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 근대의 공간과 탈식민적 크로노토프

        나병철 ( Byung Chul Na ) 現代文學理論學會 201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7

        이 논문에서는 식민지 시대에 네이션과 근대적 주체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식민지에서는 제국이 허용하는 시공간에서는 네이션도 주체도 생성되지 못한다. 본고는 그 대신 소설에서 암시적으로 표현된 시공간(크로노토프)이 식민지인의 은유적 네이션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살펴보았다. 식민지 소설이 표현하는 시공간은 은유적인 크로노토프이다. 식민지 소설의 탈식민적 크로노토프가 은유적인 이유는 식민지에서 허용된 표상으로는 네이션이 생성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은유적이란 말은 결코 실제적이 아니란 뜻이 아니다. 은유적 크로노토프는 균열, 틈새, 절단된 시간 등의 실재계에 접촉한 영역에서 나타난다. 식민지인은 그곳에서 네이션의 네트워크를 생성함으로써 타자의 위치에서 주체의 위치로 전환된다. 이 식민지인의 네트워크(네이션)와 주체가 생성되는 공간은 식민지의 표상체계로는 어느 곳에서도 찾을 수 없는 공간이다. 그러나 식민지인들의 교섭이 이루어지는 한 그 곳은 어디서도 발견될 수 있는 공간이다. 예컨대 묘지, 아리랑, 낙동강 젖꼭지, 일인 카페의 대화적 공간 등이다. 이 은유적 시공간은 식민 권력에 예속된 공공 영역에서 벗어난 틈새의 공간을 생성한다. 따라서 은유적 크로노토프는 공공성에의 틈새적 침투, 신문의 수용적 비틀기, 일상의 이야기나 유언비어 같은 준공공 영역, 그리고 수면 밑의 하위문화들과 맥락을 같이 한다. 식민지에서는 그런 피식민자의 은유적 네트워크가 식민 권력의 네트워크와 경합의 장을 형성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소설적 은유란 미학적인 것이지만 식민지인에게는 그 미학적 은유가 강력한 정치적 무기였던 셈이다. 이런 우리의 논의는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의 이분법을 넘어선다. 식민지 근대화란 독자적인 시간을 강탈당한 묘지의 크로노토프와 표리를 이루고 있다. 또한 식민지는 경제적 수탈 이전에 문화와 역사를 강탈당했으며 그에 대한 대응이 은유적인 네이션이다. 은유적 네트워크는 오늘날 상당부분 인터넷으로 이전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트랜스내셔널한 연대를 위해 과거의 은유적 네트워크의 대응방식은 한 세기가 지난 현재에도 여전히 계속될 것이다. This thesis examined the novels in colonial period to consider the nation in colonial space. The nation of colonized could not be represented in colonial discourse. To express the nation of colonized, people needed metaphor of literature. The novel in colonial period presented this metaphor of literature. The metaphor in novel's discourse was represented by the chronotope of novel. And this metaphor expressed the network of nation of colonized. Thus the chronotope expressed by metaphor of literature was more political than time and space which were represented in colonial discourse. Because this chronotope expressed the network of nation and political unconscious of colonized. I examined Yum Sang-sub's novels and Hyun Jin-gun's novel to consider the chronotope expressed by metaphor of literature. The chronotopes of tomb, Arirang, river of Nak-dong and Japanese cafe expressed the network of nation of colonized. they also were the network of political unconscious of colonized. The chronotope of novel and the network of political unconscious of colonized are the third space in colonial period. This network expressed by metaphor of literature and the third space are still very important in transnational days.

      • KCI등재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비밀의 상실과 능동적 정동의 기억

        나병철 ( Na Byung-chul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0

        이 논문은 김승옥 소설의 인물들이 능동적 정동의 기억을 소환하며 불화의 현실을 전경화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능동적 정동은 사람들 사이의 유대의 감성인 동시에 신체 자체에서 생성되는 힘에의 의지의 열망이기도 하다. 개발주의에 의해 도시가 발전할수록 능동적 정동과 힘에의 의지는 상실된 비밀의 기억이 되었다. 그러나 김승옥은 「건」에서의 고향의 빈집 지하실이나 「생명연습」에서의 누나와의 비밀동맹 같은 기억이 남아있어서 그것을 배경으로 불화의 도시를 낯설게 전경화했다. 「역사」에서는 역사(力士) 서씨의 기억과 도시의 분리의 규율을 실행하는 또 다른 역사의 대비를 통해 불화의 현실이 제시된다. 또한 「서울 1964년 겨울」에서는 서로의 유대를 확인하려는 외판원 아저씨와 도시의 규율에 예속된 사람들의 관계를 통해 비정한 도시가 전경화된다. 「염소는 힘이 세다」에서는 염소의 능동적 힘과 누나를 취직시킨 거리의 힘의 대비를 통해 다가오는 개발주의의 냉혹함이 암시된다. 이 과정에서 역사의 비밀이었던 힘에의 의지는 아내를 잃은 아저씨의 무질서의 욕망을 거쳐 소년의 반복적인 비밀의 주문이 되고 있다. 이처럼 힘에의 의지가 애니미즘적 상상력으로 축소될수록 도시의 불화의 풍경은 점점 더 아프게 전경화된다. 그러나 비록 반복의 주문을 거는 사람이 역사(「역사」)에서 소년(「염소는 힘이 세다」)으로 바뀌었지만 상실된 비밀을 되살리려는 능동적인 리듬은 시적 생명력을 더 증진시키고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the characters of Kim Seung-ok's novels summon the memories of active affect and de-familiarize the reality of discord. Active affect is not only the sensibility of the bond between people, but also the desire of the willingness to power generated by the body itself. As cities developed by developmentism, active affect and willingness to power became a lost secret memory. However, Kim Seung-ok had memories of an empty basement in her hometown in Gun or a secret alliance with older sister in Life Practice, so that the background of the city of dissentience was de-familiarized. In Powerful man, the reality of dissentience is presented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the memory of the powerful man, Mr. Seo, and another powerful man that enforces the rule of city separation. Also, in Seoul Winter of 1964, a heartless city is turned into a foregroun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a salesman who wants to check their bonds and people who are subject to the rules of the city. In Goat is Powerful, the relentlessness of developmentism is implied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the active power of the goat and the power of the street where the older sister was employed. In this process, the will to power, which was the secret of history, becomes the boy's repetitive secret order through the chaotic desire of the uncle who lost his wife. As the will to power is reduced to animistic imagination, the landscape of urban discord becomes more painfully foreground. However, although the person who casts the spell of repetition has changed from powerful man (Powerful man)to a boy (Goat is Poewerful), the active rhythm to revive the lost secret is further enhancing the poetic vitality.

      • KCI등재

        신자유주의 시대의 혐오발화와 미학적 은유의 응수(應酬)

        나병철 ( Byung Chul Na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6 청람어문교육 Vol.57 No.-

        이 논문에서는 신자유주의 시대의 혐오발화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미학적 은유를 통해 고찰했다. 혐오발화는 오늘날 처음 나타난 것이 아니며 과거의 인종주의와 이데올로기 담론에서도 특징적으로 출현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먼저 과거 냉전시대의 이데올로기적 혐오담론과 오늘날의 신자유주의 시대의 혐오발화의 차이를 살펴보면서 지금의 혐오발화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 이데올로기적 혐오담론은 국가 권력에 의해 실행된 반면 오늘날의 혐오담론은 사회구성원 각자에 의해 수행된다. 그 때문에 과거의 혐오담론이 공고했던 것과는 달리 오늘날의 혐오발화는 모든 사람에게 침윤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오늘날의 혐오발화는 사회구성원 자신이 비슷한 계층을 공격하는 형식이므로 보다 더 문제적이고 절망적이다. 그러나 그 절망과 우울은 감성적인 틈새를 말해주는 것으로 그 틈새에 미학적 은유가 침투할 때 혐오발화가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혐오발화는 오염의 심리와 연관이 있으며 혐오대상과 공유하는 자신의 취약점을 지우기 위해 상상적 동일성에 의탁하는 환상적 형식이다. 그처럼 혐오발화는 상상적 동일성에 의존해 동일성의 체계에 동화될 수 없는 사람들을 비천한 존재로 공격한다. 반면에 미학적 은유는 혐오의 대상인 비천한 신체가 생명적 존재임을 드러내면서 그를 비천한 것으로 배제하는 상상적 동일성에 상처를 낸다. 그 때문에 혐오발화가 지배 권력의 상상적 동일성을 지키는 형식인 반면 미학적 은유는 다양한 권력장치의 상상적 동일성을 해체한다. 우리는 김이설의 『환영』과 『선화』를 통해 어떻게 혐오발화가 미학적 은유에 의해 해체되고 있는지 살펴봤다. 『환영』에서 윤영은 섹슈얼리티의 상품세계에서 혐오의 대상이 되는 생리하는 신체가 오히려 자신의 생명성의 회복임을 발견하고 혐오에서 벗어난다. 또한 『선화』에서 선화는 혐오가 사랑과 분노의 양가성에 의해 극복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두 소설은 혐오발화가 상품세계 같은 상상적 동일성을 지키는 형식이라면 미학적 은유는 비천한 것의 존재론을 통해 상상적 동일성을 해체하는 방식임을 보여주고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nature of utterance of disgust in neo-liberalisml society and contemplates a way to overcome the violence of such utterance through aesthetic metaphors used in Iseol Kim`s literary works. Disgust assault is nothing new and, in fact, was central to racism and ideological discourses in the past.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the ideological utterance of disgust from the Cold War era to the contemporary disgust assault in this neoliberal era, while looking for a resolution of the violence. The ideological utterances of disgust were carried out by the government authority but the current ones are done at the individual level. The disgust violence now, therefore, is not as pervasive as the utterance of disgust in the past. However, the current utterance of disgust may be more problematic and desperate as it promotes voluntary attacks on social members by other members of the society. Despair caused by utterance of disgust is emotional and such emotional state may be resolved by the application of aesthetic metaphors. Disgust may be explained by the psychology of contamination as one creates an imaginary identity in order to become clear of what is shared with the disgusted who is then attacked because s/he cannot relate to that identity. Aesthetic metaphors may play a critical role here as they break up the imaginary identity by treating the disgust targets with respect and love. This claim is well illustrated in two novels "Seonhwa" and "Hwanyeong" by Iseol Kim. First, Yoonyeong in "Hwanyeong" finds her menstruating body disgustful in the world of sexual objectification but she soon finds a way to free herself from disgusting after she realizes that her body is the restoration of her existence. Meanwhile, in "Seonhwa", Seonhwa shows a way in which disgust can be overcome through the ambivalence of love and anger. These two novels tell us that disgust depends upon the imaginary identity while the aesthetic metaphors shatter that identity through existentialism of the disgusted.

      • KCI등재

        한강 소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환상과 에로스의 회생-「내 여자의 열매」와 「몽고반점」을 중심으로-

        나병철 ( Na Byung-chul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1

        이 논문에서는 한강의 환상소설이 후기자본주의 시대에 어떻게 에로스의 회생을 시도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후기자본주의는 인격성의 영역에 까지 상품논리가 침투함에 따라 쓸모없어진 타자를 마치 폐품처럼 유기하는 시대이다. 자본주의적 합리성이 극단에 이른 이런 시대에는 타자에 대한 공감력이 약화되면서 일상에서 타자와 교감하는 에로스가 쇠퇴된다. 그러나 자본의 권력이 작용하는 바로 그곳에서 저항의 잠재력이 생성된다. 극단화된 합리성을 해체해 또 다른 코드의 공간을 생성하려는 포스트 모던적 상상력이 바로 그것이다. 한강 소설은 합리적 현실을 횡단해 또 다른 코드의 공간으로 도약하는 복수 코드적 환상을 통해 에로스의 회생을 모색한다. 이런 한강의 환상소설은 모더니즘의 모나드적 환상소설과 구분된다. 「변신」(카프카) 같은 모더니즘의 환상소설에서는 환상을 의미화한 대가로 주인공이 현실에서 거세되어 버려진다. 한강의 환상소설에서도 환상적으로 변신한 주인공들이 거세되어가는 과정이 비슷하게 그려진다. 그러나 한강 소설에서 인물들의 거세의 과정은 합리성과는 다른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래서 거세되어가는 주인공을 이해하는 또 다른 인물에 의해 다른 코드의 공간으로 도약하며 에로스를 소생시키는 과정이 나타난다. 예컨대 「내 여자의 열매」에서 아내가 푸른 피멍이 들어 거세되어가는 과정은 식물-되기를 통해 복수 코드적 환상을 생성하는 진행이기도 하다. 그 순간 남편은 목숨을 건 도약을 통해 환상공간으로 횡단함으로써 아내에 대한 에로스를 표현한다. 또한 몽고반점에서는 거세되어가는 처제의 몽고반점에 매료된 형부가 보디 페인팅의 예술을 통해 환상공간을 연출한다. 여기서도 꽃잎-되기를 통해 예술의 환상 공간으로 도약함으로써 에로스의 회생이 시도된다. 이 논문에서는 그런 복수 코드적 환상이 후기자본주의의 감성의 분할에 저항하는 에로스의 재발명임을 살펴보았다. 후기자본주의의 감성이 분할이 타자를 보이지 않게 만들어 에로스를 소멸시킨다면 한강 소설은 타자를 다시 보이게 만들면서 에로스의 회생을 시도한다. 한강 소설은 후기 자본주의에서는 타자에 대한 에로스가 회생되어야 사회적 변화의 열망이 되살아날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This thesis looks into how Han Kang`s fantasy novels attempt the revival of eros in this era of postcapitalism. In the era of postcapitalism, the logic of commodity invades even the realm of personality and excludes useless others, who are then abandoned as if they were wastes. In this age when capitalistic rationalism has reached an extreme, empathy on others is weakened and eros of sharing each other`s feeling in daily life declines. However, the potential of resistance gets created right there where the power of capital is at work; The postmodernist imagination that disassembles extreme rationality in order to create a space of different another code. The novels of Han Kang search for the revival of eros through the fantasy of muti-codes that crosses the rational reality and leaps into the space of another code. Han Kang`s fantasy novels with the aforementioned qualities are distinguished from monadic fantasy novels of the modernism. In modernistic fantasy novels such as 「Metamorphosis」 (Kafka), the protagonists get castrated from the reality and deserted for giving meaning to fantasy. A similar process of castration of the protagonists, who metamorphosed into beings of fantasy, is depicted in Han Kang`s fantasy novels. The castration process in Han Kang`s novels, however, is also a process of creating a code different from rationality. For this reason, also revealed in her novels is the process of leaping into a space of a different code and thus reviving eros, and this is done through another character who understands the protagonist that is being castrated. For example, in 「My Woman`s Fruit」 the process of the wife`s castration as she gets bruised is also a process of creating the fantasy of muti-codes by her becoming plants. At that moment, her husband expresses his eros toward her through crossing to a fantasy space by risking his life and leaping. In 「Mongolian Mark」, the brother-in-law, who is fascinated by the Mongolian mark of the sister-in-law gradually being castrated, creates a fantasy space through the art of body painting. A revival of eros is attempted here through the leap to a fantasy space of art by her becoming a flower petal. This thesis examines that such multi-code fantasy is the reinvention of eros as a resistance to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by postcapitalism. Whereas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sensibility by postcapitalism disintegrates eros by making other invisible, Han Kang`s novels attempt to revive eros by making other visible again. Han Kang`s novels imply that, in the era of postcapitalism, a fervent desire for social changes will revive only if eros for other is revived.

      • KCI등재

        이청준의 메타픽션에 나타난 계몽과 신화의 반복

        나병철(Na, Byung-chul) 한국현대문학회 201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2

        이 논문은 이청준의 메타픽션을 현실의 상처를 극복하고 능동적 주체를 생성하려는 반복적인 기억의 행위로 고찰했다. 그런 반복적인 기억의 과정은 프로이트가 논의한 심리적 반복충동과 연관된다. 반복충동이란 현실에서 상처를 경험했을 때 그 상처의 고통을 극복하려는 무의식적 운동의 일종이다. 반복충동에서 자아는 상처의 고통을 재연함으로써 수동적 고통을 능동적인 위치로 전이시킨다. 프로이트는 반복충동의 예로 포르트-다 놀이를 말하고 있는데 이 놀이는 예술의 원리와도 연관된다. 포르트-다 놀이는 과거의 고통이 능동적인 에로스의 기억으로 되돌아오는 점에서 니체의 영원회귀의 시간과도 유사하다. 이청준의 메타픽션 중에서 『병신과 머저리』 와 『가수』는 각각 한국전쟁과 4.19 이후의 상처를 극복하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상처의 기억은 반복되지만 에로스의 생성에 실패함으로써 두 소설은 완결된 소설이 되지 못하고 고통을 반복하는 메타픽션이 된다. 이청준이 『줄광대』 와 『매잡이』같은 전통미 계열의 소설을 쓰게 된 것은 그 때문이다. 이 소설들은 잃어버린 신화의 기억을 반복함으로써 에로스의 기억을 회생시키려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전통과 근대의 틈새에서 전통미를 전하는 사람이 근대세계에서 소통이 단절됨으로써 이 계열 역시 신화의 기억을 반복하는 메타픽션이 된다. 두 계열의 메타픽션은 소설적 반복의 형식을 통해 비로소 우리의 내면에 에로스의 소망을 일깨워준다. 이청준은 두 계열의 메타픽션을 합치는 데는 그리 성공적이지 않았다. 그 대신 그는 메타픽션의 목표인 능동적 삶의 회생을 위해 현실의 보이지 않는 심층을 깊이 탐사하는 쪽으로 나아갔다. 그 가장 치열한 지점에 에로스의 열정에 근거한 권력의 기제의 탐구가 놓여 있다. 『소문의 벽』은 박준의 상처의 근원을 파헤치는 동안 에로스가 생성되는 과정을 통해 능동적 삶에 대한 갈망을 전해준다. 『소문의 벽』 에서 ‘내’가 박준의 소설들을 통해 권력의 미시기제들을 탐구하는 열정은 ‘나’의 내면에 들어온 박준에 대한 애정과 다르지 않다. 여기서는 탈주자와 연대자의 에로스가 곧 능동적인 차이의 반복이다. 『소문의 벽』은 계몽이 변질된 미시권력의 극단을 보여주면서 메타픽션을 통해 예술적 차이의 대응을 암시한다. 『소문의 벽』을 정점에 둔 이청준의 메타픽션은 끝없이 반복되는 권력의 동일성에 맞서서 에로스를 회생하려는 차이의 반복에 의해서만 능동적 삶이 귀환할 것임을 암시한다. This paper looked into the fact that Lee, Cheong-jun’s meta-fiction is the fruit of repetitious memory in an attempt to overcome trauma, and create an active subject. The process of such a repetitious memory is associated with Freud-argued repetition compulsion. The repetition compulsion is a kind of unconscious exercise trying to tide over the pain of the trauma when one suffers a scar in reality. A self in repetition compulsion transfers a passive pain to an active position by reenacting the pain of reality. Freud sets the fort-da game as an example, and this game is linked with the Principle of Art as well. Also, this game is similar to Nietzsche’s time of ‘Eternal Recurrence’ in that the pain in the past returns as a memory of active Eros. Among Lee, Cheong-jun’s meta-fictions, “The Disabled and a Moron” and “Trance” represent an attempt to overcome the traumas after the Korean War and April 19 Revolution, respectively. However, the pain from traumas repeats, but the two fictions become meta-fictions repeating pain instead of becoming a completed short story due to their failure to create Eros. That’s why Lee, Cheong-jun came to write a fiction of traditional beauty series belonging to another meta-fiction like “Tightrope Walker” and “Maejabee,” etc. These fictions attempt to revive a memory of Eros by repeating a memory of the lost myth. However, these fictions of this series also become meta-fictions repeating a memory of myth as a person who delivers traditional beauty in a tight spot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times faced an obstacle to communication in the modern world. A meta-fiction enlightens the wish for Eros indwelling in our inner side at last through the form of fictitious repetition. Lee, Cheong-jun was not so successful in integrating the meta-fictions of these two series into one. Instead, he came forward in the direction of exploring the invisible depths of reality profoundly for the purpose of reviving an active life as a goal of a meta-fiction. Lee, Choeng-jun puts his inquiring focus on power mechanism based on Eros’ passion at the most intense point. The novelette “The Wall of Rumors” conveys a longing for an active life through the process of Eros creation while ferreting out the source of Park, Jun’s traumas. As portrayed in “The Wall of Rumors,” ‘My’ passion for searching for micro-mechanisms of power through Park, Jun’s fictions is not unlike the affection for Park, Jun, which held a place in ‘My’ inner side. Here, the Eros of an escapee and a collaborator is the very repetition of an active difference. “The Wall of Rumors” hints at the response to the artistic difference through a meta-fiction while showing the extreme of micro-power deteriorated from enlightenment. Lee, Cheong-jun’s meta-fiction, which puts “The Wall of Rumors” at its peak, alludes to the fact that the recurrence of an active life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repetition of difference attempting to revive Eros while standing against the endlessly repetitive sameness of power.

      • KCI등재

        계몽의 예외상태와 여성의 타자성의 사랑

        나병철(Na, Byung-chul)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4

        이 논문에서는 젠더영역에서의 남녀관계의 불균형성을 아감벤의 예외상태라는 개념으로 조명했다. 젠더영역은 일상과 예외의 공모에 의해 남성중심적 폭력과 비식별성의 비극이 ‘이상한 고요함’에 묻히는 곳이다. 근대 초기 계몽의 시대부터 오늘날의 후기자본주의까지 그런 침묵의 불균형성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이 논문에서는 전경린의 소설을 통해 후기자본주의에서 젠더관계의 예외상태로부터 벗어나려는 시도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전경린의 사막의 달 은 일상에서 비식별성의 비극을 경험하는 여성들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이 소설에서 여성들은 숨겨진 불행을 윤색하며 살아가거나 남편에 대한 보복적 심리로 맞바람을 피우기도 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여성의 불행은 해소될 수 없다. 반면에 ‘나’(해연)는 근친상관의 관계에 있는 휘승과의 에로스적 사랑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내’가 겪는 여성의 비식별성의 일상이 사막이라면 에로스적인 사랑을 꽃피우려는 여성의 시간은 달이다. 이 소설은 사막의 삶에서 죽음충동을 경험하면서도 자연(달)과 같아지는 순간의 에로스적 소망을 놓지 않는 여주인공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염소를 모는 여자」에서도 여성의 불행한 일상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는 자연을 향한 욕망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소설의 주인공은 보다 적극적으로 거세된 타자들과의 연대를 회생시키며 숲으로 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염소가 거세된 자연이라면 분열증적 청년은 본질을 본 대가로 일상에서 거세된 존재이다. ‘나’(미소)는 거세된 타자들을 품어 안아 출산하면서 그들과의 연대를 회생시킨다. 청년의 박쥐우산을 쥐고 염소와 함께 폭우 속에서 숲으로 가는 결말은, 여성의 심연의 다수 체계성을 작동시켜 자연의 기억을 부활시키는 도약으로 볼 수 있다. 그 순간 ‘나’는 상징계와 기호계를 횡단하며 자연의 기억의 경첩을 움직여 구원의 문을 열려 하고 있다. 이 소설은 후기자본주의에서는 다수 체계성 속에서 거세된 타자들을 품어 안는 여성만이 자연의 기억을 회생시키며 숨은 영혼의 교류를 통해 구원의 좁은 문을 열 수 있음을 암시한다. This paper highlights the imbalance of male-female relationship in the gender area with the state of exception argued by Agamben. The gender area is the place in which the conspiracy between the daily life and exception buries the tragedy of male-centric violence and unidentifiability in the “strange quietness”. It is surprising that there has been little change in the imbalance of quietness, from the era of modern enlightenment to the post-capitalism of today. The current study takes a novel by Jeon Gyeong-rin to investigate how the attempt to escape the state of exception in the gender relationship takes form in postcapitalism. “Moon in the Desert” by Jeon Gyeong-rin depicts women who experience the tragedy of the indiscernible in their daily lives. In the novel, women embellish their hidden unhappiness or have affairs to take revenge on their husbands. In any case, however, their unhappiness is not resolved. In contrast, “I” in the novel (Hae-yeon) does not give up the erotic love with Hwi-seung, with whom she is in an incestuous relationship. If the conventional feminine indiscernible experienced by “I” is like the desert, the time experienced by women looking to bloom the flower of erotic love is like the moon. This novel describes a woman who does not let go of the erotic hopes to be like the nature(the moon). The author expresses a woman’s attempt to escape from an unhappy life by a desire for nature in “Goat-Herding Woman” too. The protagonist of this novel more actively recovers the solidarity with castrated others while heading towards the forest. If the goat represents the castrated nature, the schizophrenic young man is the being that was castrated from the daily life for having seen the essence. “I” in this novel (Mi-so) embraces the castrated others to give birth to them and recover solidarity with them. The ending of the book, in which “I” holds the young man"s bat umbrella to walk towards the forest in the heavy rain, can be interpreted as operating the multi-system of the depth of the feminine mind to resurrect the memory of the nature. At that moment, “I” in the novel crosses between the symbolic and the semiotic to move the hinges of the nature’s memory and open the door to salvation. This novel implies that only the women who can embrace the castrated others in the multi-system can recover nature’s memory to open the narrow door of salvation in the post-capitalism through the sympathy between hidden souls.

      • KCI등재

        청소년 시점의 두 유형과 성장의 문학교육적 의미

        나병철 ( Byung Chul Na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3 No.-

        이 논문에서는 문학교육에 필요한 청소년 소설과 성장소설을 크게 두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두 유형은 시점의 형식과 성장의 내용이 상응 관계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첫째는 청소년 시점이 주도적인 소설이며, 이 경우 성장의 내용은 청소년이 가치의 세계를 내면화하며 자아를 확장하는 과정으로 나타난다. 둘째는 성인 서술자아나 내포작가가 개입하는 경우이며, 이때의 성장의 내용은 가치의 세계를 박탈하는 현실의 문턱에 들어서며 고통과 분열을 경험하는 것이다. 전자에 『완득이』 『춤추는 고래』 『위저드 베이커리』 『파랑 치타가 달려간다』 등이 있다면, 후자에는 「유년의 뜰」 「중국인 거리」 『새』 「기억속의 들꽃」 등이 있다. 첫 번째 유형에서 청소년의 시점이 주도적인 것은, ``가치의 세계``의 획득이라는 성장의 내용이 일종의 ``어른들은 모르는 비밀``이며, 성인 보다는 청소년들이 열정적으로 몰입할 수 있는 세계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두 번째 유형에서 성인 서술자아나 내포작가의 개입이 필요한 것은, 청소년이 들어서는 현실세계의 내용을 그들 스스로는 완전히 인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첫 번째 유형과는 달리 성인 서술자아나 내포작가와의 비밀교신이 필요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그 두 유형의 소설에서의 시점의 형식과 성장의 내용의 차이를 『파랑 치타가 달려간다』 「소나기」와 「유년의 뜰」 「기억 속의 들꽃」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특히 비슷한 점을 지닌 「소나기」와 「기억 속의 들꽃」의 비교는 우리의 논점을 분명히 드러내준다. 「소나기」는 『완득이』 『파랑 치타가 달려간다』 같은 청소년소설과 구분되면서도 시점의 형식과 성장의 내용에서 첫 번째 유형에 속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청소년 문학교육의 대상으로 그런 두 유형에 「생명연습」 「환상수첩」 『사랑과 죄』 『인간문제』 같은 청년 성장소설(세 번째 유형)도 첨가시킬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세 유형에서 나타나는 시점 형식과 성장의 내용의 상응 관계가 문학교육에서의 학습자와 교사의 활동의 범주와 역할을 암시해 줌을 알아보았다. 그처럼 이 논문에서는 소설의 미학적 문제와 문학교육의 내용 및 방법의 문제가 긴밀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탐구했다. This Thesis examined adolescent novels necessary for literary education. We explored adolescent novel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viewpoint form and concept of adolescent``s growing up. And We divided adolescent protagonist novels into two types. While the first type of novels is dependent on adolescent viewpoint, the second type of novels requires communicating with adult narrater or implied author. One include Wandeugi, Wizard Bakery, and Blue Chita is Running. And the other contain The Garden of Childhood, China Town, and The Wild Flower in remembrance. The first type of novels is dependent on adolescent viewpoint, because the concept of adolescent``s growing up is the secret value which adult ignore. And the second type of novels requires communicating with adult narrater or implied author, because adolescent reader does not know reality completely. This Thesis studied Blue Chita is Running and A Shower to examine the first type of novels, and analyzed The Garden of Childhood and A Shower to explore the first second of novels. Two types of novels implied that we must know the roles and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nd teacher in literary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viewpoint form and concept of adolescent``s growing up. While adolescent student can actively react to the viewpoint of adolescent protagonist in the first type of novels, teacher should intervene in adolescent``s reading in the second type of novels. It is important to dialogue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n both of types, but this is more necessary in the second type of novels.

      • KCI등재

        탈식민 소설과 트랜스내셔널의 전망

        나병철 ( Byung Chul Na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4

        이 논문은 탈식민 소설이 네이션의 양가성을 드러내며 그 과정에서 트랜스내셔널 한 전망과 연관됨을 해명했다. 탈식민이란 식민주의적 동일화에서 벗어나 네이션의 차이를 해방시키는 것인데, 네이션의 차이는 트랜스내셔널의 교차로에 반향될 때만 나타난다. 따라서 식민지 시대부터 이미 트랜스내셔널한 감각을 지닌 행위자에 의해 탈식민의 소망이 표현되어 왔다. 예컨대 현진건의 「고향」에서는 디아스포라를 통해 트랜스내셔널한 감각을 경험한 타자를 매개로 네이션이 발견된다. 또한 염상섭의 「표본실의 청개구리」에서는 동서친목회를 논하는 국제적인 광인을 통해 탈식민의 소망이 표현되고 있다. 염상섭이 초민족의 표상인 혼혈인을 자주 등장시킨 것도 그와 연관이 있다. 그러나 염상섭은 혈통적 민족주의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혼혈인에 함축된 초민족의 의미를 제대로 해명하지 못한다. 그 점에서 내선일체 시기에 혼혈인을 통해 진정한 트랜스내셔널과 탈식민을 암시한 김사량과 구분된다. 탈식민 소설의 트랜스내셔널한 전망은 세계화 시기에 보다 분명히 나타난다. 포스트모던과 연관된 세계화는 어떤 면에서 대동아공영의 근거였던 근대의 초극의 변주된 반복인 셈이다. 근대의 초극이 위장된 제국주의였듯이 세계화 역시 자본과 제국의 지배의 교묘한 변주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는 세계화를 역전시킨 트랜스내셔널한 전망을 통해 탈식민이 표현되는데 그 점을 잘 보여준 작가는 박민규였다. 식민지 시대이든 세계화 시대이든 탈식민의 전망은 네이션들 사이의 교섭과정을 통해서만 얻어진다. 이 글에서는 그런 상호규율적 교섭을 트랜스내셔널 윤리의 개념으로 살펴보았다. 트랜스내셔널 윤리는 탈식민의 실천을 통해 국가와 자본을 넘어선 진정한 트랜스내셔널의 전망을 암시한다. This Thesi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colonial novel and transnational perspective. I showed that the processes of postcolonial novel is performed by mediation of transnational perspective. The novel in colonial period revealed postcolonial desire through the transnational crossroad. And the novel in global period showed transnational perspective more immediately. I examined Yum Sang-Sup`s novel and Kim Sa-Ryang`s novel among the novels in colonial period. And I studied Park Min-Gyu`s novel among the novels in global period. The protagonist of hybrid in Yum Sang-Sup`s novel suffers agony because of hybridity, while the protagonist of hybrid in Kim Sa-Ryang`s novel suggests transnational perspective. And Park Min-Gyu`s novel shows the movement of transnational characters. I examined that these novels revealed variously the processes of postcolonial by mediation of transnational perspective. I called that processes of postcolonial mediation transnational ethics. Transnational ethics is the dynamic processes of negotiating between nations. This transnational ethics opens postcolonial practice and transnational perspective. I unpacked the relationship among postcolonial novel, transnational perspective, and ethics.

      • SCOPUSKCI등재
      • 경질탄소 필름과 대면물질 경도변화에 대한 트라이볼로지 특성

        나병철(Byung Chul Na),田中章浩(Akihiro Tanaka)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2003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학술대회 Vol.37 No.-

        Tribological testing of DLC films was conducted using a rotating type ball on a disk friction tester in a dry chamber. This study made use of four kinds of mating balls that were made with stainless steel but subjected to diverse annealing conditions in order to achieve different levels of hardness. In all load conditions using martensite mating balls, the test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friction coefficient was lower when the mating materials were harder. The high friction coefficient found in soft martensite balls appeared to be caused by the larger contact areas. The wear track on the mating balls indicated that a certain amount of material transfer occurs from the DLC film to the mating hall during the high friction process. Raman Spectra analysis showed that the transferred materials were a kind of graphite and that the contact surface of the DLC film seemed to undergo a phase transition from carbon to graphite during the high friction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