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디자인계에 나타난 ‘신 민예운동’ - 무인양품(MUJI)과 디앤디파트먼트를 중심으로 -

        노유니아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2 일본학 Vol.56 No.-

        무인양품(無印良品/MUJI)과 디앤디파트먼트 프로젝트(D&DEPARTMENT PROJECT)는 20년 넘게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관련된 사회적 실천을 유지, 확산 하고 그것을 회사의 이윤 창출로까지 연결하고 있는 일본의 대표적인 디자인 브 랜드다. 두 브랜드는 규모나 사업방식이 상이하지만, 야나기 무네요시가 주창한 민예운동의 후계자를 자처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본고에 서는 무인양품과 디앤디파트먼트를 일본 디자인계에 나타난 새로운 민예운동으 로 파악하고 두 기업이 탄생하고 성장한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그들이 민예운 동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본주의가 낳은 난제들을 해결해나가기 위해 어떤 방식으 로 일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발견’을 사회 ‘운동’으로 실천해나가는 과정을 민예운동과 비교하여 종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일본 생활세계에서 일어나고 있 는 구조적 변동의 한 측면을 읽어내고자 시도했다. MUJI (無印良品, established in 1980) and D&DEPARTMENT PROJECT (established in 2000) are leading design brands that have profitably maintained and promoted a social practice of sustainable design for over 20 years. The two brands have different scales and business methods, but share the philosophy of the mingei (folk craft) movement created by Yanagi Muneyoshi. Taking MUJI and D&DEPARTMENT PROJECT as the new mingei movement in Japan, this paper examines their process of incorporation and growth, as well as how they overcame the limitations of the mingei movement and addressed the challenges of capitalism. By comparing the process whereby they used their discoveries to implement the mingei movement as a social movement,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ongoing structural reform in the realm of daily life in Japan.

      • KCI등재

        공예라는 전통과 캐논의 성립: 고미술과 미술공예

        노유니아 국립문화재연구원 202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3 No.3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Korea’s acceptance of the concept of Art Craft through research on ancientremains and relices (朝鮮古蹟調査) and a series of projects undertake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Korea, and the traditions and canons of craft established in the process. Crafts defined in law referred to fineand exquisite techniques for creating antiques, or genres of art such as painting or sculpture. The Yi Royal FamilyMuseum and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pearheaded the popularization of theterm “Mi-sul-gong-ye (Art Craft, 美術工藝).” The artworks displayed in these two museums visually embodied pasttraditions. In general, the term “craft” was frequently used to refer to ancient art, and crafts specifically becametraditions to be protected and conserved by designation as legal treasures for display in museums. The establishmentof traditions and canons of craft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crafts produced during this era. The cultural policiesand imperial tastes of Japan played a crucial role in this process. In previous research, scholars divided the concept of craft in the modern era into two categories: industrial craftand art craft. However the so-called “art craft” is not a homogeneous category. It includes both ancient art (antiques)and the pieces made in modern age. Ancient art became canonized and the basis of contemporary production. Moreover, features of contemporary craft were diverse. By subdividing concepts of art and crafts, which havehitherto been discussed collectively, this study will serve as groundwork for accurately understanding “inventedtraditions” and features of modern craft.

      • KCI등재

        ‘조선나전사(朝鮮之螺鈿社)’와 한국 근대 나전칠기

        노유니아 국립문화재연구원 2016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9 No.2

        It is known that Sung-gyu Jeon and several other Korean artisans were invited to “Joseon-Najeon Company” of Kimura Tenko in Takaoka, Japan to teach the skills of making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however these artisans discovered a new tool called fretsaw during the visit, which can easily cut nacre. The introduction of fretsaw in the 1920s in Korea innovated the Jureumjil(filing) technique and dramatically changed the style of modern Korean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In this paper, I will focus on the case of Sung-gyu Jeon, Kimura Tenko and “Joseon-Najeon Company”. I will also examine why and how the Korean lacquerware artisans went to “Joseon-Najeon Company” in Takaoka and exactly what they did there. This analysis will help in discovering how the Korean artisans’ experience in Takaoka affected their works after they came back to Korea. 근대 나전칠기의 특징 중 하나는 실톱을 이용한 주름질 기법의 발달이다. 이에 대해서 전성규가 일본 다카오카의 ‘조선나전사’에초빙되어 기술을 가르치러 갔다가 실톱을 가지고 돌아와 나전을 오리는 데에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알려져왔다. 한편 다카오카에서는기무라 텐코라는 인물이 조선의 나전기술과 직공을 유입했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조선나전사를 둘러싼 이들의 행적에대해서는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전성규와 기무라 텐코, ‘조선나전사’와 관련된 일차자료를 발굴하여 근대 나전칠기와 관련된 역사적 사실을 검증하고, 칠기 연구의 공백기를 메우는 한편 앞으로의 연구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선의 칠공예가들이 어떤 경위로 다카오카에건너가게 되었으며, ‘조선나전사’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떠한 활동을 펼쳤는지, 그리고 그 경험이 귀국 이후의 활동에 어떻게 이어지는지에 대해 추적하였다. 전성규의 다카오카 체류 경험은 주름질 기법의 발달이라는 나전칠기의 양식적인 변화를 가져옴과 동시에근대적 공예가로서의 의식이 형성되는 데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전환기 한국 ‘工藝(공예)’ 용어의 쓰임과 의미 변화에 대한 고찰

        노유니아 국립문화재연구원 202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4 No.3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meaning of the term gongye (工藝) (nowadays it means craft) during Korea’s transition to the modern era.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will serve as the basis for the examination of pre-modern usage, and the Korea-United States Treaty of 1882 for the changes that occurred between the translation from Chinese and from Japanese following the opening of the port . After the port opened, the meaning of gongye , which once broadly referred to the wide range of work of people from different fields, was narrowed down to singularly represent the manufacturing industry. Following the example of Japan, the first East Asian country to succeed in modernization, this new meaning of gongye was generally used in the context of embracing Western culture and creating industry. As industrialization emerged as a national mission, and new terminology was needed to express these new concepts, the Chinese characters used by the Japanese to translate Western concepts were directly imported and used without making any changes. Gongye was similar in meaning to gongeop (工業) (nowadays it means industry) at the time, and the two terms were used interchangeably. However, following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he cultural administration of the Governor-General imbued the term with artistic concepts, and gongye was differentiated from gongeop , As such, examining the establishment of terminology and concepts can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radictions and problems of the Korean crafts scene, which were derived from a period in the past called the modern era. 이 글에서는 근대 전환기 한국에서 ‘工藝(공예)’라는 용어의 의미가 변화하는 과정을 문헌을 통해 고찰한다. 근대 이전의 용례는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개항 후 중국과 일본을 통해 번역됐을 때 달라지는 각각의 의미는 1882년 조선과 미국이 체결한 조미수호통상조약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그 외에 『승정원일기』, 『각사등록』 등의 사료와 통감부 문서(1904~1910년), 주한일본공사관 기록(1894~1908년), 1910년 이전에 발간된 잡지와 신문을 대상으로 ‘공예’라 는 용어가 어떻게 쓰였고 변화하게 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공예’의 의미는 개항 이후 각기 다른 분야의 사람들이 종사하는 일·직분이라는 넓은 범위에서 제조업·공업과 같은 산업의 한 분야를 나타내는 범위로 좁혀진다. 새로운 의미로 쓰인 ‘공예’라는 단어는 동아시아 국가 중에 가장 먼저 근 대화에 성공한 일본을 본받아 서구의 문물을 수용하고 산업을 일으키자는 문맥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개항과 더불어 산업화가 국가적 과제로 부상하면서 새로운 개념을 표현할 용어가 필요해지자 일본이 서양의 개념을 번역하여 조어 한 한자어를 기표 그대로 수입하여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공예’는 ‘공업’과 서로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혼용되었다. 그러나 한일합병 후 총독부의 문화정책을 통해 미술로서의 개념이 부여되면서 ‘공예’는 공업으로부터 분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어와 개념의 성립을 살펴보는 작업은 한국 공예가 안고 있는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서구를 향한 일본미술 선전: 독자성과 오리엔탈리즘

        노유니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9 일본비평 Vol.- No.20

        This essay aims to understand the causes of the phenomenon, in which the uniqueness of Japanese art is emphasized in the recent Japanese Art Boo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Japanese art propaganda of Meiji era and today, and to examine the problems that arise thereby. Art in Japan was used as a means to equalize with the West since the Meiji Restoration, and art history as a field of study was also established for external propaganda under the government. Japan has accepted western art terminology and classification through the international exposition, and both the writing of official art history and the planning of largescale overseas art exhibition have strictly followed this standard.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it emphasiz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art to differentiate from the West. The greatest feature of the Japanese Art Boom is that it stresses the uniqueness of Japan.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to reevaluate the genre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system of westernized art history and to use Japanese without translation when introducing Japanese art abroad. Although the way of promoting art has changed completely, the consciousness over the view from the West and the orientalism way of thinking on its basis are still the same. The consciousness over the other's perspective may lead to an obsession with uniqueness or to the alienation of neighboring countries. Also, there seems to be a phenomenon of strategically borrowing authority from the West in the revision of administered art history. All of this can be said to have originated from looking at Japanese art with the eyes of the West rather than the eyes of itself.

      • KCI등재

        이왕가(李王家)의 은공예품, 이화문 봉보니에르에 관한 시론

        노유니아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4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5 No.2

        본 연구는 이왕가의 유물 중, 이화문 봉보니에르에 주목한다. 봉보니에르는프랑스어로 ‘작은 사탕을 넣기 위해 만든 용기’를 의미한다. 근대기 일본 황실에서는 연회에 초대한 사람에게 주기 위한 답례품으로 은제 봉보니에르를 만들었으며, 왕공족이 된 이왕가의 구성원도 같은 맥락에서 여러 차례 봉보니에르를제작했다. 이왕가 구성원들의 결혼, 출산, 장교 임관 등을 기념하여 주문제작한봉보니에르가 궁내청, 후쿠이시립 향토역사박물관, 가쿠슈인대학사료관 등에 소장된 것이 확인된다. 이들 중 일부는 한국의 박물관에도 동일한 것이 소장되어있으므로 교차 연구가 필요하다. 봉보니에르 연구를 통해 이왕가의 일원들이 일본 황실의 왕공족으로서 영위했던 생활상을 엿볼 수 있으며, 근대 금속공예사서술의 공백을 채워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동일한 유물을 소장하고 있는 기관끼리의 협력, 한국과 일본 연구자들간의 정보 공유가 요구된다. This study categorizes the bonbonnieres featuring Ihwamun, the Seal of the Yi royal family, based on their collections of museums in Korea and Japan, and discusses the background of their production. Bonbonniere is a French word meaning "container for small candies". In modern Japan, the imperial family made silver bonbonnieres as gifts for guests at banquets. The Yi royal family, who belonged to the Japanese imperial court, also crafted bonbonnieres to commemorate marriages, births, and officer appointments. They can be found in the Imperial Household Agency, the Fukui City Museum of Local History, and the Gakushuin University Museum of History. Some of them are also held in museums in Korea, so cross-study is essential. The study on the bonbonnieres featuring Iwhamun provides a glimpse into the lives of the members of the Yi royal family within the Japanese imperial court and is expected to fill the gap in the narrative of Korean modern metalworkers. Cooperation between institutions that hold the same artifacts and the sharing of information among Korean and Japanese researchers are necessary.

      • KCI등재

        아카이브를 통해 본 이완석의 행보 - 여명기의 디자이너, 해방 후 한국미술의 후원자

        노유니아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2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4 No.-

        Until recently, not much was known about Lee Wan Suk(1915~1969) beyond his operation of the Cheonil Gallery. The revelations that he worked as a designer for Cheonil Pharmaceutical and that he played a key role in various aspects of the Korean art world across art and design occurred when his works and materials(hereafter, the Lee Wan Suk Archive) were donated recently to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The Lee Wan Suk Archive is vast. Lee compiled his portfolio meticulously, including items from the days of Cheonil Pharmaceutical. Matchboxes and stamps from around the world and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foreign activities were retained as materials for his own reference. The archive also contains a number of works and art books that he acquired through overseas tours, as well as folk crafts collected during his time at the Korean Folk Crafts Institute. The Lee Wan Suk Archive includes posters produced immediately after Korean Liberation from Japan of August 15, 1945, several poster works that were displayed in exhibitions of the Industrial Art Association and overseas tours in 1950~60s, and many other works by fellow artists. Based on the Lee Wan Suk archive, this study traced Lee Wan Suk’s involvement with art. The aim was to organize his life, forgotten until now, chronologically, introducing significant extracts from the archive. Lee Wan Suk was a pioneering designer and a faithful supporter of Korean art. The study revealed and presented his activities, distinguishing between before and after 1945. Lee studied art in Japan and worked as a designer at Cheonil Pharmaceutical after returning to Korea. He participated in many artist groups such as the Industrial Art Association(Korea Visual Design and Crafts Association). In addition to running the Cheonil Gallery and the Korean Fork Craft Institute, Le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Korea Contemporary Art Exhibition tours to Southeast Asia. The study’s conclusions suggest future research topics based on items from the Lee Wan Suk archive. 이완석(李完錫, 1915~1969)에 대해서는 천일화랑을 운영했다는 것 이외에 알려진 것이 많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이완석이 남긴 작품과 자료(이하, 이완석 아카이브)가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되면서, 이완석이 해방 전 천일제약의 도안가로 활동했으며, 해방 후에는 미술과 디자인을 넘나들며 한국미술계에서 다방면으로 활약했던 것이 밝혀졌다. 이완석 아카이브는 상당히 방대하다. 이완석 스스로가 천일제약 시절의 도안 작업을 꼼꼼하게 포트폴리오처럼 만들어 놓았으며, 본인의 참고를 위한 자료로 세계 각국의 성냥갑과 우표, 대외활동과 관련된 신문 기사를 스크랩해두었다. 해외순방을 통해 입수한 작품과 화집, 한국민예품연구소 시절 수집한 민예품도 적지 않다. 해방 직후 제작한 포스터와 1950~60년대의 산업미술협회전과 해외순방전에 출품했던 포스터 여러 점이 확인되며 동료 작가들의 작품도 다수 포함하고 있다. 자료의 연대는 이완석이 일본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1930년대 후반부터 작고하신 1969년까지 촘촘하다. 이완석 아카이브를 통해 이완석 개인에 대한 연구를 시작할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된 것은 물론이고, 실물로 전해지는 근대 디자인 작품과 자료가 많지 않은 실정 속에서 한국 근현대디자인사 서술의 공백을 메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완석 아카이브를 토대로, 미술을 둘러싼 이완석 선생의 족적을 추적해 보고자 한다. 초출자료를 소개하는 데 의의를 두고 지금까지 잊혀 있던 이완석의 생애를 연대기적으로 정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해방 전과 해방 후로 나누어 일본 유학과 귀국 직후의 활동과 천일제약 시절의 도안가로서의 활동을 소개하고, 미술 단체 활동과 개인 작업/ 산업미술가협회와 관광포스터 제작/ 천일백화점과 천일화랑/ 한국민예품연구소/ 동남아 순방 <대한민국 현대미술전>에서의 이완석의 활약상을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이완석 아카이브를 통해 도출된 추후 연구 과제를 제시한다.

      • 초기 디자인교육으로서의 근대 일본 도안–기법과 내용

        노유니아(Roh Junia) 한국디자인사학회 2021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2 No.2

        이 연구에서는 일본 근대 도안교육이 성립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교육방식을 기법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한국 대학의 초기 디자인 교육자들이 공통적으로 일본 유학을 경험했기 때문에, 일본 도안교육의 실상을 파악하는 작업은 궁극적으로 한국 1세대 디자이너들이 남긴 작업 방식과 교육이념이 어디서 비롯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실마리가 되어줄 것이다. 일본에서 도안은 용어가 번역된 과정이나 매뉴얼로서 국가적인 지도 체계가 성립되는 과정 모두 처음부터 해외수출과 깊은 관계가 있었다. 1890년대에는 여러 미술학교에서 도안 교육이 실시되었고 1900년대에 이르면 그 체계가 거의 정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초기 도안은 유럽인들의 이국취미를 만족시키기 위한 전통문양의 모사나 기교주의에 경도되었으나 자포니슴이 쇠퇴하고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를 계기로 만난 아르누보 양식에 큰 영향을 받아 교육 내용도 변화하기 시작했다. 영국을 중심으로 한 유럽의 자연을 사생하여 간략화하거나 변형하는 도안 제작 방법이 일본에 ‘편화’로 번역되어 디자인교육의 기본으로 오랜 기간 활용되었다. 한편 일본의 도안가들은 끊임없이 서구의 시선에 대응하여 정체성을 추구하며 그 발상의 원천을 고전이나 에도시대의 림파, 그리고 중국, 인도 등 다른 아시아 국가의 고대미술에서 찾았다. ‘편화’를 이용한 제작기법과 고전에서 정체성을 찾는 경향은 일본의 ‘미술’학교에서 도안교육을 받았던 한국 1세대 디자이너들의 대학 교육에서도 나타나게 된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establishment of modern Japanese zuan education, its methods and content. Zuan (圖案), the concept of design and production methods established in Japan, was imported to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1910–45). Since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design professors studied abroad in Japan, understanding zuan education has helped us clarify the origins of the work methods and educational ideologies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designers. In Meiji Japan, both the process of translating terms related to art and design a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zuan as a national guidance were closely related to overseas exports. In the 1890s, design education was conducted at various art schools, and by the 1900s the system was fully developed. Zuan was focused on copying traditional patterns and craftsmanship to satisfy Europeans" exotic tastes. However, as Japonism declined and the Art Nouveau style became popular with the Paris World"s Fair in 1900, zuan education began to change. The European conventional method of making patterns by simplifying and transforming drawings from nature was introduced in Japan as benka (便化), and soon became the basis of design education. At the same time, Japanese designers constantly pursued their identity in response to Western perspectives, and found the source of their ideas in the classics: Rimpa of the Edo period, as well as ancient art of other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and India. The tendency to find identity in classics and production techniques using benka was also shared and reflected in the university education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designers who received design education at art schools in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