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20년대 조선어 가정용 백과사전의 출판과 그 내용

        노상호(Ro, Sang-h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48 No.-

        본고에서 필자는 1910년대와 1920년대에 출판된 가정용 백과사전을 분석하여 20세기 초반에 조선인 여성들이 읽고 소비하던 지식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본다. 1910년대와 20년대에 상업적으로 출판된 실용서적, 특히 가정용 백과사전은 당시 저가의 딱지본 출판문화의 중요한 일부분이었다. 특히 강의영이 출간한 가정보감류의 백과사전들은 순 언문으로 쓴 저가의 실용서이고 그 주된 독자층은 신식 교육을 받지 못한 중장년의 여성이었다. 비록 지금까지 ‘신여성’과 ‘구여성’이라는 이분법적인 관점이 오랜 시간동안 학계에서 받아들여져 왔으나 필자는 중장년의 여성들 역시 지식의 습득과 소비에 매우 적극적이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analyze Korean female readers and their consumption of printed knowledg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Specifically, I analyze Korean home encyclopedias of the 1910s and 20s, which were made for mid-age Korean women who did not receive formal school education. The home encyclopedias were designed to circulate useful knowledge for married women, so they instructed how to write a letter formally, how to care for children in an emergency, and how to tell fortunes. By analyzing commercial imprints for women, I argue that the home encyclopedias are microcosms of the female reading culture in transition.

      • KCI등재

        서해안 갯벌 매립과 일상생활의 변화

        노상호(Ro, Sang-ho)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7

        본 연구논문에서 필자는 식민지 시기부터 최근까지 갯벌의 매립과 개발을 주도한 근대국가와 어촌사회의 변화를 인천시 5개의 어촌계를 중심으로 역사학과 인류학의 학제간 연구방법을 통해서 고찰하였다. 갯벌의 매립을 제도화한 주체는 바로 근대국가로서 일본의 식민통치는 식민지 조선에서 바다와 갯벌의 개발을 결정할 수 있는 독점적인 권한을 정부에 부여한다. 1924년 8월 시행된 <조선공유수면매립령>은 갯벌 매립에 대한 지역민들의 의사표현을 허용하지 않았고 조선총독부는 어업조합을 중심으로 한 국가와 어민의 관계를 수직적 협력관계로 재편한다. 이러한 개발독재의 구조는 1962년 <공유수면매립법>이 밑으로부터의 의사표현을 허용하면서 개정되었지만 국가는 여전히 개발의 이익을 위해서 개발을 강제할 수 있는 권한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송도, 소래 등 인천시 어촌지역의 역사는 어촌사회가 반드시 개발독재의 계획이나 의도대로 변화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한국전쟁 이후 피난민들과 지역민들이 생존을 위해서 모여들면서 서해안에는 새로운 지역사회가 형성되었고 갯벌과 그 인접지역들은 독자적인 민속 문화를 발전시켜 나갔다. 1987년 이후 서해안은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대규모로 개발되었지만 갯벌매립을 통한 도시화는 “전업”이라는 방식으로 어민들의 생활방식을 변화시키려 하였다. 그러나 소래, 송도, 마시안, 운북, 큰무리의 어촌계는 모두 자신들의 민속과 생활방식을 유지함으로써 개발과 도시화가 자신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가능한 한 제어하려고 한다. 이처럼 일상생활(everyday life) 속에서 자신들의 문화를 유지하고자 하는 움직임은 프랑스 철학자 미셸 데 세르토(Michel de Certeau)가 말하는 일상생활 속의 문화정치의 한 형태일 뿐만 아니라 오늘날 다문화주의의 한국적 의미와 과제를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기회가 된다. 따라서 갯벌에 대한 개발방식은 계속 변화해왔고 어촌계를 중심으로한 어촌사회는 그 변화에 대응하였다. 예전에는 조합의 일원으로, 그리고 지금은 새로운 관광의 주체로서 자신들만의 삶의 방식을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In this article, I aim to analyze how the modern state has changed everyday life for fishermen on the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by reclaiming mud flats, especially as seen through the cases of five fishermen’s unions-Songdo, Sorae, Masian, Unbuk, and Kkeunmuri-in Incheon Cit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f Korea enacted a new law for reclaiming public water in 1924, but it prohibited local communities from participating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aking a form of ‘developmental dictatorship,’ the colonial government systematized the top-down development of public water for the last of its rule. Fishermen and their community were, instead, forcefully reorganized into government-licensed unions. Although this colonial legacy of ‘developmental dictatorship’ was altered by the Pak Chung Hee administration in 1962, the top-down development continued in newborn South Korea. Nevertheless, local communities along the west coast, such as Port Sorae, were able to maintain their own lifestyles and utilized the development projects for their own causes.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was replaced by the new democratic government in 1987, but top-down mega construction projects continued on larger scales in Incheon. I argue in this article that fishermen’s unions, another colonial legacy, ironically function as a new focus of everyday politics in which local communities desperately attempt to minimize the impacts of urbanization. Similar to Michel de Certeau’s idea of everyday life, their folk traditions and lifestyles empower them to maintain their cultural identity vis-a-vis the urban environment. By analyzing their behavior and strategies as a case of ‘Docta ignorantia,’ I here claim that the folk tradition of the maritime community still remains strong at the local level as a way of protecting cultural identity in South Korea, which has experienced rapid urbanization for the last decades.

      • KCI등재

        조선 후기 동물에 대한 지식과 기록

        노상호(Ro, Sang-h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0 No.-

        조선 후기 인간과 자연의 관계는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였다. 명물고증학(名物考證學)의 발전과 함께 이익(李瀷), 이규경(李圭景), 서유구(徐有榘), 유희(柳僖) 등은 각자 자연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기록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특히 필자는 한반도의 육식동물, 식육목(食肉目)에 대한 조선 후기의 지식과 기록을 분석함으로써 조선 후기 자연관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승냥이(豺), 호랑이(虎), 개(狗)와 고양이(猫)는 인간에게 두려움과 경외감을 주는 존재인 동시에 오랫동안 인간과 함께 살아온 동물들이다.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와 이익의 『성호사설(星湖僿說)』등은 조선 후기 화약과 총기(銃器)의 보급, 상업과 교역의 발달과 함께 동물에 대한 인간의 우위가 점점 강화되고 있는 상황을 기록하였다. 인간이 동 물보다 지적으로 우월하다는 인식은 인간이 주체적으로 동물을 분류하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지적 욕구와 작업으로 이어졌다. 이규경 등이 제시한 조선 후기 동물분류법은 승냥이(豺)와 이리(狼)를 명확히 구분하였을 뿐만 아니라 ‘호묘(虎貓)’의 의미를 규명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오히려 근대의 생물학자들은 승냥이(豺)를 늑대(狼)로 오해하였을 뿐만 아니라 호랑이 등 한반도 맹수들의 멸종을 수수방관하는 등 오히려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악화시키는데 일조하였다. 이 점을 보면 근세 자연학의 성과는 근대생물학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심각하게 단절되고 망각되었다. 따라서 필자는 식육목(食肉目)의 사례를 통해서 18, 19세기 지식인들이 보여주는 전환기적 성격을 규명하고 그 시대만의 지적 성취를 조망해 보고자 한다. In the late Chosŏn perio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was in transition. The development of Myŏngmul-kojŭng-hak (the study of verifying names and evidential studies) enabled scholars such as Yi Ik, Yi Kyu-kyŏng, Sŏ Yu-ku, and Yu Hŭi to observe Mother Nature and to record it.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rgu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was transformed by the new sense of intellectual and materialistic superiority of human beings. A case of Carnivora shows us that Koreans built a new bod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the nature: what used to be deemed sacred and fearful. As examples, tiger (虎), Asian wild dog (豺), dog (狗), and cat (猫) were well-known to Koreans for many centuries, but it was not until the late Chosŏn period that humans recognized their own supremacy vis-a-vis these animals and that they trie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the wild life. In Yi Kyu-kyŏng’s Ojuyŏnmunjangjŏnsan’go and Yi Ik’s Sŏngho sasŏl, it is possible to find that Yi Kyu-kyŏng (1768-1856) and Yi Ik (1681-1763) not only built a rationale of studying the wild life, but also sensed the increasing human dominance over the animals. The two mentioned of new attitudes such as raising a dog and a cat as a pet and hunting tiger in the Chosŏn society, and tried to make their own system of classification. Unlike modern naturalist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y did not make a conclusion that the wild life must be eliminated for the safety of human beings. They knew the difference between wolf (狼, Yiri) and Asian wild dog (豺, Sŭngnyang’i), and still comprehended the nature through a lens of classical learning. Based on classics, they tried to re-conceptualize the nature in the growing sense of human dominance. Therefore, I would like to argue that the studies on Mother Nature in the late Chosŏn period prove the remarkable transition in human-and-nature relations and the intellectual accomplishment of Chosŏn scholars in their own terms.

      • 영상의학과 촬영실에서의 세균 오염도 측정에 관한 연구

        동경래(Kyung Rae Dong),노상호(Sang Ho Ro),권대철(Dae Cheol Kweon),류영환(Young Hwan Ryu),동차분(Cha Bun Dong),유은영(Eun Yeong Yu),조영국(Young Kuk Cho) 한국실내환경학회 2009 한국실내환경학회지 Vol.6 No.4

        Since equipment currently being used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ical technology in hospitals comes into contact with patients carrying diseases, there inevitably will be the existence of pathogenic bacteria.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importance of using disinfectant in hospital infection precaution and the recognition of hospital infection management, comparisons were made by measuring the bacterial contamination levels in radiology room within the department of radiological technology and comparing the measurements with post disinfection levels. Disinfecting the rooms from detected bacteria was conducted with water, tissue cleaner, or 70% alcohol. When measuring bacterial contamination levels in radiology rooms, a variety of bacteria was detected. When disinfecting the interior of radiology rooms the effectiveness of destroying bacteria and preventing hospital infection was greatest when using 70% alcohol compared to water, tissue cleaner and ventilation. Therefore, there needs to be a development of a better antiseptic for destroying bacteria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for hospital medical equipment to be constantly contaminated. Efforts need to be made to prevent hospital infections and patient secondary infection by disinfecting and sterilizing equipment.

      • KCI등재후보

        CT 검사에서 대동맥박리(aortic dissection)의 발생빈도에 관한 고찰

        동경래(Kyung-Rae Dong),최성관(Sung-Kwan Choi),장영일(Young-Ill Jang),노상호(Sang-Ho Ro)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8 방사선기술과학 Vol.31 No.2

          목 적: 혈관의 내층과 외층을 급속히 해리시키는 예후가 매우 위험한 질환으로 대동맥 박리증(aortic dissection)의 임상적 진단을 위해 CT를 시행하여 대동맥 박리 증으로 판명된 환자 수와 연령별로 발생 빈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BR>  방법 및 대상: 2005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2년간 C대학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CT를 시행한 환자 112명을 대상으로 연도별로 증감 추세를 조사해 보고, 성별, 연령별, 진료과별로 조사 해 보았으며, 정확한 관찰을 위해 CT scan 후의 재구성 영상인 MIP와 SSD 그리고 VRT영상을 획득하여 CT와 일반 Chest PA 상을 비교하여 결과를 조사 연구하였다.<BR>  결과 및 결론:<BR>  1. CT를 시행한 환자 112명을 대상으로 연도별 검사건수는 2005년도 37명으로 41.9%를 보였고, 2006년도는 65명으로 58.1%로 2005년에 비해 2006년에 1.4배 증가되었다.<BR>  2. CT를 시행한 환자의 성별분포는 남성이 45명으로 40.1%, 여성이 67명으로 59.9%를 차지하고 있고 남성 45명 중 대동맥 박리증 환자는 9명으로 20%, 여성은 67명 중 21명으로 31.3%로 대동맥 박리증 환자가 남성에 비해 여성이 1.6배 많이 발생되었다. 또한 검사자 수도 남성에 비해 여성이 1.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BR>  3. CT를 시행한 환자의 연령별 분포는 30세 미만에서는 거의 볼 수 없었으며 41세에서 80세까지가 전체에 88.3%를 차지하였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대동맥 박리증 질환의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발생빈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BR>  4. CT를 의뢰한 과는 응급의학과에서 46명(41.1%), 순환기 내과에서 37명(33.0%), 흉부외과에서 13명(11.6%), 기타 과에서 16명(14.3%)으로 응급의학과와 순환기내과가 전체의 74.1%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동맥 박리증 질환의 환자는 주로 응급실로 내원하는 매우 위험한 질환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BR>  5. 대동맥 박리 환자 30명 중 22명(73.3%)은 일반 X-ray상 정상으로 판독되었고, 8명(26.7%)만이 일반 X-ray상 이상소견이 나왔다. 따라서 대동맥 박리 질환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반듯이 CT를 시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Aortic Dissection is very dangerous, prognostic disease, which the bloodstream flow out of the true lumen of the aorta by the bursting of aortic intima resulting in a rapid dissociation of inner and outer layer from the media. It is difficult to diagnose aortic dissection clinically by normal X-ra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frequency by age and number of patients who are identified to be aortic dissection by CT(Computed Tomography) scan.<BR>  Materials and methods: We investigated the trend of yearly fluctuation, gender, age, and department of clinical research of the 112 patients who conducted CT scan in C- University Hospital for two years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6. The MIP and SSD which reconstructed CT image and the VRT image were obtained for the accurate observation. The result was investigated by comparing normal X-ray and CT scan.<BR>  Results and Conclusion:<BR>  1. The yearly check of 112 patients conducted CT scan showed 37 people(41.9%) in 2005, and it was increased to 65(58.1%) in 2006 by 1.4 times.<BR>  2. The gender distribution of patients given a CT scan showed 45 males(40.1%), and female 67(59.9 %). The aortic dissection patients were 9(20%) out of 45 males, 21(31.3%) out of 67 females and women were 1.6 times more than men. Women are also 1.5 times more than men in the number of examinee.<BR>  3. The age distribution of patient"s who conducted CT scan revealed that there was no patient under 30 years old while 88.3% of all patients were through 41 to 80 years old. The higher the age was, the higher the occurrence of aortic dissection was. The difference in the occurrence frequency of 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BR>  4. The departments that requested CT scan were the emergency department 46(41.1%), circulatory internal medicine 37(33.0%), chest surgery 13(11.6%), and others 6(14.3%). The combined ratio of emergency medicine and circulatory internal medicine was 74.1% of all. The results show that the aortic dissection is a very dangerous disease whose patients visit mainly via the emergency room.<BR>  5. The aortic dissection patients had normal X-ray readings in 22(73.3%) out of 30, and only 8(26.7 percent) are abnormal in the X-ray diagnosis. Therefore, the CT scan needs to be enforced in order to assess accurately the disease of aortic dissection.

      • 영상의학과 촬영실에서의 세균 오염도 측정에 관한 연구

        동경래(Dong Kyung-Rae),조영국(Cho Young-Kuk),노상호(Ro Sang-Ho)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7 No.1

        현재 영상의학과에서 사용되는 촬영장비는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와의 접촉이 불가피 하기 때문에 병원균이 존재 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영상의학과 촬영실에서의 세균 오염도를 측정하고, 검출된 세균들을 소독(물, Tissue Cleaner, 70% 알코올)하여 소독 전ㆍ후 세균의 감소율을 비교함으로써 병원감염예방에 있어 소독제 사용의 중요성과 병원감염관리의 인식을 높이고자 한다. 영상의학과 촬영실에서의 세균 오염도를 측정 하였을 때 여러 가지 세균들이 검출되었다. 영상의학과 촬영실내를 소독할 때 물이나 Tissue Cleaner, 환기 보다는 70% Alcohol을 사용하여 소독을 실시하는 것이 세균 사멸 및 병원감염 예방부분에 있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세균을 사멸시키기 위해 보다 좋은 소독제를 개발하여야 하며, 병원 내 각종 의료 장비는 언제나 오염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기구에 대한 소독 및 멸균을 실시하여 병원감염으로 인해 환자에게 2차 감염을 유발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Since equipment currently being used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ical technology comes into contact with patients carrying diseases, there inevitably will be the existence of pathogenic bacteria.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importance of using disinfectant in hospital infection precaution and the recognition of hospital infection management, comparisons were made by measuring the bacterial contamination levels in radiology room within the department of radiological technology and comparing the measurements with post disinfection levels. Disinfecting the rooms from detected bacteria was conducted with water, tissue cleaner, or 70% alcohol. When measuring bacterial contamination levels in radiology rooms, a variety of bacteria was detected. When disinfecting the interior of radiology rooms the effectiveness of destroying bacteria and preventing hospital infection was greatest when using 70% alcohol compared to water, tissue cleaner and ventilation. Therefore, there needs to be a development of a better antiseptic for destroying bacteria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for hospital medical equipment to be constantly contaminated. Efforts need to be made to prevent hospital infections and patient secondary infection by disinfecting and sterilizing equi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