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보건소의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보건교육전략

        남정자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999 International Symposium Vol.1999 No.-

        In present paper, author proposed an effective health education strategy for local health department, which was revised from the PATCH of CDC. The author suggested that an health department should follow several steps to have an effe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their community. First step would be community mobilization that encourage key persons and major organizations and agencie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second step is collecting demographic and vital statistics in the community or for a target audience as well as social,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data. Based on the data analysis, the next step is to choose a target audience and health problem(s) for the target audience in question. The fourth step is the development of health education strategy for the target audience and the health problem. The fourth step also includes selecting a proper communication channel and educational materials as well as pre- and post-testing. The final step is implementing health education programs and evaluating the process, outcome and impact of the program.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KIHASA) has developed a model for health education programs used in local health department. KIHASA can provide technical assistance and health education materials to assist local health departments in Korea.

      • 어머니 삶의 만족도가 초등학생 자녀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남정자,김성길 한국미래교육학회 2014 미래교육연구 Vol.4 No.1

        초등 자녀의 자기주도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학습조력자로서 어머니의 영향과 역할이 중요하다. 아동이 이미 갖고 태어난 인성적 특성으로서의 자기주도성이 발현되도록 도와주는 어머니 역할이 어느 시기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부모역할만족도, 배우자지지도, 자아개념을 관련변인으로 하여 자녀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고, 어머니 삶의 만족도가 자녀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초등자녀를 둔 어머니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자녀의 주도성을 높일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어머니 4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첫째, 어머니 삶의 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대상자의 직업, 수입, 학력, 가족구성, 자녀수, 자녀성별 중 대상자 자녀의 성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 삶의 만족도 관련변인 중 부모역할만족도와 배우자지지도는 자녀주도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어머니의 자아개념은 자녀주도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역할만족도, 배우자지지도와 자녀주도성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자아개념은 부모역할만족도, 배우자지지도, 자녀의 주도성 등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부모역할만족도, 배우자지지도에 따라 자녀주도성에 영향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부모역할만족도, 배우자지지도, 자녀주도성 등에 부적 영향을 미친 어머니 자아개념에 대해서는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basic materials for parent education which is supposed not only to improve mothers' satisfaction with their own lives but also to increase initiative of the mothers'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study, first, regarded the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 marital support and the self-concept as related variables, and using the variables, the study looked into how much the mothers of elementary schoolers are content with their lives, discussing how this mothers'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would affect initiative of the childre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n terms of the variables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mothers' satisfaction with the lives, of all the other variables such as the mothers' occupations, incomes, educational backgrounds, family members,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 gender of a child, this gender of a child was observ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how the mothers are content with their life. Second, among those variables related to the mothers'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the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the marital support were learned to be positively connected to the children's initiative and yet, the self-concept of the mothers was learn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initiative of the children. Third, the study foun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the marital support with the children's initiative but when it comes to how the self-concept has anything to do with the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 martial support and initiative of the children, the study saw them negatively related to each other. While proceeding with the investigation, the study could confirm that the children's initiative is influenced by the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the marital support and that any follow-up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to learn more about this self-concept's being negatively related to the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 marital support and the children's initiative. The study, now, suggests that,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mothers'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this mothers' occupational variable should be investigated even more and that how the self-concept would influence the mothers' lives as women and their roles as mothers should be also continuously discussed in relation to how quickly women get their own jobs nowadays and how they deal with their career, childbirth and child-rearing.

      • 우리나라 건강증진평가체계의 현황과 개선방안

        남정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보건복지포럼 Vol.99 No.-

        이론적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건강증진사업의 평가요소 및 사업특성별 목표달성 시기에 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건강증진 평가체계를 분석한 후, 각급 행정단위별로 건강증진 평가체계의 발전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틀로는 영국에서 개발된 The Health Promotion Discovery Tool (HP Source)<sup>1)</sup>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기존 건강증진평가체계의 특징을 국가 단위, 광역 단위, 기초자치단체수준으로 나누어 요약하였으며 정책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국가단위에서 국민건강증진사업에 대한 종합적 평가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매 3년마다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이 조사만으로는 국민의 건강상태 변화나 건강증진목표달성 여부를 평가하기에는 미흡하다. 따라서 다양한 건강증진 사업의 평가를 위해서는 사업의 구조 및 진행 과정에 대한 자료의 수집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도구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현 건강증진체계의탈 중앙화와 광역자치단체의 건강증진평가 활동을 강화 할 필요가 있다. 현시점에서는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개별적인 건강증진사업뿐만 아니라, 국가 및 광역단위의 건강증진정책 및 건강영향에 대하여도 평가할 필요가 있다. 광역단위에서는 건강 및 사회적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우리나라 16개 지역에 행태 위험요인 감시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기초자치단체건강증진 사업은 목표 집단을 선정하여 사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프로그램 수행자에 의한 자체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