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년대 중후반 ≪청년문학≫의 편집주체와 결절점(結節點): 1957년 11월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제2차 전원회의를 중심으로

        남원진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통일인문학 Vol.92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ditors and nodes of Youth Literature in the context of the central committee paper of Josun Author Alliance during the period of controversies about the North Josun literary world in the middle and late 1950s. During this period, the editorial board system of Youth Literature led by Park Ung-geol (editor in chief) featured the characteristics of rising writers as a literary magazine in line with the enhanced autonomy of Josun Author Alliance editorial board. It held a special position in the history of the North Josun paper that had been enjoying a certain freedom for a while at that time, and it played a role when the 2nd Josun Authors’ Conference and the 2nd Plenary Meeting of Josun Author Alliance were held. After the 2nd Josun Authors’ Conference was held in October 1956, the 2nd Plenary Meeting of Josun Author Alliance was held in November 1957 as an important node. In this meeting, the non-party activities of Han Hyo, An Ham-gwang, and Park Im who were ideologically connected to Hong Sun-cheol stigmatized as an anti-party insurgent were also disclosed. Particularly, the denunciation against Hong Sun-cheol well reflects the metastasis of signs, that is, the relentless progress of the self-replicating and self-variation of signs. In addition, the 2nd Plenary Meeting of Josun Author Alliance was held in the context of rigidity and flexibility in the interpretation of socialist realism of Josun Author Alliance. As it was connected to the ‘August Plenary Meeting Incident’ in 1956, the interpretation of socialist realism developed into focusing on the rigidity of the communist literature construction that emphasized Lenin’s principles, that is, the party’s unitary leadership. This Plenary Meeting was a sort of guide map of the party’s literature in the rigidity of socialist realism. It also became a milestone to proot the remaining bourgeois ideas and construct the communist literature while the waves were heading to a climax in the ideological conflicts to eradicate the remaining old ideas among writers and to be thoroughly equipped with the party’s ideas under its leadership. Under the editorial board system of Youth Literature led by Park Ung-geol (editor in chief), it also indicated and directed the transition to the new editorial board system of Park Tae-yeong (editor in chief) or Jeong Seo-chon (editor in chief). 이 글은 1950년대 중후반 북조선 문단의 논쟁 속에서,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의 지형도 안에서 ≪청년문학≫의 편집주체 및 굴절점을 점검해보고자 한다. 이 시기 ≪청년문학≫의 박웅걸(주필) 편집위원회 체제는 조선작가동맹 편집위원회의 자율성 증대에 따른 신진작가 중심의 문예지적 성격이 강화된 편집체제인데, 이는 한순간 자유로웠던 북조선 기관지 역사에서 특이한 위치에 놓여 있으며, 또한 제2차 조선작가대회와 조선작가동맹 제2차 전원회의의 유동하는 자리에 위치한다. 1956년 10월 제2차 조선작가대회 이후 1957년 11월 조선작가동맹 제2차 전원회의는 중요한 결절점인데, 이 회의에서 반당 종파분자로 낙인찍힌 홍순철과 사상적으로 연계된 한효나 안함광, 박임 등의 비당적 활동이 폭로되는 자리이기도 하다. 특히 홍순철에 대한 매욕은 기호의 전이 현상, 즉 기호의 끝없는 자기 증식과 변이의 과정을 거쳐 가혹하게 진행된 것도 또한 사실이다. 그리고 조선작가동맹 제2차 전원회의는 조선작가동맹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대한 해석의 경직성과 유연성의 흐름 속에서 발생한 사건인데, 1956년 ‘8월 전원회의 사건’과 연결되면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해석은 레닌적 원칙성을 강조하는 공산주의 문학 건설이라는 경직성, 또는 당의 일원적 지도체제로 치닫는 계기가 된다. 또한 이 전원회의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경직화에 따른 당 문학으로 나아가는 길의 도표인데, 작가들 속의 낡은 사상 잔재, 즉 ‘부르주아 사상 잔재를 뿌리뽑고 당의 영도와 당의 사상으로 철저히 무장하기 위한 사상 투쟁’이라는 부르주아 사상 잔재 청산과 공산주의 문학 건설이라는 ‘광풍’(?)의 정점으로 치닫는 이정표가 된다. 또한 ≪청년문학≫의 박웅걸(주필) 편집위원회 체제에서 박태영(주필)이나 정서촌(주필) 편집위원회 체제로 넘어가는 길표이기도 하다.

      • KCI등재

        북조선의 역사, 자주성의 욕망- 한설야의 『력사』 재론

        남원진 상허학회 2012 상허학보 Vol.36 No.-

        Han Sulya’s History which dealt with Kim Il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was the novel which had been created according to the question for the creative application of Marxism-Leninism. A series of Han Sulya’s creative practices such as such creation or creation and discontinuance of Bochunbo, a sequel to the novel, aimed at confirming the North Josun-centered historical evaluation that the struggle in the 1930s reigned over domestic movement. Also, as they emphasized the creative application of Marxism-Leninism, they revealed a clue to the desire that Han Sulya who chose to interpret with North Josun-centered history, further, Kim Ilsung-centered history, further, the intellectuals of North Josun had. And the North Josun-centered historical interpretation or Josun’s strong desire for independence may perhaps result from the dual experiences such as the bitter past experience of the Minsaengdan Incident in the colonial age and the humiliating present experience of the complete exclusion from war command after Chinese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Also, North Josun-centered history or North Josun’s strong desire for independence may be based on historical facts like Han Sulya’s History, but result in historical exaggeration, further, distortion. 한설야의 『력사』는 아동혁명단과 함께 시난차 전투, 황니허즈 전투 등의 1930년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을 다룬 최초의 장편소설이었다. 1950년대 북조선의 대표적 평자들이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을 다룬 대표작으로 거론했지만, 1960년대 한설야의 숙청과 함께 한설야의 『력사』는 한동안 사라졌다가 다시 복권된 작품이었다. 또한 남한의 대부분 연구에서의 평가와 달리 『력사』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창조적 적용에 대한 문제에 따라서 창작되었던 문제작이었으며, 한설야는 더 나아가 속편격인 『보천보』 창작으로 나아갔으나 중단되었다. 그런데 이런 『력사』 창작이나 『보천보』의 창작과 그 중단 등의 일련의 한설야의 창작적 실천은 1930년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이 국내 운동 위에 군림했다는 북조선 중심의 역사적 평가를 확인하는 방향으로 나아간 것이었다. 또한 이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창조적 적용을 강조함에 따라 북조선 중심의 역사 더 나아가서 김일성 중심의 역사로 해석하고자 했던 한설야, 더 나아가서 북조선 지식인이 가졌던 욕망의 단초를 드러낸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북조선을 중심으로 한 역사적 해석이나 조선의 자주성에 대한 강한 욕망은, 아마도 식민지 시대 민생단 사건의 쓰라린 과거의 경험과 함께 6․25전쟁기 중국의 참전 이후 전쟁 지휘에서 온전히 배제되는 굴욕적인 현재의 경험 등의 중첩적 경험이 낳은 결과였을 것이다. 또한 북조선 중심의 역사 또는 북조선의 자주성에 대한 욕망이 강화되면 될수록 한설야의 『력사』처럼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지만 역사의 과장, 더 나아가서 역사의 왜곡을 낳는 것인지도 모른다.

      • KCI등재

        한설야의 문제작 「혈로」의 개작 양상 연구

        남원진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6

        Seolya Han’s adaption A Way of Blood is the short story dealing with the process where Kim Ilsung established a plan to attack Hamgyung-do, North Korea. Here, its block books of 1946 and 1948 and/or 1959 and 1960 are the same in the overall contents. However, they are totally different if I examine the historical facts centering on their temporal backgrounds. As shown in the examination of those various block books of his, collating the adaptations accurately with the original and examining whether it was adapted must necessarily precede studying North Josun literature because it always involves the problem of adaptation. As shown in the various theses of Kim Yoonsik and others, a study which does not examine the adaptations for the block books of his work A Way of Blood but deals with its adaptations is destined to cause serious errors. In particular, not only the block books in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and in the 1950s and 1960s but further the adapted block books after unique idea system was formed, where Kim Ilsung-centered history penetrated, are more problematic because they are made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and because many of them are interpreted as different meanings from the original. 한설야의 문제작 「혈로」는 김일성의 함경도 진공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을다루고 있는 단편소설이다. 김일성이 이끄는 유격대 대원들은 압록강을 바라보면서 조국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며, 또한 김 장군은 좋아하는 낚시질을 하면서함경도의 주요 도시를 진공할 계획을 세운다. 이것이 「혈로」의 전체적인 내용이다. 여기서 1946년 판본․1948년 판본 「혈로」나 1959년 판본․1960년 판본 「혈로」의 이런 전체적인 내용은 동일하다. 그러나 1946년 판본․1948년 판본 「혈로」와1959년 판본․1960년 판본 「혈로」의 시간적 배경을 중심으로 한 역사적 사실을검토한다면 전혀 다른 판본이 된다. 1946년 판본․1948년 판본 「혈로」의 역사적인 내용은 ‘1935년 겨울’에 ‘조국광복회’를 조직했고, ‘1937년’에 있었던 ‘무송현성 전투’와 ‘임강현 전투’를 치른 이후 ‘1937년 여름’ 압록강에서 낚시를 하면서‘함경북도 6도시 진공 계획’을 세웠고, 함경북도 진공 계획이 일본군에게 사전에 발각되어 이 계획을 변경하여 ‘1938년 봄’에 함경남도의 ‘혜산읍을 습격했다’는 것이다. 그런 반면 1959년 판본․1960년 판본 「혈로」의 역사적인 내용은‘1936년 초’에 ‘조국광복회’를 조직했고, 1936년 8월 ‘무송현성 전투’를 치른 후인 ‘1936년 여름’에 ‘함경도 진공계획’을 수립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판본을통해서는 정확하게 ‘1937년 6월’ 보천보 전투를 실행했는지는 지적할 수는 없다. 이런 한설야의 여러 「혈로」 판본의 검토에서 보듯, 북조선 문학 연구에서는항상 개작의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정확한 원본 대조 및 개작 여부에 대한검토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김윤식 등의 여러 논문에서 보듯,한설야의 「혈로」 판본에 대한 개작 사항을 검토하지 않고 개작본을 대상으로한 연구는 심각한 오류를 불러오게 마련이다. 특히 해방기 판본과 1950~1960년대 판본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유일사상체계가 성립된 후 개작된 판본은 김일성 중심의 역사가 침투하여 원본과 다른 판본이 만들어지고 다른 의미로 해석되는 작품들이 허다하기 때문에 더욱더 문제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역사를 문학으로 번역하기 그리고 반공 내셔널리즘-반공 내셔널리즘을 묻는다

        남원진 상허학회 2007 상허학보 Vol.21 No.-

        I analyzed Oh Young-Jin, Kim Dong-Li, Kim I-Seok and Cha Beom- Seok’s works which translated the history such as the event in Yeosun and the Korean War into literature. These works show tragedy event of national purification by state power like mass slaughter and they are good samples which represent that the Korean history is the history of national expansion and non-national suppression. Self-internalization of anti-communist nationalism is the way to accept ruined reality and it causes nihilism which neutralizes the hope of changes unlike the author’s intention. Making the nation privatize and memorize through firm anti- communist nationalism is the result of ideological uselessness by the author. It seems that the works which translated the event in Yeosun and the Korean War into literature reproduce the historical events, but they are fiction named reality. Their works is mirror which covers up the scene of a insane bloodbath which is concealed behind pure world through anti-communist after the division of Korea In this aspect, it is very dangerous to translated history into these authors’ works. 이 글은 여순 사건과 한국 전쟁과 같은 역사를 문학으로 번역하는 작업을 한 오영진, 김동리, 김이석, 차범석의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김동리나 차범석의 문제작은 여순 사건과 한국 전쟁 당시 민간인 집단 학살이라는 권력과 국민에 의한 민족 정화의 비참한 사례를 번역한 것으로, 대한민국의 역사가 국민의 확장과 비국민의 억압의 역사임을 반증하는 하는 좋은 본보기이다. 여기서 반공 내셔널리즘의 자기 내면화는 황폐한 현실을 그대로 승인하는 방법이다. 이미 견고하게 짜인 반공 내셔널리즘의 틀 위에서 사유하고 기억하도록 코드화하게 만드는 것이 바로 작가가 펼쳐 보인 이념 무용론의 결과이다. 특히 문제의 핵심인 여순 사건과 한국 전쟁을 문학으로 번역한 작품들은 역사적 사실을 재현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사실이라 명명되는 허구이다. 이들의 문제작은 순수한 세계의 이면에 감추어진 단정 수립 이후 반공으로 가려진 광기와 살육의 현장을 은폐하는 매우 탁월한 반사경이다. 그래서 ‘공식적인’ 역사를 번역하는 문학적 실천은 정치적으로 매우 위험한 것이다. 여기서 양귀비가 마약 중독의 원료가 되듯이, 번역된 역사는 반공 내셔널리즘의 원료가 된다.

      • KCI등재후보

        남/북한의 민족, 민족주의, 민족문학론 연구

        남원진 통일연구원 2006 統一 政策 硏究 Vol.15 No.1

        The choice and exclusion that South and North Korea conceive and the logic of civilization and savagery are anti-Communism of South Korea and anti-Imperialism of the North Korea. It can be said that the discourse on the north and south literature is process of a thesis and is specialized by difference of liberalism tiImperialism). The discourse of the South and North Korean nation is logic that can confirm the justice by excluding other nations. Other nations that warrant the future of the great race or the thing that require current sacrifice is violence. The restoration of race or the period of Subject that the great leader accomplishes is respited constantly. The history of South and North Korea prove it. Therefore, he discourse of the South and North Korean race theory of literature is the logic that can confirm the justice by excluding other nations. Finally, substantial contents in the discourse of South and er, but it is imperial gaze that targets the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modern discourse that ranks nations.

      • KCI등재

        한설야의 『대동강』창작과 개작의 평가와 그 의미

        남원진 중앙어문학회 2012 語文論集 Vol.50 No.-

        Han SuIya’s Daedonggang is a novel in the three parts such as Part 1 Daedonggang, Part 2 Liberation Tower and Part 3 Ryongaksan. The evaluation for Part 1 in the early stage of the 1950s concentrated on what wer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inducting ‘Jumsoon’. The argumen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three parts in the middle of the 1950s was kept adding and emphasizing ‘the role of the party’. In particular, he stressed the role of the party through the character called ‘Dukjoon’, and indicated it repeatedly in many plain texts. Further, he also evaluated it emphasizing the roles of ‘the party and the chieftain’. It developed into unique idea system while the relation of ‘the party and the chieftain’ was reversed into that of ‘the chieftain and the party’. The novel disappeared for a while after the system was formed. It was not rediscovered as the novel of formalizing ‘the anti-American patriotic fight by the working class’ in the period of ‘Fatherland Liberation War’ until it came to Josun Literature History(11)(1994) in the 1990s. Here, it was the controversial work which enabled me to confirm the important issues in North Josun literature and cut circles by checking its step-by-step evaluations.

      • KCI등재

        한설야의 문제작 「개선」과 김일성의 형상화에 대한 연구

        남원진 韓國批評文學會 2012 批評文學 Vol.- No.44

        Han Sulya's short story A Triumphal Return involved many block books. It was adapted from the 1948 block book to the block books in coming generations continuing to discover Kim Ilsung's new aspects and modifying 'Taegukgi(the national flag of Korea)' or 'a red flag', which was frequently used in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into 'a flag' in the books, which meant denying 'the Republic of Korea' represented as 'Taegukgi', that is, incorporating it into the cold war system by its pressure. Also, it chose to secure the orthodoxy of North Josun led by the young leader called Kim Ilsung by giving a different answer about the negative eyes for him. Han Sulya tried to dissolve the misgivings raised from 'Kim Ilsung is young' and endow him with the feature of the leader for new North Josun, that is, the character of one's affectionate parents and teacher. These two desires of his gave birth to the disharmony between 'a young leader' and 'an old leader'. And they were the problems which the young leader Kim Ilsung would have to solve and difficult problems which new North Josun would have to solve. Here, formalizing Kim Ilsung and North Josun corresponds to the agony North Josun literature is in and problem it will have to solve. It is the central task resulting from the literature assuming a political problem and difficult problem. Also, further, it is the old task of establishing the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that modern literature has assumed. 한설야의 단편소설 「개선」은 여러 판본이 있었는데, 1948년 판본 「개선」에서 후대 판본 「개선」으로 여러 부분이 개작되면서 김일성의 새로운 면모를 계속 발견하는 한편 해방기에 빈번하게 사용되었던 '태극기'나 '붉은 기'가 후대 판본에서는 '깃발'로 수정되었다. 특히 후대 판본 「개선」은 '태극기'로 표상되는 '대한민국'을 부정하는, 즉 냉전 체제의 압력에 의해 냉전 체제 속으로 편입시키려는 방향으로 개작되었다. 또한 한설야의 「개선」의 핵심적 사건인 '평양시 민중대회'는 북조선이 주장하는 것처럼 김일성을 환영하는 자리가 아니라 소련군을 환영하는 자리였다. 그런데 한재덕이나 오영진 등의 평양시 민중대회에 대한 증언은 냉전체제의 압력을 실감할 수 있었는데, 한설야의 「개선」에서도 김일성에 대한 부정적 시선에 대한 다름의 대답을 제시하여 젊은 지도자가 이끄는 북조선의 정통성을 담보하려 했다. 북조선 문학예술계를 이끌던 한설야에겐 '김일성이 젊다'는 것에서 제기된 의구심을 해소해야 했으며, 또한 새로운 북조선을 이끌 지도자에 대한 특성, 즉 자애로운 어버이이며 스승의 품성을 부여하려 했다. 한설야의 이런 두 욕망이 '젊은 지도자'와 '늙은 지도자'의 부조화를 탄생시켰다. 그런데 한설야의 두 욕망은, 곧 젊은 지도자 김일성이 해결해야 할 문제인 동시에 새로운 북조선이 해결해야 할 난제이기 한 것이었다. 여기서 김일성과 북조선에 대한 형상화는 북조선 문학이 안고 있는 고민인 한편 해결해야 할 문제였다. 이는 북조선 문학이 정치적 문제를 떠맡으면서 생긴 중심 과제이며 난제인 것이었다. 또한 더 나아가서 근대 문학이 떠맡은 문학과 정치의 관계 설정이라는 오래된 과제이기도 한 것이었다.

      • KCI등재

        북조선의 정전, 윤세중의 「구대원과 신대원」론

        남원진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3 No.-

        이 글에서는 1952년 판본 「구대원과 신대원」의 창작 및 판본, 개작, 평가 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검토했다. 이 작품은 ‘인민군대의 영웅성과 동지애’를 형상화한 단편소설로 말해졌고, 발표 당대에 성과작으로 평가를 받았고, 유일사상체계가 성립된 후 ‘조국해방전쟁’ 기 성과작으로 당대 평가보다 격상됐다. 또한 북조선의 문학사나 문학선집에서도 황건의 「불타는 섬」과 함께 ‘조국해방전쟁’ 기 대표작으로 호출됐는데, 발표 당시부터 현재까지 호명된 대표적 단편소설이었다. 그리고 윤세중의 「구대원과 신대원」은 여러 차례 개작됐다. 1950년대 판본이 소설의 ‘리얼리티’를 살리기 위해 수정됐다면, 1970년대 판본은 ‘수령’의 절대성을 강화한 유일사상체계에 맞게 변모됐다. 특히 1970년대 이후 개작본은 김일성을 정점으로 한 북조선 중심의 역사 서술이 침투한 ‘북조선식 판본’이었다. 북조선의 대표적 정전이라는 이유 때문에, 필자는 이 작품에 대한 남한의 연구가 전무한 상황이라서 새롭게 발견한 원본 「구대원과 신대원」에 대해서 주목했다. 또한 이에 대해 주목했던 것은 필자가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작업인 북조선 정전의 부침이나 정전화 과정에 대한 전반적 연구를 하기 위한 것이었다. This text examined the general substance about the creation, adaptation, evaluation and so on of the 1952 block book ‘The Old Member and the New Member’, ‘which was newly found’. The work was evaluated as the short story which had formalized ‘the heroism and camaraderie of people’s army’. It kept changing in a fixed part. The block book in the 1950s was corrected to revitalize ‘the reality’ of the story, while that in the 1970s was adapted in accordance with the unique idea system of strengthening the absoluteness of ‘the chieftain’. Namely, the adaptation after the 1970s was ‘North Josun style block book’ which was penetrated by North Josun-centered historic description with Kim Ilsung as the tops. Such a work of Yoon Sejoong’s was evaluated as a famous work at the time when it was published, whereas after the unique idea system was formed it was more highly evaluated as a typical or fruitful work in the ‘Fatherland Emancipation War’ Period than in the 1950s. Also, in North Josun’s literary history or selection, the work and Hwang Gun’s ‘The Burning Island’ are the typical short stories which have been called by name from the 1950s to the present among the typical works in the period. That was why the writer paid attention to the original ‘The Old Member and the New Member’ which was newly found because South Korea had made no study on Yoon Sejoong's ‘The Old Member and the New Member’. Also, the writer aimed to make a general study on the process where the canon in North Josun rose and fell or was canonized, the work which it kept examining.

      • KCI등재

        북조선 정전집, ‘현대조선문학선집’ 연구 서설: 1980년대 중반 이후『현대조선문학선집(1∼53)』 (1987∼2011)을 중심으로

        남원진 통일연구원 2017 統一 政策 硏究 Vol.26 No.1

        We may also imagine that North Josun is ‘the most isolated and mysterious state’ or ‘an irrational state’. But it is neither an irrational state nor puzzling existence, which is also applied to its past. Unlike our imagination, at the present point of time, we need to study North Josun literature not with the ‘image’ distributed by the media and made from common sense but with objective ‘object’. 『An Anthology of Modern Josun Literature(1-53)』was reconstructed mainly by Giyoung Lee, an author of ‘proletarian literature’, and others, but it also restored many authors who had been classified as authors of ‘bourgeois literature’ like Gwangsoo Lee and others. When this anthology was re-created and monopolized, poems, fictions, dramas, essays, criticisms and so on were not only rearranged from ‘literature of enlightenment’ to ‘literature in the early 1940’s’ but also the ‘revolutionary songs’ called the ‘creations’ by Ilsung Gim’ and others were included. The anthology tried to reconstruct or re-create a topographical map of Josun literature in the magnetic field of ‘subjective literature theory’, which tried to put together not only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ture’ but also ‘bourgeois literature’ and ‘proletarian literature’ from the viewpoint of ‘ethnic cultural heritage’. That is, it is a project with the concentric structure with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ture’, which was said to be Ilsung Gim’s ‘creation’, as a nucleus. Therefore, it is needless to say that from the viewpoint of subjective art and literature theory it is cultural political planning which has rearranged each work by scouting for a new meaning in it. Just as ‘A Complete Collection of Modern Literature’ of South Korea is ‘a product of high culture’ under a capitalistic system, ‘An Anthology of Modern Josun Literature’ of North Josun is ‘a political advertisement’ under a socialistic system. In fact, collections of canons were reconstructed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a capitalistic or socialistic system, or such desire was revealed. In the present reality, a study on North Josun literature may also enable me to find a new directionality or possibility beyond others’ eyes of South and North literature. Of course, a logic of self-relativization is necessary where the subject and others are put together and met beyond the subject’s subjectivity. 우리는 북조선이 ‘가장 격리되고 불가사의한 국가’나 ‘비이성적인 국가’라고 상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북조선은 비이성적인 국가나 수수께끼 같은 존재도 아니며 그랬던 적도 없었다. 또한 북조선 문학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하듯, 현 시점에서 우리는 미디어에서 배포되고 상식에서 만들어진 ‘이미지’가 아니라 객관적 ‘실물’을 갖고 북조선, 또는 북조선 문학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해방전편’『현대조선문학선집』은 ‘프롤레타리아문학’의 작가인 리기영 등을 중심으로 재구성했지만, 이광수 등과 같은 ‘부르주아문학’ 작가로 분류됐던 많은 작가들도 복원됐다. 이 선집의 재창조와 전유 작업에서는 ‘계몽기 문학’에서 ‘1940년대 전반기 문학’까지 시, 소설, 희곡, 수필, 평론 등을 재배치했을 뿐만 아니라 김일성 등이 ‘창작’한 것으로 호명된 ‘혁명가요’들을 중심으로 배치됐다. 이는 ‘민족문화유산’이라는 관점에서 ‘항일혁명문학’을 핵으로, ‘프롤레타리아문학’과 ‘부르주아문학’을 서열화하고자 한 ‘주체문학론’의 자장에서, 조선문학의 지형도를 재구성 또는 재창조하고자 했던 것이다. 즉, 이 선집은 김일성이 ‘창작’한 것으로 말해진 ‘항일혁명문학’을 중심핵으로 근접성의 원리를 따른 동심원 구조를 가진 기획이다.(항일혁명문학 - 프롤레타리아문학 - 부르주아문학) 또한 이 선집은 역사와 문학의 상동성을 드러낸 강력한 증표이다. 이는 북조선의 역사와 문학이 빚어낸 강력한 정치적 욕망 또는 열망을 표출한 증좌이다. 따라서 ‘현대조선문학선집(해방전편)’이 주체문예론의 관점에서, 각 작품에 새로운 의미를 발굴하여 재배치한 문화정치적 기획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남한의 ‘현대문학전집’이 자본주의 체제의 ‘고급문화상품’이듯, 북조선의 ‘현대조선문학선집’은 사회주의 체제 하의 ‘정치선전물’이다. 이는 자본주의나 사회주의 체제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정전집을 재구성했다는 사실, 또는 그러한 욕망이 발현됐다는 것이다. 하지만 근대문학의 관점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지금의 현실에서, 북조선 문학 연구는 남북 문학이라는 타자의 시선을 넘어선 새로운 방향성 또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게 할지도 모른다. 여기서도 주체의 주관성을 넘어 주체와 타자를 아우르고 만나는 자기 상대화의 논리가 필요함은 물론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