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중독과 직무열의 다차원 모형을 이용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남기은,이선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6 No.1

        일중독과 직무열의는 일에 많은 에너지를 투자한다는 특징을 공유하면서도 개인 및 조직에 상반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많은 연구자들의 흥미를 끌어왔다. 본 연구는 일중독과 직무열의가 다차원적 구성개념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일중독과 직무열의의 핵심 특성 그리고 이 두 변인의 관계 및 개인과 조직에 미치는 효과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두 변인의 하위차원 수준에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개의 독립적인 직장인 표본을 이용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일중독과 직무열의가 모두 높은 ‘직무열의가 높은 일중독 집단’, 둘 중 하나만 높은 ‘일중독 집단’과 ‘직무열의 집단’, 그리고 둘 다 낮은 ‘저관여 집단’ 등의 네 개의 잠재프로파일 존재를 확인하였다. 이 잠재프로파일들은 직무만족, 정서적 몰입, 맥락수행, 이직의도, 정서적 소진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들은 일중독과 직무열의 간의 공통점과 차별성, 그리고 이러한 특성이 개인의 안녕과 조직효과성에 부정적 혹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 KCI등재

        다차원 일중독 척도(Multidimensional Workaholism Scale, MWS) 타당화 연구

        남기은,이선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5 No.1

        본 연구는 최근 미국 표본을 이용하여 개발된 ‘다차원 일중독 척도(Multidimensional Workaholism Scale, MWS)’가 한국 직장인들의 일중독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문항간 신뢰도, 측정 동일성, 변별타당도, 준거 타당도의 증거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MWS 척도는 한국 표본에서도 양호한 신뢰도를 보였으며, 다양한 측면에서의 타당도도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한국 직장인 표본(N=358)에서 양호한 문항 간 신뢰도를 나타냈다. 둘째, MWS는 한국 표본에서도 미국 표본(N=407)과 동일하게 행동, 인지, 동기, 정서 4개의 하위차원을 측정하고, 하위차원별 문항과 요인계수도 두 집단 간에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관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일중독과 직무열의 간의 변별타당도의 증거를 보여주었다. 넷째, 한국 표본 중 2차 조사에 참여한 228명의 자료에 대한 단순 상관분석 결과, 일중독은 정서적 소진, 가정-직장 갈등, 직장-가정 갈등, 및 근무시간과 기대하는 관계를 보였다. 단순 상관에서 기대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직무만족, 삶 만족, 신체증상도 직무열의를 통제했을 때 일중독과 기대한 관계를 보였다. 이는 MWS의 준거타당도 증거를 제시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일중독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관련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수면의 양과 질이 대인일탈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기연구를 이용한 부정정서의 매개효과 검증

        남기은,이선희,지옥영 한국건강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urth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and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 We tested a multilevel mediation model, where sleep quantity and quality influence negative affect, which influence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s. A total of 74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using the diary method to collect the quantity and quality of nightly sleep and the negative affect and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s over a six-day period. The quantity of sleep was measured using a smart band while the quality of sleep was measured using a self-report. As a result of the multilevel mediating model analysis of 368 daily data, the better the quality of sleep the night before, the less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 the next day, and the effect was completely mediated by negative affect. However, the effect of the quantity of sleep on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sleep quality. We discus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offer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수면이 부정적 대인관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정정서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일기연구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총 7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6일에 걸쳐 아침에는 전날 밤의 수면의 양과 질을, 저녁에는 하루 동안의 부정정서 경험과 대인일탈 행동을 측정하였다. 이때 수면의 질은 자기보고로, 수면의 양은 스마트 밴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368개 일(day)수준 자료에 대한 다수준 매개모형 분석 결과, 수면의 질이 높을수록 다음날 대인일탈 행동을 적게 하였으며, 이러한 대인일탈 행동에 대한 수면의 질의 효과는 부정정서에 의해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날 밤 잠을 적게 잔 날일수록 다음날 대인일탈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러한 수면의 양의 효과는 수면의 질을 통제했을 때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와 아울러 향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훼방행동이 이직의도 및 맥락수행에 미치는 영향

        남기은(Gi Eun Nam),이선희(Sunhee Lee)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연구 Vol.25 No.2

        Using the framework of Affective Event Theory,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undermining from supervisor and co-workers on target persons’ turnover intention and contextual performance, and whether the effects were mediated by negative affect. Structural equational models were fit to a web survey data from 333 workers. As predicted, high levels of social undermin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igh levels of turnover intention and low levels of contextual performance. The effect of social undermining on turnover intention was fully mediated by negative affect.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social undermining-contextual performance relationship was not mediated by negative affect. The study discussed the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 KCI등재

        일중독과 직무열의가 수면에 미치는 영향: 경험표집방법을 통한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 검증

        이선희,남기은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2 No.4

        Although both workaholism and job engagement are known to share the behavioral tendency of heavy work investment, the underlying motivations as well as implications for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differ from each other.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current study used a daily diary study to examine how workaholism and job engagement influence sleep quality through psychological detachment.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the data collected from 89 employees of an organization over five days showed, as expected, workaholism had negative effects on sleep quality through psychological detachment. Further, the study showed that workaholism acted as a suppresso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That is, after controlling for workaholism,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increased. However, the hypothesis that job engagement positively influences sleep quality through psychological detachment was not supported. The findings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the negative effect of workaholics, and also raise the need to re-examine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job engagement.

      • KCI등재후보

        합병기업의 기업문화 구성요소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박근석,김종림,남기은,Park, Kun-Suk,Kim, Jong-Lim,Nam, Ki-Eu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0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1 No.1

        합병기업에 있어 기업문화의 통합은 M&A의 성공 여부를 좌우하는 중요한 변수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합병기업의 기업문화 통합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근거로 개념적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이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Pascale & Athos 및 Peters & Waterman이 제시한 7개의 기업문화 구성요소와 조직유효성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합병기업의 기업문화 구성요소가 조직유효성 중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문화의 모든 구성요소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합병기업의 기업문화 구성요소가 조직유효성 중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문화 구성요소 중 공유가치를 제외한 모든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합병기업의 기업문화 구성요소가 조직유효성 중 조직융합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문화 구성요소 중 사업능력 및 기술력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문화 구성요소 변수를 확인하고 그것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탐색적 연구라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Integrating corporate culture in a merger enterprise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o decide M&A success. This study established a conceptional model according to the preceding study on integrating corporate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formulated a hypothesis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a seven factors of corporate culture proposed by Pascale & Athos and Peters & Waterma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ult of applying multi-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is is as follows; firstly, all of a merger enterprise's cultural factors have meaningful influence on job involvement amo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ly, all of them have sincer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mo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xcept shared value; and thirdly, all of them except skil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harmony amo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is a significant empirical and exploratory study to ascertain the variables of corporate culture factors, and to verify their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