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한의 중관 공사상 연구 현황과 문제점

        남수영(Nam, Soo-Young) 한국동양철학회 2002 동양철학 Vol.1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situation and the problem of the study on the Śūnyatā theory of Madhyamaka in south and north Korea. So, present writer examine some writings which are writed by south and north Korean scholars in modern times. As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present writer confirm some things as follow. The study on the Śūnyatā theory of Madhyamaka in south Korea seems to have two tendencies. The one is looking upon the Śūnyatā as really, and the other one is explaining the Śūnyatā theory through Pratītyasamutpāda theory.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s of the study are two kinds also. The one is distorting the text by explaining it through some conclusions which is previously seted up by oneself, and the other one is hastily asserting some conclusions before presenting textual basis. Present writer think of that those problems arise from which the text of Madhayamaka have not been translated into korean, and the scholars are difficult to find the result of study on that topic performed before. The study on the Śūnyatā theory of Madhayamaka in north Korea seems to lack of scholastic research by influence of the 'Subject Thought'. So, it seems moving onward in critical or political standpoint chiefly. Namely, the study of north Korea seems to lack of exact and correct understanding about Śūnyatā theory of Madhayamaka by political interference.

      • KCI등재

        정동이미지의 문화적 출현

        남수영(Soo Young Nam) 한국비평이론학회 2022 비평과이론 Vol.27 No.2

        이 연구는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가는 어떤 시점에 등장한 정동이미지의특성을 동시대를 대표하는 영화예술의 구성과 겹쳐봄으로써 영화의 구성을 탈시각적으로 탐색해보려는 시도다. 이를 위해 특히 정동이미지와 영화가 공유하는 무표정한 얼굴과 분절된 움직임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이는 서사영화에서 쉽게 간과되는 과잉이미지들의 물성을 재고하기 위함이었다. 기존 영화연구가 인접예술 중에서는 문학이나 연극과의 비교를 주로 하였다면 본 연구는 좀 더 신체 중심 예술의감각들인 리듬성, 그리고 포즈의 조형성 등에 주목하여, 영화의 의미구성에 가장중요한 역할을 하는 몽타주가 어떻게 새로운 사유방법이자 동시에 지각 방식인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의 몽타주 연구가 의미구성을 위한 최적의 구조로서 그 재료인 이미지와 움직임을 수용하였다면, 본 연구는 의미화가 실패하는 지점에서의 형상과 그 감각적 경험에 집중하였다. 종합하면 이글의 논의는 영화의미의구성과 경험을 투명성을 추구하는 시각담론의 연장선에서가 아니라, 촉각성, 반응성, 상호작용성 등이 함께 작용하는 다중감각으로 확장 이해하기 위한 시발점으로서 유의미하다. 이 연구는 앞으로 영화라는 매체예술과 표현도구로서 신체를 갖는타예술과의 접점을 본격적으로 탐색하는 후속 연구로 이어질 것이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overlap the characteristics of the affective image that appeared at the turn of the century around 1900 with the composition of film art.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the expressionless face and still movements as shared characteristics between the affective image and the elements of montage. While the existing film studies have often compared film mainly with literature and occasionally with theater among adjacent arts, this study focuses more on body-centered arts, such as dance and sculpture, which deal with senses of rhythm and formative gestures. Along the line, I try to suggest how montage is a new way of perception rather than thought, which, in turn, is to reconsid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excessive images that are easily overlooked in the analysis of cinematic structure of meaning. Furthermore, introducing the sense of touch is an attempt to expand and understand the composition and experience of film meaning, differentiated from the mainstream discourses centering on the visuality and transparency. Tactile acceptance now attracts attention as a synaesthetic element that can be discussed along with visuality. Such discussion may explain various arts of alternative perception of today that are experienced in a distracted way through dispersed media and platforms. This study can be one starting point to explore in earnes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lm/media art and other arts that use the body as a means of expression.

      • KCI우수등재

        중관학파에서 무상정등각의 성취

        남수영(Nam Soo young)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5 No.-

        불교의 여러 학파들은 불타의 가르침을 진리로 받아들이면서도 깨달음을 서로 다르게 해석함으로써 서로 논쟁하였다. 따라서 여러 불교 학파들의 깨달음 해석을 올바르게 이해하려면, 그들의 깨달음 해석을 그들 각자의 사상적인 맥락 속에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그런 필요에 따라 용수 및 월칭의 저술과 반야 계통의 경론을 중심으로 해서, 중관학파에서 설하는 무상정등각의 성취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대승불교에 속하는 중관학파에게 수행의 최고 목적은 무상정등각의 성취이다. 본래 초기불교에서 무상정등각이란 ‘사성제에 대한 최고의 올바르고 완전한 깨달음’을 의미하는 말이었지만, 􋺷대지도론􋺸에서 그것은 일체법의 총상과 별상을 모두 아는 지혜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여기서 대승의 보살이 자신의 열반을 보류하고, 무상정등각의 성취를 바랐던 이유를 알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보살의 서원은 모든 중생을 걸림없이 제도하는 것이고, 그것은 무상정등각(=일체종지)을 성취함으로써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용수와 􋺷반야경􋺸에 의하면 무상정등각의 성취를 위해서는 세 가지 조건이 갖추어져야 한다. 그것은 자비심(慈悲心), 보리심(菩提心), 반야지(般若智)이다. 그 셋은 다음과 같이 관련되어 있다. 자비심은 보리심의 바탕이다. 왜냐하면 보살은 자비심 때문에 보리심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반야지는 자비심과 보리심이 성취되도록 돕는다. 왜냐하면 반야지는 보살의 자비와 육바라밀을 무희론과 무집착의 청정한 것으로 만들어 보살이 무상정 등각을 성취하도록 돕기 때문이다. 월칭의 􋺷입중론􋺸에 의하면 보살은 자비심, 보리심, 반야지를 바탕으로 제1환희지로 부터 제10법운지에 이르는 여러 단계에서 십바라밀을 완성하고 무상정등각을 성취함으로써 마침내 불지(佛地)에 도달하게 된다. 불지에 도달하여 불타가 된 보살은 무상정등각(=일체종지), 삼신(三身), 십력(十力)과 함께 사선(四禪), 사무량(四無量), 팔등지(八等至) 내지 십바라밀(十波羅蜜) 등의 여러 공덕을 갖추고 걸림없이 중생을 제도하게 된다. The Buddhist schools debated each other, interpreting the notion of enlightenment differently, while accepting Buddha’s teaching as truth. So, to understand correctly the enlightenment interpretations of Buddhist school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ir enlightenment interpretations according to their ideological contexts. According to such necessity, this paper examined the perfect enlightenment (無上正等覺) of Madhyamika, centering on the Madhyamika and Prajñāpāramitā literatures. For Madhyamika, the highest goal of practice is the achievement of perfect enlightenment. In early Buddhism, the perfect enlightenment refers to the perfect enlightenment on the four noble truths, however, in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大智度論􋺸), it is used as the knowledge of the common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all things, At this point, we can know why Mahāyāna Bodhisattvas wish the perfect enlightenment. According to Nagārjūna (龍樹, 150-250), three conditions must be met for the achievement of perfect enlightenment: the mercy for all creatures (慈悲心), the wish of perfect enlightenment (菩提心), and the knowledge of emptiness (般若智). The mercy for all creatures is a basis of the wish of perfect enlightenment. The knowledge of emptiness helps to complete the mercy for all creatures, which is followed by the wish of perfect enlightenment to be completed. According to Candrakīrti (月稱, 600-650), Bodhisattvas arrive at the Buddha stage (佛地) with achievement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which can be completed through the completion of 10 paramitas (波羅蜜多). The 10 paramitas can be achieved through 10 stages of practice from the 1st joy-stage (歡喜地) to the 10th truth-cloud-stage (法雲地), based on the mercy for all creature, the wish of perfect enlightenment, and the knowledge of emptiness. A Bodhisattva who attains the Buddhahood keeps the perfect enlightenment and many other strengths to save all creatures freely.

      • KCI등재

        일상의 초상, 그리고 쓰레기의 정치학: <웨이스트 랜드>와 무니스의 작품을 중심으로

        남수영 ( Soo Young Nam ) 한국비교문학회 2014 比較文學 Vol.0 No.64

        다큐멘터리는 담론의 생산에 기여하는 역할로 사회적 예술의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큐멘터리는 ‘재현 장르’로서 주제의 진실된 재현이라는 소명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담론의 생성과 진실된 재현이라는 이 두 가지 요소는 다큐멘터리 정치성을 설명하기에 충분하지만, 이로 인해 다큐멘터리가 기존의 가치체계와 감각 체계에 끼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은 상대적으로 무시되었다. 이글은 다큐멘터리가 추구하는 재현의 진실성은 변화 없는 동일성을 전제로 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주장하며, 다큐멘터리에 요구되는 동일성의 미학과 사회학은 현 체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자본주의적 장치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우리는 다큐멘터리적 재현 안에서 개인과 집단의 정체성에 얽매이기보다, 예술이 보통의 삶을 담아내는 것의 한계와 가능성을 따져볼 필요가 있다. 민중의 재현들이 주목받고, 또 그를 통해 정당한 인식을 이끌어 내고, 때로는 혁명을 성공시키는 촉발제가 되었다 하더라도, 끊임없이 새로운 주인공이 기입되는 소위 ‘이름 없는 자’의 고통은 반복 지속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웨이스트 랜드>(Waste Land, 2010, 루시 워커 감독)는 분명 정치적인 영화다. 하지만 그 정치성은 영화가 담아내고 있는 예술적 실험에서 더욱 빛이 발한다. 영화는 소외된 자, 즉 몫을 부여받지 못한 자들을 재현하고 있기에 유의미하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정치적 의미는, 영화의 재현 주제(subject of representation), 즉 남들이 밑바닥이라고 부르는 환경 속에서도 스스로의 삶과 사회의 인식을 바꿔나가는 주인공들이 오늘날의 거대 자본주의가 주도하는 목적 적합성에 의한 가치 체계를 뒤엎을 수 있는 변화 가능성을 몸소 매개하는 역사적 주체라는 데에 있다. 이러한 주장을 위해 이글은 <웨이스트 랜드>가 불러일으키는 카타도어들 삶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논란을, 동일성의 사회학이 지닌 한계로 지적한다. 허구적 동일성에 속박된 분류체계를 벗어나, 우리는 영화와 작가 무니스가 표면화하는 쓰레기의 미학을 재발견하고, 우리를 둘러싼 가시적 체제를 넘어서는 새로운 가치체계를 가능하게 하는 정치의 핵심으로 인식할 수 있다. <웨이스트 랜드>는 수많은 다큐멘터리들이 그러하듯,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일하는 민중에 대한 재현이며, 또한 그들만이, 설사 지배 이데올로기와 거대 구조를 알지 못한다 하더라도, 우리를 둘러싼 가시적 체제를 넘어서는 새로운 세계에 대한 꿈을 되새기는 담지자(膽智者)라는 것을 증명한다. Documentary constitutes a social art by contributing to the production of social discourses. Nevertheless, documentary as a representative genre is not free from the calling of truthful representation of the subject. Production of discourses and the truthful representation might suffice to explain the politics of documentary, which, on the other hand, is rather reductive, failing to recognize its possible clout to the pre-existing system of value and sense. This paper argues the truthful representation documentaries pursue should not belie totality without possibility of change, in order to ask in return the aesthetics and sociology of identification might be a capitalist apparatus designed to maintain such pre-existing value system. Therefore, it is worthwhile to examin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n which documentary portrays ordinary lives, rather than to attend to either individual or collective identities in its representations. For it is also true that pain of people repeats and continues, despite the fact that various representations of ‘demos’ draw attention, elicit proper recognition, and even unleash storms of revolution. Waste Land (2010, Lucy Walker) is surely a political film. But the politics is more salient in the aesthetic experiments it represents. In other words, the film is political, not because it represents the nameless, people without share, but because the subject of the representation mediates themselves as historical subjects demanding changes in purpose-centered system of value ever more reinforced in the late capitalism. For this argument, this essay points out that the controversy on the possibility of change of reality of catadors raised by Waste Land proves limitations of sociology of totality and identity. Which is to contend that the reality highlighting such system of classification be constrained by artificial identity. This is clearly revealed by Muniz’s attempts and experiments and by the politics of garbage the film foregrounds. Such politics will permit new system of value other than the one dominating the current order between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Waste Land, like many other documentaries, represents people who work in blind corners, and reveals that only these people, with or without the knowledge of dominant ideology and its massive structure, bear dreams for a new world beyond the system of senses, beyond the fictional reality toward a new history.

      • 용수의『중송』에서 고통의 발생과 소멸

        남수영(Soo-young Na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2 불교와 사회 Vol.4 No.-

        논자는 본 논문에서 용수가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사성제와 삼보가 모두 파괴된다고 주장하는 이유와 그가 무자성론에 근거해서 설명하는 고통의 발생과 소멸을 『중송』및 그에 대한 월칭과 청목의 주석을 중심으로해서 살펴보았다. 그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자성은 인연(因緣)을 기다리지 않고 결정되어 있으며,자성은 변화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해진다. 그러므로 유자성론에서 여러 법의 발생과 소멸은 올바르게 설명될 수 없으며,고통의 발생과 소멸을 중심으로 하는 사성제도 올바르게 설명될 수 없다. 또한 유자성론에서는 사성제가 성립하지 못하기 때문에 삼보도 성립하지 못한다. 한편 용수의 『중송』에서 고통의 발생은 공성의 비자각 → 희론의 발생 → 분별의 발생 → 번뇌의 발생 → 업의 발생 → 고통의 발생으로 설명되고 ,고통의 소멸은 공성의 자각 → 희론의 소멸 → 분별의 소멸 → 번뇌의 소멸 → 업의 소멸 → 고통의 소멸로 설명된다.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 근거한 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과 용수의 무자성 론에 근거한 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즉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자성의 개념은 인연의 부정,인과의 부정,생멸의 부정을 내포하기 때문에,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이 모두 힘들어지지만, 용수의 무자성론에서는 일체법이 비존재의 자성을 가진다고 말하지 않기 때문에 고통의 발생을 설명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존재의 자성을 가진다고 말하지 않기 때문에 고통의 소멸을 설명하는 것도 용이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용수에게 일체법의 무자성성과 공성을 자각하는 것은 고통을 소멸하고 열반을 성취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이다. 그리고 무자성성과 공성에 대한 자각은 연기에 대한 자각으로부터 얻어진다. 즉 연기인 사물은 무자성이고, 공이고, 가명이고, 중도인 것이기 때문에, 존재성과 비존재성을 갖지 않는다. 그러므로 수행자는 일체법이 연기의 결과물이라고 하는 진실을 깨달음으로써, 모든 사물들이 마치 석녀의 딸처럼 무자성이고 공인 것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그와 같은 자각에 의해서 희론과 분별과 번뇌와 업이 차례로 소멸하고 나아가 윤회의 고통도 소멸하게 된다는 것이다. 『중송』에서 발견되는 세 종류의 연기설과 공성의 자각, 그리고 열반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즉 세속제에 근거해서 설해진 가르침인 12연기설과 상호의존적 연기설에 의해서 일체법은 무자성이고 공이라는 승의제가 알려진다. 또한 수행자는 승의제에 근거해서 설해진 가르침인 팔불연기설을 통해서 승의제를 더욱 분명하게 깨닫게 된다. 그리고 그는 그런 깨달음을 통하여 희론과 분별과 번뇌와 업이 소멸하고, 윤회의 고통도 소멸한 ‘길상(吉i洋)의 특징인 열반’에 도달하게 된다는 것이다. The present writer has examined the reason as to why Nāgārjuna asserts that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three jewels are destroyed in the self nature theory of Sarvāstivāda, Nāgārjuna's explanation of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based on the no-self nature theoty centered on Mūlamadhyarnaka-kārikā as well as in the commentaries of Candraldrti and Pirigala of this article. In summary, they are as follows. The Sarvāstivāda says that the self nature of dharma is determined to not wait for a cause and condition, and never change. Therefore, the self nature theoty of Sarvāstivāda can not exactly explai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dharmas and the four noble truths, which are the explanation o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If the four noble truths can not be established, the three jewels also can not be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the appearance of suffering is explained as follows the non awareness of emptiness → the appearance of amplification → the appearance of mistaken idea → the appearance of affliction → the appearance of action → the appearance of suffering.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is explained as follows : awareness of emptiness → the disappearance of amplification → the disappearance of mistaken idea → the disappearance of affliction → the disappearance of action →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in Mūlamadhyarnaka-kārikā of Nāgārjuna. The comparison of the two explanations of Sarvāstivāda and Nāgārjuna o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shows the following facts. The Sarvāstivāda can not exactly explai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because the conception of self nature contains the negation of cause and condition, the negation of cause and effect, and the negation o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However, Nāgārjuna can explain the appearance of suffering because he does not claim the self nature of non-being to all dharmas, but can explain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because he does not claim the self nature of being to all dharmas. Therefore, the awareness of non self nature and the emptiness of all dharmas is the most important requisite for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and for the achievement of nirvāna. Further, the awareness of non self nature and the emptiness of all dharmas is obtained by the awarenes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All of the dependent originated things can not have self nature of being or non being, because they are non self nature, emptiness, provisional name, and the middle way. The disciplinant becomes aware that all things are non self nature and empty, similar to a barren woman's daughter by the awareness that all things are output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And through that awareness, the amplification cation, the mistaken idea, the affliction, the action disappear one by one; his suffering of transmigration disappears last. The relation of the three kinds of theories on dependent origination, the awareness of emptiness, and nirvana is as follows. The highest truth of non self nature and the emptiness of all dharmas become known by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the interdependent origination, which are suggested by the mundane truth. Also, the disciplinant becomes more clearly aware of the highest truth by the eightfold negation dependent origination, which is suggested by the highest truth. Finally, he obtains auspicious nirvana by clear awareness, in which amplification, mistaken idea, affliction, action, and the suffering of transmigration disappear.

      • KCI등재
      • KCI등재

        `필연의 아카이브`로서의 영화 : 침묵의 이미지와 재현불가능 사이

        남수영 ( Soo-young Na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9 No.-

        우리는 다양한 기록들에 대해, 아카이브의 의미와 역할들을 이야기해왔다. 그 중에서도 영화이미지는, 바쟁이 `미라`로 비유했던 바와 같이, 영화적 서사의 매개체를 넘어 현실 일부에 대한 아카이브가 된다. 본 연구는 다큐멘터리처럼 영화의 의미 생성과정과 그 담론에 초점을 맞추면, 영화는 증언에 가깝게 이해할 수 있지만, 변화의 기록이라는 영화의 본성에 따라 이미지의 역할을 탐구하면, 아카이브의 본질을 마주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영상기록으로서의 이미지에 갇힌 기계인형으로서의 움직임들은 신체의 비의지적 움직임들과 언어를 거부하는 사건들을 아카이빙한다. 그럼으로써, 그 이미지들은 단순히 연대기적 과거의 일부로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 상실과 불가능의 기록으로 남는다. 이 연구는 아감벤의 이론을 중심으로, 영화의 움직임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을 활용, 영상이미지가 신체와 사건을 포착하고 의미화하는 과정에 나타나는 아카이브적인 특성은 바로 그러한 의미화가 실패하는 지점에서 나온다고 주장한다. 아카이브 이미지는 죽음과 과거라는 역사와 `변화의 미라`라는 매체적 본성이 교차되면서 포획불가능의 난입이라는 역설을 기록하고 있는데, 불가능할지라도 증언에의 시도를 거부할 수 없는 것으로 불러내는 것이 바로 아카이브의 역할이라 주장한다. 필연의 아카이브란 비인간의 시대 생존을 위한 필수품으로서 기록을 가리킨다. Having faced the overflow of different forms of documents, we have groped for meanings and roles of such archives. Especially, film images are deemed archive images to various parts of reality, as Andre Bazin implicates with analogy of mummification. This essay contends not only documentary but cinema in general are akin to testimonial acts, which focus on discursive aspects. Yet, close analysis of the nature of cinema(tograph), we hit upon the essence of archives: as filmic documents, like automatons locked up in images showing involuntary movements of body but archiving non-verbal events at the same time, cinematic images remain as documents of loss and the impossible, not just resuscitates some parts from the past in chronology. Centering on Giorgio Agamben`s theory of testimony and archives, I employ cinematic discourses of movement to argue the archive is characterized as the failure of signification. Ironically such archives bear witness to irruptions of the ungovernable and the irrepresentable in the junction of the historical time and cinematic construction. Impossible as it may seem, it is the archive that makes any trials of testimony imperatives for survival. “Necessary archives” means we need some records of impossible living as a bare necessity to live out this time of inhumanity.

      • KCI등재

        복제 이미지의 초상 - 번역과 리메이크

        남수영 ( Nam Soo-young ) 한국비교문학회 2017 比較文學 Vol.0 No.73

        기계적 복제시대, 이미지는 특별한 양가적 시간성을 지닌다. 이에 주목하면 ‘비매개적인’ 현상으로서 ‘복제’가 불러일으키는 인지와 그에 따른 새로운 인식은, 시각 문화의 영역에서 새로운 의미화의 영역이 될 수 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본 논문은 바쟁(Andre Bazin)의 ‘비순수영화를 위한’ 변명을 화두로, 얌폴스키(Mikhail Iampolski)의 번역과 복제에 대한 구분을 사용하여, 오늘날 활발히 이루어지는 영상매체간 각색이 영화에서 활발한 재매개 현상을 명시하고 번역의 개념이 내포하는 목적론을 타파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는 엘리트 중심의 담론 생산을 해체하는 대중의 통찰력이 확대됨을 추적할 수 있다. 얌폴스키는 번역이 특정 시간과 공간으로부터의 고유함을 유지하려는 시도임에 반해 리메이크의 기본 요소인 복제는 적극적으로 낡은 요소들을 당대적인 것으로 대체한다고 주장하는데, 결과적으로 번역이 철저히 과거지향적이라면 후자는 과거에 대한 기억을 억압하고 현존성을 증명할 대용품들을 끊임없이 제공한다는 차원에서 이미 개선된 현실을 지시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으로부터 우리는 오늘날 리메이크가 복제 이미지의 문화, 사회적 의미를 증명하고 있음을 인정하고, 복제에 기반한 창작의 새로운 측면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복제는 예술의 유일성에 반하는 복제, 즉 대중화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복제로서, 오늘날 더 이상 익숙하지 않은 것을 다시 낯익게 하는 것이며, 더 나아가 이전에 없던 것을 반복을 통해 인식하게 함으로써, 이전에 없었던 새로운 ‘(재)인식’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오늘날 ‘소멸’에 대처하는 복제의 시도들은 대중적으로 유통되는 정보를 재평가하며 궁극적으로 문화적 차원의 지적 평등의 가능성을 환기시킨다. Through explicating a French film theorist Andre Bazin’ idea of mixed cinema and a Russian theorist Mikhail Iampolski’s theory of translation and reproduction, I would like to argue todays’ prevalence of intermedial remakes not only manifests active remediation in film which dismantles the teleological understanding of translation, but it also expands artistic insights of the public which will be the force to stultify the cartel of discourse-producing elites.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the ambivalent temporality of images of mechanical reproduction and argues that the aspect of recognition taking place in the course of ‘immediate’ reproduction become the new domain of cultural signification. Iampolski elucidates that copying, a fundamental element of a remake, is actively replacing old elements with contemporary ones, whereas translation is an attempt to preserve the uniqueness of a particular time and space. As a result, if the translation is strictly past-oriented, the latter directs an improved future by constantly providing alternatives and suppressing memories of the past in the process. From this awareness, this essay argues that today's remake sheds lights on the cultural and social meaning of the cloned image. That is to say, reproduction, as contrary to the uniqueness of art and as an important part of popularization, generates re-familiarization of things that are no longer familiar today, and thereby enables a new '(re-)cognition' that was not previously possible. In summary, attempts at duplication to cope with the 'extinction' of today revaluate the information circulated in the public and ultimately evoke the possibility of intellectual equality at the cultural level.

      • KCI등재
      • KCI등재

        유식학파의 중도 개념 재검토 -『중변분별론』을 중심으로-

        남수영 ( Nam Soo-young )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50

        Madhyamika and Vijn anav ada are the main schools of Mah ay ana Buddhism, but the middle way conceptions of the two schools are not same. Because Nag arjuna uses the middle way as same meaning to the sunyat a, explaining the middle way as the neither being nor non-being(非有非無), but Vijn anav ada use the middle way as different meaning to the sunyat a, explaining the middle way as the neither emptiness nor non-emptiness(非空非不空). Here a question arises as follows. `Why Vijn anav ada insists on a new middle way denying Nagarjuna`s middle way?` So this writer studied the motive of the middle way conception of Vijn anav ada. The Vijn anav ada`s middle way conception is the critique of the dharma existence theory(法有說) of scholastic buddhism and the dharma emptiness theory(法空說) of Madhyanika. Because the three items, composing the middle way conception of Vijn anav ada, the being of false imagination( 虛妄分別), the being of emptiness(空性), and the non-being of apprehended-apprehender(所取-能取) are the critiques of the dharma existence theory of scholastic buddhism and the dharma emptiness theory of Madhyamika. Vijn anav ada be seemed to have critical attitude to the dharma existence theory of scholastic buddhism and the dharma emptiness theory of Madhyamika from the beginning. Because according to mention of Samdhinirmocana- sutra etc., the occurrence motives of Vijn anav ada are seemed to ①the critique of dharma existence theory of scholastic buddhism, ②the critique of dharma emptiness theory of Madhyamika, and ③the establishment of new buddhist thought of Vijn anav ada. The motives of middle way conception of Vijn anav ada are same as the occurrence motives of Vijn anav ada. To sum up, the middle way conception of neither emptiness nor non-emptiness of Vijn anav ada is a frame conception for establishing Vijn anav ada as new Mah ay ana Buddhism, by criticizing of the dharma existence theory of scholastic buddhism and the dharma emptiness theory of Madhyamika, and by explaining central conceptions of Buddhism, the repetition of rebirth, the ultimate liberation, and the emptiness etc. through new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