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을 위한 진로성숙도 타당화

        남궁정(Nam Kung Jeo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4 교육평가연구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진로에 관한 준비도를 측정하는 다양한 검사도구의 활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Crites의 진로성숙 이론의 관점에서 진로 성숙에 관한 다차원적인 접근을 시도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진로 성숙도 검사의 개념 모형을 만든 후에, 그 모형에 입각해서 제작한 기존 진로성숙도 도구(송인섭, 1995)를 여러 부분에서 수정ㆍ보완하고 새로운 영역과 문항을 첨가하여 타당화를 거쳤다. 이 연구는 각 검사 문항을 개발하기에 앞서 2003년도 12월 겨울방학 시작 전에 서울 및 수도권에 있는 중ㆍ고등학생 200여명을 대상으로 직업세계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문항 개발시 새로운 직업분야를 다량 포함시켰다. 청소년의 진로와 직업선택에 관한 중요성이 더욱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직업군도 정교화되고 새로운 직업이 꾸준히 생성ㆍ소멸되고 있다. 또한, 나날이 직업의 세계가 세분화되고 첨단의 영역이 계속 개척되는 반면에 진로성숙도에 관한 문항은 세월이 많이 지난 지금도 오래 전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요즘의 실정과는 맞지 않는 영역이 많이 있다. 따라서, 지금의 직업세계 영역을 잘 반영하고 현실과 거리감이 없는 검사도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investigations of existing test inventory in order to develop career maturity inventory which fit to our country's educational, social environment and adolescent's developmental situational and making validity of test inventory through developing new items. The concret object are as follows. 1) Finding out notion of career maturity and establishing models of career maturity inventory. 2) Making validity of career maturity inventory through development items which secur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ach field on the basis of model of career maturity inventory. 3) Dividing measurement of career maturity inventory in according to distic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y using of career maturity inventor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made from theoretical, methodolog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1) In theoretical perspectives, Career maturity of this study have character of total career test explained by definitive and cognitive perspectives, And for measuring these, Choosed measuring factors on the basis of CMI model Crites and rebuilded survey models make "theoretical scheme" of career maturity. 2) In methodelogical perspectives, Choosed technical approach method which fit to character of this study is utilized for making validity course of inventory. 3) In practical perspectives, Inventory which make validity in study have prescriptional character which present judgement growing through diagnosing career maturity.

      • KCI등재

        폐경 여성에서 호르몬 치료에 따른 골밀도, 혈중 지질 농도 및 생화학적 골표지자 변화의 비교

        남궁정 ( Kung Jeong Nam ),김장흡 ( Jang Heub Kim ),조현희 ( Hyun Hee Jo ),오은경 ( Eun Kyeong Oh ),천근영 ( Keun Young Cheon ),권동진 ( Dong Jin Kwon ),유영옥 ( Young Ok Lew ),김은중 ( Eun Jung Kim ),황성진 ( Seong Jin Hwang ) 대한폐경학회 2010 대한폐경학회지 Vol.16 No.2

        연구목적: 폐경 여성에서 에스트로겐,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병합, 티볼론 사용 시의 골밀도, 생화학적 골표지자 및 혈청 지질 농도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舊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한 폐경 여성 199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모든 환자는 평균 3년 이상 호르몬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치료 1군 (91명)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병합 투여한 군, 치료 2군 (65명)은 에스트로겐 단독 투여한 군, 치료 3군 (43명)은 티볼론을 투여한 군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호르몬 치료를 시작하기 전, 치료 후 매 1년마다 골밀도 및 혈청 지질 농도 (혈중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고밀도 지단백, 중성지방), 생화학적 골표지자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치료 3년 후 1군과 3군에서 척추 골밀도는 각각 2.0%, 1.2% 증가하였다. 그러나 치료 3군에서 대퇴골 전체 및 경부 골밀도가 각각 1.9%, 4.8%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모든 군에서 치료 1년 후 혈중 osteocalcin과 요중 deoxypyridinoline은 감소하였다. 치료 2년 후 1군과 3군에서 총 콜레스테롤은 감소하고 중성 지방은 증가 하였으며, 2군에서는 총 콜레스테롤의 큰 변화는 없었으나 중성지방은 감소하였다. 고밀도 지단백은 1군과 2군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나 3군에서는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병합 요법군과 티볼론군에서 척추 골밀도 증가와 총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티볼론의 경우 대퇴골 골밀도에는 유익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고밀도 지단백이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폐경 후 여성에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병합, 에스트로겐 단독 및 티볼론 사용시의 골밀도 및 혈청 지질 농도 변화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나, 좀 더 대규모의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To assess the effects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on bone mineral density (BMD),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and lipid profiles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99 postmenopausal women who had received care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f Catholic University Seoul St. Mary`s Hospital between January 1994 and December 2008.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group 1 received combined estrogen and progesterone therapy (n=91); group 2 received estrogen only (n=65); and group 3 received tibolone (n=43). We compared the changes in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lipid profiles, and BMD during therapy. Results: The BMD of the lumbar spine increased in groups 1 and 3 by 2.0% and 1.2%, respectively, and the BMD of the total femur increased in groups 1 and 2 by 2.3% and 0.5% from the initial values after 3 years, respectively. However, the BMD of the femoral neck and total femur de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 3 by 4.8% and 1.9%, respectively, 3 years after treatment initiation (P < 0.05). Serum osteocalcin and urinary deoxypyridinoline decreased in all groups 1 year after treatment. In groups 1 and 3, the total cholesterol level decreased and the triglycerides level increased. However, there were no definite changes in the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levels in group 2. The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holesterol level increased in groups 1 and 2, but decreased in group 3. As a result, the BMD of the lumbar spine increased and the total cholesterol level decreased in the combined therapy and tibolone groups. Tibolone had no beneficial effect on the BMD of the femoral neck.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each therapy has different effects on BMD, biochemical markers of bone metabolism, and lipid profiles. A prospective study involving a larger group, and considering multiple factors, will be required to obtain more clinically meaningful conclusions.

      • KCI등재후보

        한국과 대만의 보육서비스 비교 연구

        남궁정(Nam Kung, Jeong),김숙이(Kim, sook-y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4 No.2

        최근 세계적으로 교육기회의 확대와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보육에 대한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으며‘ 보육서비스는 한 국가의 교육 수준과 국가 발전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호댁과 대만의 보육 서비스 현황 관련 법규 및 쟁점을 비교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흔택과 대만의 보육 서비스와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병렬 비교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과 대만의 보육 서비스를 실시함에 있어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한층 강화될 펼요가 있었다 대만은 여성의 지 위와 사회적 역할의 확대로 위탁 육아 비중이 매우 높았고‘ 사설 보육기관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정책적 지원이 활발하게 이 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우리나라의 정책적 지원 장화 및 유아무상보육의 시행 확대를 제안하였다 Many worldwide nations support actively the child care service recently to increase educational opportunity and to improve educational quality. Child care service is actually getting the indicator from which one can appraise the nation’s educational level and possibility of the nation’s development. The study aims to ana lyze the present state of child care service, laws and issues related to the child ca re service, and characteristics of child care service between Korea and Taiwan in a comparative educat ion point of view. The study utilized the parallel comparison method on the child ca re service of Korea and Taiwan. The result showed that the chi ld care services are simi lar in both countries, and it is required to support and expand the child care service more actively. ln particu lar, the child nursery rate and the concern on a ch ild care service are relatively high in Taiwan because of the increasing social status of Taiwan woman, and the political support is being made vigorously in Taiwan. ßased on the result,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expand the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facilities and give more free chi ld care service, and suggested some measures for expanding and improving public child care fac ilities.

      • KCI등재후보

        의과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남궁정(Nam Kung, Jeong),김종훈(Kim, Jong-Ho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0 창의력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기존의 의학대학생 선발 과정이 의학전문원 체제로 바뀌면서 이에 적합한 교육과정으로 개편되면서 새로운 교과과정으로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한 과목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의과대학생과 훈련받은 모의환자와의 의사소통기술 능력을 평가하는데 적합한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관련 도구 분석을 통해 진로성숙 구인을 개념화 하고 이에 근거하여 의사소통기술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둘째, 캘거리 - 캠브릿지대 모형을 근거로 본 연구의 의사소통기술 연구 모형을 개발하고 관련 연구들을 토대로 형성된 모형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여 의사소통기술 척도를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상호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고유값이 모두 1.0 이상, 요인적재량은 0.5, 누적분산설명력은 60% 이상, 신뢰도 계수는 0.8 이상, 상호상관계수는 0.8 이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평가도구들의 단점을 보완하여 의사소통기술 구인을 개념화하고 이에 근거한 연구모형을 개발하여 경험적으로 타당화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모두 의과대학생들이며 이들을 분석해 본 결과 현재 우리사회의 선발기능으로 인해 영재아들로 인식되고 있는 특목고를 졸업한 학생들이 15% 이상되었다. 적용적 측면에서 의과대학생의 선발과정에서 기존의 학업성적 뿐만이 아니라 의사소통능력과 관련한 수업장면을 비롯한 다양한 측면에서 합리적으로 적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나아가 의사소통에 대한 기본구조로 능력 차원을 기초로 하여 창의적 능력을 척도로 개발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Communication Ability Scale for elucidate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Korean medical students'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2) test construct validation through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In oder to answer these purposes, we first reviewed related documents and inventories, as to research the constructed factors which to develop a Communication Ability Scale, then defined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the theological constructive model. They were included in 6 components and in 20 sub-components. Based on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90 items were selected to final test items. Second, to examine the best fit construct model for Communication Ability, we assumed conceptual model for Communication Ability, base on Calgary-Cambridge model(2007) and proposed base on related studies that included the other components for Communication Ability. As a result of covariance structue analysis, we confirmed Communication Ability model include 6 components. Communication Ability scale of this study developed and examed can be applied future study for the general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집단미술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

        남궁정(Jeong Nam k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8

        본 논문은 대학 내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성교육을 위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보고자하였다. 서울시내 S대 20명 학생들의 정규 수업활동 후 학습자의 경험 중심으로 진행되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생들에게 필요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성의 요소는 현대 우리 사회에서 자기 계발 역량의 핵심요소로도 더욱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으로 인성의 개념적 접근으로 학습자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율성을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인성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학습자가 자신을 성찰하고 이해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아존중, 실천력, 배려, 소통을 인성 교육의 핵심가치로 보고 이를 기반으로 한 집단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인터뷰 형식과 심층면담으로 분석하여 보고자하였다. 연구결과는 참여자 만족도 문항별 조사 결과 7개 문항 중 5개 문항 90% 만족, 2개 문항 85% 이상 만족했다. 집단간. 활발한 상호작용으로 내면의 개방성, 사회성, 공간능력과 자아존중감이 형성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대학 인성교육의 방향성과 아울러 자기계발 핵심역량으로 인성교육의 핵심가치를 기르는 데 집단미술 프로그램이 효과적이었고 이를 계기로 다양한 인성교육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효과적으로 운영되길 기대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effect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among S university twenty students in Seoul after regular classes using a group art therapy program, and to make recommendations for tailored education programs. In modern society, the factor of the personality is emphasized as a key element of the self-development capacity. Thus, it is essential to apply an appropriate program for individuals and increase the efficiency through the conceptual approach of personality.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the personality is emphasized and the self-esteem, practice, consideration, and communication are considered as core values that allow students to reflect and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personality developmen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ir experience. Furthermore, in order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Of the 7 items questioned, 5 items have achieved 90% of satisfaction and the other 2 items have achieved more than 85% of satisfaction. Findings revealed that the inner openness, sociality, empathy ability and self-esteem were formed through active interactions among the groups. As a result, the group art program is significantly important in raising the core values of personality education by the essential competence of self-development. This study is restricted by several limitations including its limited time frame, small sample size, small range of targeted population, limited measuring methods, and homogenous population conducted in this research. However, as novel results have been represented, this study will be of interest to universities. The recommendation of this study may also apply to other developing countries and the findings may help universitie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In addition, the findings will allow academics and others involved in theory building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 KCI등재후보

        대학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사회적응 상담 및 심리지원 프로그램 : 전문대학생의 정규 수업 후 교내활동을 중심으로

        남궁정(Nam Kung Jeo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7 방과후학교연구 Vol.4 No.1

        이 글은 대학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사회적응 상담 및 심리지원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내용 및 결과에 대해 전문대학생의 정규 수업 후 교내활동의 한 모델을 제시하여 대학내에서의 교육의 지적 서비스에 대한 보완과 대학교육의 다양성과 질적 향상에 대한 연구이다. 안전사각지대에 놓여있는 대학 내 학생들에게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더 인지되고 있는 상황에서 학생들에게 안전 문화를 확산하고 이에 대한 심층적인 안전 의식을 고취하기 위해서 정규 수업 후 주로 교내에서 활동으로 먼저,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생명존중과 안전의식을 높이고 강화 하고자 하였다. 이 프로그램 수료 및 이수과정을 마친 학생들에게는 교내활동의 만족도 향상과 향후 학교안전 지도사 양성으로 발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The following research article is based on a model that has resulted from social adjustment, counseling service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the improvement of safety culture for university students’ after having a regular class schedule. This model was developed as a means to create a safe environment for them within a school where it is in a need of safety awareness and it i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school activities apart from regular classes. The main content of the program deals with raising awareness for suicide prevention, respect of life and safety consciousness. After that, the program suggests an improvement of safety culture within school while providing a relevant theory and practice for the program. The main reason for the program is aimed for a recent announcement for safety policy within education sector while considering timeliness and the appropriate action to be dealt with any other negative consequences arising from rapidly changing education environment.The program is not included in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but it was implemented to develop stud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o be connected with school-related activities to foster their academic success.In addition to that, it has been designed to enhance the qualitative service for post-secondary education and school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while it could have a potential to foresee a viability for students to be successf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