답, 불성실한 자료 57부를 제외하고 943부의 표본을 최종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으며, SPSS 24.0, Amos 23.0 통계패키지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행 만족감은 주관적 건강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행 만족감이 긍정적 심리자본과 사회적 자본을 통해 주관적 건강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걷기 운동으로 대표되는 ‘보행’이 신체 밸런스와 기본대사활동을 증진시키고, 동시에 도시의 친환경 이동 수단으로 활용되어 건강한 주거와 여가 생활을 강화시켜 주는 대안이 될 수 있으며, 보행 활성화의 중요성을 널리 홍보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또한 호모에렉투스에서 진화한 인간의 직립보행 능력과 만족감이 호모사피엔스 단계에서 건강한 삶의 주체로 생활할 수 있는 심리적, 육체적, 사회적 동기 요인을 발견하고, 보행활동에 제한이 되는 환경을 예측하여 자신이 건강의 주체로 참여하는 계기를 제공한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tructural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both of which are affected by an increase in subjective health awareness due to an increase in walking satisfac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000 people above the age of 20 living in the country. Taking into account the spread of Covid-19, gener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underlying, health conditions, occupation, marital status, economic power, daily walking distance, frequency of exercising per week, and residential area, were identified. A total of 943 samples (excluding 57 corrupted samples) were taken as the final valid samples and analyzed with the SPSS 24.0 and Amos 23.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alking satisfac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health awareness. Second, walking satisfaction also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This study aims to prove that walking is a viable alternative to other physical forms of exercise, as well as an eco-friendly means of transportation within the city; it also aims to promote the importance of walking regularly. In addit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our evolution from Homo Erectus, along with our newfound ability to walk upright, is an opportunity to discover and predict psych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that can motivate us to live as healthy members of the Homo Sapiens.

      • KCI등재

        초·중등 교육과정 온라인지원시스템의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및 검증

        차현진,황윤자,노은희,Cha, Hyunjin,Hwang, Yunja,Noh, eunhee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교육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온라인시스템을 대상으로 사용자 친화적인 경험과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해외 교육과정 온라인지원시스템에 대한 우수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NCIC와 고교학점제 사이트를 중심으로 74명의 모니터단 설문 조사를 통해 UX/UI 사용성 문제와 요구를 도출하였다. 해외사례 분석과 모니터단 설문 결과를 바탕을 도출된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초안을 바탕으로 전문가 델파이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에 관련된 과업을 수행하는 온라인지원시스템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함으로써,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시스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개발될 시스템의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sign guideline to provide user-friendly experience and convenience for the online support system for the curriculum at primary/secondary schools. To achieve the objective, best practices of overseas on the online support system for curriculum as well as prior research were analyzed. In addition, UX/UI usability problems and needs were derived through a survey of 74 professionals and teachers who are monitoring NCIC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sites. Based on the analysis of best practices of overseas and survey results, the draft of the design guideline was derived, and Delphi method was conducted by experts to re- vise the design guidelines and evaluate their valid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system currently being serviced and the direction of the design of the system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by providing design guidelines that can be generally applied to online support systems that perform tasks related to the curriculum.

      • KCI등재

        국내외 학업성취도 평가의 서답형 문항 특성과 채점 체제 고찰

        심재호(Sim, Jaeho),노은희(Noh, Eunhee),김명화(Kim, Myoughwa)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국내외 학업성취도 평가의 서답형 문항 출제 실태와 채점 양상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서답형 문항 출제와 채점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인 PISA와 TIMSS,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인 미국의 NAEP, 영국의 NCA, 호주의 NAPLAN, 우리나라 NAEA의 서답형 문항 출제 실태와 문항 유형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학교 현장에서의 서답형 출제 실태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외국의 대규모 학업성취도 평가는 우리나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보다 서답형의 출제 비율이 거의 2배 정도 높았다. 또한 서답형 문항 중에서도 개방형 문항의 출제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또한 PISA와 TIMSS의 경우 학생들이 작성한 정답과 오답 유형을 코드화함으로써 이를 교육 개선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반면 우리나라 서답형 출제 비율이 낮은 주된 이유로 현장 교사들은 채점의 신뢰도 문제와 채점에 소요되는 시간이라고 하였다. 채점 체제의 개선과 교육 환경 개선을 바탕으로 개방형 문항 출제 확대와 채점 결과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하여 서답형 문항 출제의 본래 의도를 살릴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upply-type items among domestic, foreign, and international tests and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and lessons about item development and scoring of achievement test. To attain the purpose we analyzed proportions, features of supply-type items in PISA, TIMSS, NAEP, NCA, NAPLAN, NAEA. Also we conducted interview research to examine in depth current states of development and scoring of supply-type items in the domestic schools. The results show that proportions of supply-type item in foreign and international tests are much higher than domestic tests, and foreign and international tests used much more free response item types than domestic tests to measure students thinking skills, problem-solving abilities. PISA and TIMSS used scoring code suited to right answer and wrong answer to provide effective feedback. Although there are some scoring difficulties, achievement tests nee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supply-type items to measure students abilities more accurately and to make full use of test results.

      • KCI등재

        고교학점제 교과 이수 기준에 관한 국외 사례 고찰

        김영은 ( Youngeun Kim ),노은희 ( Eunhee Noh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3

        교육부는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따른 맞춤형 교육과정 실행을 위하여 2022학년부터 고교학점제 도입과 이와 관련한 교육과정 개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고교학점제는 초반에 학생의 선택권 확대 및 다양한 과목 개설을 중심으로 논의되다가 점차 학점 취득 및 교과 이수 기준의 설정, 졸업 제도 관련 논의로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고교학점제는 교육과정 선택, 이수 및 평가 기준 설정, 졸업 제도 마련을 주요 실행 요건으로 삼고있다. 이 가운데 해당 과목에서 어느 정도 또는 어느 수준의 학습 성취를 보였을 때 그 과목을 이수한 결과로 학생에게 학점을 부여할 것인지에 대한 교과 이수 조건 설정은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선결 조건에 해당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의 고교학점제 시행에 앞서 오랜 기간 고등학교에서 학점제를 운영해 오고 있는 국외 사례를 살펴 교과 이수 기준 설정과 구체적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국, 캐나다, 호주 3개 국가를 대상으로 문헌을 조사하고 주 교육부나 학교 방문을 통해 실제적인 운영 사례를 탐색하였다. 3개 국가를 중심으로 국가 차원, 주 차원, 학교 차원 등 다양한 수준에서의 교과 이수 기준 관련 제도와 운영사례를 분석한 결과, 첫째, 학업 성취 백분율 등 절대평가를 위한 기준 제시 및 국가 수준에서의 교과 이수기준 제시, 둘째, 미이수 예방 방안 및 학생의 최소 성취 보장 방안 마련, 셋째, 학업 성취도뿐만 아니라 출석을 고려한 이수 기준 설정, 넷째, 미이수에 따른 다양한 학점 재취득 기회 보장 방안 마련 등이 우리나라 고교 학점제 실행에 시사하는 바가 큼을 확인하였다.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e adop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HSCS) from the 2022 school year for the purpose of student course choice and the customized curriculum, and accordingly launched the revision of the related curriculum. The initial discussions about the HSCS primarily focused on the supply of many courses and are being gradually expanded to credit acquisition, course completion criteria, and graduation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HSCS definition, it is most important to set the course completion criteria for how credits are awarded to students who have shown how much and what level of achievement as a result of completing the subject. Therefore, to prepare the course completion criteria and determine implications prior to the HSCS implementation, this paper examines countries like the U.S., Canada, and Australia, where the author visited the state ministry of education or high schools.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HSCS course completion criteria and the current course completion and evaluation system, involved with establishing the course completion criteria were identified, and the related systems of these countries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standards for course completion at various levels, such as the national, state, regional, and school levels, the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the HSCS in Korea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o present the standards for the 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using the percentag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o present the standards for course completion at the national level; second, to prevent non-completion and to ensure the minimum achievement of students; third, to set the completion standards considering not only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attendance; fourth, to prepare a plan to guarantee various opportunities for recovering credits due to non-comple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