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예라는 전통과 캐논의 성립: 고미술과 미술공예 = The Invention of Tradition and Canon in Korean Crafts: Antiques and Art Craf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96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Korea’s acceptance of the concept of Art Craft through research on ancientremains and relices (朝鮮古蹟調査) and a series of projects undertake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Korea, and the traditions ...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Korea’s acceptance of the concept of Art Craft through research on ancientremains and relices (朝鮮古蹟調査) and a series of projects undertake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Korea, and the traditions and canons of craft established in the process. Crafts defined in law referred to fineand exquisite techniques for creating antiques, or genres of art such as painting or sculpture. The Yi Royal FamilyMuseum and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pearheaded the popularization of theterm “Mi-sul-gong-ye (Art Craft, 美術工藝).” The artworks displayed in these two museums visually embodied pasttraditions. In general, the term “craft” was frequently used to refer to ancient art, and crafts specifically becametraditions to be protected and conserved by designation as legal treasures for display in museums. The establishmentof traditions and canons of craft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crafts produced during this era. The cultural policiesand imperial tastes of Japan played a crucial role in this process.
      In previous research, scholars divided the concept of craft in the modern era into two categories: industrial craftand art craft. However the so-called “art craft” is not a homogeneous category. It includes both ancient art (antiques)and the pieces made in modern age. Ancient art became canonized and the basis of contemporary production.
      Moreover, features of contemporary craft were diverse. By subdividing concepts of art and crafts, which havehitherto been discussed collectively, this study will serve as groundwork for accurately understanding “inventedtraditions” and features of modern craf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공호, "한국 근대 공예의 이원구조, 그 형성과 전개" 한국미술사교육학회 8 : 71-101, 1994

      2 이현일, "조선총독부박물관 공문서로 본 일제강점기 문화재 등록과 지정" 국립중앙박물관 (85) : 95-111, 2014

      3 노유니아, "조선미술전람회 공예부의 개설 과정에 대한 고찰: 전람회를 통한 근대 공예 개념의 형성과 확산" 한국미술연구소 (38) : 93-123, 2014

      4 오세탁, "일제(日帝)의 문화재정책: 그 제도적 측면을 중심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 29 : 248-268, 1996

      5 국성하, "일제 강점기 박물관의 교육적 의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6 노유니아, "서구를 향한 일본미술 선전: 독자성과 오리엔탈리즘" 일본연구소 11 (11): 100-121, 2019

      7 최공호, "산업과 예술의 기로에서" 미술문화 2008

      8 최공호, "공예(工藝), 모던의 선택과 문명적 성찰: 용어 사용 이후의 위기와 어젠더"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2) : 23-35, 2011

      9 朝鮮總督府, "總督府博物館陳列品圖鑑 (第一輯~第十七輯)" 1943

      10 "皇城新聞"

      1 최공호, "한국 근대 공예의 이원구조, 그 형성과 전개" 한국미술사교육학회 8 : 71-101, 1994

      2 이현일, "조선총독부박물관 공문서로 본 일제강점기 문화재 등록과 지정" 국립중앙박물관 (85) : 95-111, 2014

      3 노유니아, "조선미술전람회 공예부의 개설 과정에 대한 고찰: 전람회를 통한 근대 공예 개념의 형성과 확산" 한국미술연구소 (38) : 93-123, 2014

      4 오세탁, "일제(日帝)의 문화재정책: 그 제도적 측면을 중심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 29 : 248-268, 1996

      5 국성하, "일제 강점기 박물관의 교육적 의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6 노유니아, "서구를 향한 일본미술 선전: 독자성과 오리엔탈리즘" 일본연구소 11 (11): 100-121, 2019

      7 최공호, "산업과 예술의 기로에서" 미술문화 2008

      8 최공호, "공예(工藝), 모던의 선택과 문명적 성찰: 용어 사용 이후의 위기와 어젠더"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2) : 23-35, 2011

      9 朝鮮總督府, "總督府博物館陳列品圖鑑 (第一輯~第十七輯)" 1943

      10 "皇城新聞"

      11 東京国立博物館, "東京国立博物館百年史" 東京国立博物館 1973

      12 李王職, "李王家美術館要覽" 李王職 1938

      13 李王職, "李王家博物館所蔵品写真帖 (上,中,下)" 李王職 1918

      14 李王職, "李王家博物館所蔵品写真帖 (上,下)" 李王職 1912

      15 "朝鮮總督府官報"

      16 朝鮮總督府, "朝鮮古蹟圖譜(一~十五)" 1935

      17 한결, "景福宮 博物館을 보고서" (39) : 1923

      18 文化庁, "文化財保護法五十年史" ぎょうせい 2001

      19 朝鮮總督府, "博物館略案内" 1936

      20 朝鮮總督府博物館, "博物館報 (第一号~第四号)" 1933

      21 小泉顕夫, "ドルメン" 岡書院 1933

      22 佐藤道信, "「美術」概念の再構築(アップデイト)―「分類の時代」の終わりに" ブリュッケ 59-67, 2017

      23 최공호, "‘工藝’ 용어의 근대적 개념전개"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7 :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