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 근대의 공간과 탈식민적 크로노토프

        나병철 ( Byung Chul Na ) 現代文學理論學會 201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7

        이 논문에서는 식민지 시대에 네이션과 근대적 주체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식민지에서는 제국이 허용하는 시공간에서는 네이션도 주체도 생성되지 못한다. 본고는 그 대신 소설에서 암시적으로 표현된 시공간(크로노토프)이 식민지인의 은유적 네이션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살펴보았다. 식민지 소설이 표현하는 시공간은 은유적인 크로노토프이다. 식민지 소설의 탈식민적 크로노토프가 은유적인 이유는 식민지에서 허용된 표상으로는 네이션이 생성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은유적이란 말은 결코 실제적이 아니란 뜻이 아니다. 은유적 크로노토프는 균열, 틈새, 절단된 시간 등의 실재계에 접촉한 영역에서 나타난다. 식민지인은 그곳에서 네이션의 네트워크를 생성함으로써 타자의 위치에서 주체의 위치로 전환된다. 이 식민지인의 네트워크(네이션)와 주체가 생성되는 공간은 식민지의 표상체계로는 어느 곳에서도 찾을 수 없는 공간이다. 그러나 식민지인들의 교섭이 이루어지는 한 그 곳은 어디서도 발견될 수 있는 공간이다. 예컨대 묘지, 아리랑, 낙동강 젖꼭지, 일인 카페의 대화적 공간 등이다. 이 은유적 시공간은 식민 권력에 예속된 공공 영역에서 벗어난 틈새의 공간을 생성한다. 따라서 은유적 크로노토프는 공공성에의 틈새적 침투, 신문의 수용적 비틀기, 일상의 이야기나 유언비어 같은 준공공 영역, 그리고 수면 밑의 하위문화들과 맥락을 같이 한다. 식민지에서는 그런 피식민자의 은유적 네트워크가 식민 권력의 네트워크와 경합의 장을 형성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소설적 은유란 미학적인 것이지만 식민지인에게는 그 미학적 은유가 강력한 정치적 무기였던 셈이다. 이런 우리의 논의는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의 이분법을 넘어선다. 식민지 근대화란 독자적인 시간을 강탈당한 묘지의 크로노토프와 표리를 이루고 있다. 또한 식민지는 경제적 수탈 이전에 문화와 역사를 강탈당했으며 그에 대한 대응이 은유적인 네이션이다. 은유적 네트워크는 오늘날 상당부분 인터넷으로 이전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트랜스내셔널한 연대를 위해 과거의 은유적 네트워크의 대응방식은 한 세기가 지난 현재에도 여전히 계속될 것이다. This thesis examined the novels in colonial period to consider the nation in colonial space. The nation of colonized could not be represented in colonial discourse. To express the nation of colonized, people needed metaphor of literature. The novel in colonial period presented this metaphor of literature. The metaphor in novel's discourse was represented by the chronotope of novel. And this metaphor expressed the network of nation of colonized. Thus the chronotope expressed by metaphor of literature was more political than time and space which were represented in colonial discourse. Because this chronotope expressed the network of nation and political unconscious of colonized. I examined Yum Sang-sub's novels and Hyun Jin-gun's novel to consider the chronotope expressed by metaphor of literature. The chronotopes of tomb, Arirang, river of Nak-dong and Japanese cafe expressed the network of nation of colonized. they also were the network of political unconscious of colonized. The chronotope of novel and the network of political unconscious of colonized are the third space in colonial period. This network expressed by metaphor of literature and the third space are still very important in transnational days.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여성적 사랑의 의미

        나병철 ( Byung Chul Na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3

        박완서 소설의 여성 주인공은 남성과는 달리 일상적이고 존재론적인 고통을 호소 한다. 그것은 여성이 남성중심적 사회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존재론적 위치를 지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박완서 소설은 사소한 일상사를 통해 근본적인 욕망이나 사회모순에 연관된 문제를 제기하는 특징을 드러낸다. 소외된 여성의 욕망은 흔히 여성적 사랑을 갈망하는 것으로 드러나는데, 그런 사랑의 충동은 여성의 존재를 확인하려는 욕망인 동시에, 그것을 좌절시키는 사회모순에 반응하는 심리적 위치이기도 하다. 여성적 사랑이란 남성중심적 상징계를 넘어서려는 향락의 충동이자 실재계적 영역에서 타자와 진정한 교섭을 이루려는 욕망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소시민적 삶의 벽에 갇힌 중산층 여성의 경우 그런 갈망이 사랑의 불가능성을 자기 인식하는 과정으로 드러남을 살펴봤다. 그와 달리 민중적 여성에서는 여성적 사랑의 잠재적 욕망이 간직되어 있음을 고찰했다. 또한 노년 여성을 통해 오히려 사랑의 소망이 긍정적인 형태로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성적 사랑은 존재론적 욕망이지만 그것을 위해서는 사회적 문제와의 조우가 필수적이다. 그래서 우리는 여성적 사랑의 욕망과 연관된 박완서의 리얼리즘에서, 가장 사적인 감정의 깊이를 통해 사회 전체의 소망의 울림이라는 넓이를 확인하게 된다. This thesis examined Park Wan-seo`s novels in relation to feminine love. The heroines of her novels suffer pain because of their justification for existence. Their drive of justification for existence is expressed through desire of love. Thus, the desire of love in Park Wan-seo`s novels is very important in respect that the heroines of her novels expresses their justification for existence. And the desire of love in her novels is the desire to be liberated from alienation in society. This thesis examined three kind of Park Wan-seo`s novels in relation to that problem. First, Crying of the Earthwormand The same Rooms reveal impossibility of love through women in middle class. They express the drudgery of home and the alienation in society. Second, Black Widowreveals the potential of love through woman in the lower classes. This novel expresses the potential of feminine love and possibility of jouissance in the Real. Third, For Longingreveals the desire of love positively through old women. This novel represents the meaning of feminine love. In the end, These novels reveal that the desire of feminine love is most important for woman`s justification for existence in Park Wan-seo`s novels.

      • KCI등재

        세계화시대의 탈식민 문제와 트랜스내셔널의 교차로

        나병철 ( Byung Chul Na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9

        이 논문에서는 세계화 시대의 한국의 이중적 위치를 통해 어떻게 트랜스내셔널한 연대가 이루어질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한국은 이직도 탈식민의 과제를 안고 있는 반면 동남아 이주 노동자들에게는 하위제국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우리는 지구적 자본주의의 질서에서 피해자인 동시에 가해자인 것이다. 그처럼 우리는 과거 미국에게 당했던 신식민지적 예속화를 이주노동자들에게 반복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피해자이기에 지구적 자본주의의 타자의 위치에서 물밑의 연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과거의 상처의 기억으로 인해 제3세계와 이주노동자들의 고통에 공감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그런 우리의 사이에 낀 위치에서 트랜스내셔널의 연대가 생성될 수 있음을 고찰했다. 「랍스터를 먹는 시간」에서는 역사적 망각을 넘어서는 상처의 기억을 통해 베트남인과의 연대의 가능성이 암시되고 있다. 또한 『나마스테』에서는 이주노동자와의 사랑과 연대를 통해 잃어버린 고향에 대한 소망이 표현되고 있다. 『방가방가』에서도 농촌 출신 청년 실업자와 이주노동자의 연대를 통해 국경을 넘어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드러나고 있다. 이 작품들에서 민족을 초월한 사랑과 고향에 대한 소망은 세계화 시대의 트랜스내셔널한 연대를 암시한다. 그처럼 지구적 자본이 경계를 넘을수록 인간적인 삶에 대한 소망도 국경을 넘는 것이다. 여기서 암시되는 트랜스내셔널한 연대는 세계화를 역전시키는 또 다른 세계화로 볼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d how transnational solidarity is formed in Korea`s dual position in the globalized age. Korea still has the task of postcolonization while it shows the appearance of subempire. Korea is a victim and, at the same time, an assailant in the capitalistic order. So we repeat the neocolonialist subjugation, which the United States inflicted to us in the past, to migrant workers. But since we are still victims, we can form solidarity behind the curtains in a position of the other in the global capitalism, and we can sympathize with sufferings of the third world and migrant workers due to the memory of our old wounds. This thesis examined that the transnational solidarity can be formed in our location ``in-between`` two spaces. Time to Eat Lobster suggests the possibility of forming solidarity with Vietnamese people through the memory of wounds beyond historical oblivion. And in Namaste, hope for lost home is expressed through love and solidarity with migrant workers. In Banga Banga, longing for home across the border is revealed through the solidarity of the unemployed youth from rural area with migrant workers. In these works, the love that transcends race and the hope for home imply the transnational solidarity in the globalized age. Thus, as the global capital transcends the border, the hope for human life also transcends the border. The transnational solidarity implied here can be regarded as another globalization that reverses the globalization.

      • KCI등재

        한국문학연구와 문화의 미결정성의 공간

        나병철(Na, Byung-chul) 한국현대문학회 2015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7

        이 논문은 한국문학연구에서 흔히 부딪히는 서구적 이론과 한국문학 텍스트 간의 괴리의 문제를 ‘문화의 미결정성의 공간’(space of cultural undecidability)을 통해 해결하려 모색했다. 문화의 미결정성의 공간이란 지배권력에 의해 고착된 교의적 담론이나 제도들이 이질적 담론이나 힘들에 부딪히면서 양가적으로 열려지는 수행적 공간이다. 서구적 제도·담론과 한국의 문화 사이에 작용하는 권력관계가 문화적 식민주의라면, 문화의 미결정성의 공간은 문화적 탈식민으로 나아가는 방향을 암시하는 영역이다. 문화의 미결정성의 공간은 서구적 담론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담론들과 교섭을 해야 나타난다. 이 미결정적 공간은 그런 교섭을 통해 서구적 담론과 한국적 텍스트를 탈식민적으로 연결해 준다. 따라서 문학이론에서 서구중심주의에서 벗어나려면 서구 이론을 부정(negation)하는 대신 교섭(negotiation)을 벌이며 그 틈새에서 우리 자신의 담론을 찾아야 한다. 마찬가지로 식민권력에서 벗어나려면 식민주의를 삭제하는 대신 교섭을 통해 그 상처를 껴안고 넘어서야 한다. 우리는 이 과정이 루쉰이『고향』에서 말한 절망을 끌어안고 넘어서며 ‘길 없는길’을 통해 저항으로 나아가는 과정과 유사함을 논의했다. 문화의 ‘미결정성의 공간’과 ‘길 없는길’은 우상 같은희망이나 이데올로기 대신 수행적 공간에서 발견한 비식별성의 영역이 해방된 삶으로 나아가는 출발점임을 말해준다. 그 비식별성의 영역에서열려진 문화의 공간을 은유와 가상공간을 통해 표현해주는 것이 바로 문학일 것이다. 그러나 그런 미시적 문화의 공간이 열려지려면 거시적 담론들과의 교섭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그런 미시-거시 담론들의 교섭의 관계를 탐색하며 문화의 미결정성의 공간의 지도를 그려주는 것이 문화연구와 문학연구일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문학에서 표현된) 문화의 공간의 미시적 동요가 거시적 담론에 연결되는 과정을 손창섭의 소설들을 통해 살펴봤다. 손창섭의 소설들은 문화의 공간에서의 감성적 동요의 변화를 통해, 반공적 국가주의의 사회체제에서 어떻게4.19로 나아가는 움직임이 나타나는지 보여준다. 이 논문은 또한 트랜스내셔널한 거시적 맥락에서 생긴 사회적 현상들이 어떻게 미시적 동요를 생성시키는지 식민지 시대문학을 예로 살펴보았다. 예컨대 트랜스내서널한 식민지 권력은 수많은 유민들을 발생시켜 그들을 사지로 내모는 죽음정치를 보여준다. 흩어진 유민들은 낯선 두려움(unhomely) 속에서 고통스럽게 떠돌면서 무력한 삶을 살아갈 뿐이다. 그러나 그들의 낯선 두려움에 공감하는 사람들의 물밑의 연대가 생성되며 문화의 미결정성의 공간의 동요가 시작된다. 가령 현진건의『고향』이나 김소월「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대일 땅이 있었더면」은 그런 미결정적 동요를 암시한다. 이 논문은 민족이나 민중의 기표에 의해 호명되기 전에 문화적 미결정성의 공간에서의 은밀한 연대가 고조될때 저항이 시작됨을보여주려 했다. 이런 비식별성의 영역에서의 움직임은 ‘길없는길’이 생성되는 과정과 다르지 않다. 그 과정에서 은밀한 미결정성의 영역(길없는길)을 은유와 가상공간으로 표현하는 것이 문학이며, 그런 잘 보이지 않는 공간을 미시-거시 담론들의 지도로 그려주는 것이 문학연구일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 환상소설의 통과제의 형식과 문학교육

        나병철 ( Byung Chul Na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11 청람어문교육 Vol.44 No.-

        이 논문에서는 청소년 소설에 나타난 통과제의 형식의 특징과 그것의 문학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청소년소설은 성인(청년) 성장소설과는 달리 통과제의의 과정을 보다 분명하게 드러낸다. 그 이유는 성인소설의 경우 성장의 과정이 현실에 대응하는 과정과 동시적으로 나타나며, 현실의 공간은 통과제의적 성장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청소년은 현실에 대응하는 문제가 유보되어 있기 때문에 미래의 주체로 나서기 위한 통과제의의 과정이 비교적 명확하게 나타난다. 통과제의는 흔히 분리-전이-귀환의 과정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그런 설명에 잘 들어맞는 것은 원시적 통과의례일 뿐이다. 청소년 소설은 비교적 통과제의 형식이 분명하지만 원시적 통과의례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원시시대와 현대는 삶이 지향하는 가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원시적 통과제의는 공동체를 감싸고 있는 종교적 진리의 획득을 목표로 했으며, 그 시대에는 그런 영적 진리의 획득이 어른이 되는 길이었다. 그러나 청소년 소설에서 주인공이 얻는 것은 일상에서는 볼 수 없는 자연을 닮은 화해의 힘이나 윤리적 가치 같은 것이다. 이런 가치들은 어른들의 세계에서는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으므로 환상 공간 등의 일상과 분리된 영역을 필요로 한다. 예컨대 청소년은 낯선 환상공간에서 ‘어른들은 잃어버린 진실’을 얻으면서 어른이 되는데, 이 과정에서의 특징 역시 원시적 입사의례와 청소년 환상소설의 차이이다. 우리는 그런 차이에 유념하면서 청소년 소설 중 통과제의 과정이 가장 분명히 나타나는 환상소설들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마리 이야기』 『리버보이』 『꽃피는 고래』 『싱커』 등을 통해 분리-전이-귀환의 통과제의 과정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것을 토대로 한 청소년소설의 미학적, 교육적 의미는 다음의 두 가지이다. 하나는 청소년 소설은 어른들은 잃어버린 아름다운 자연의 가치나 윤리적 가치를 끊임없이 성인의 세계에 이입시킨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삶이 세속화된 대가로 현실세계에서는 충분하게 경험하기 어렵게 된 통과제의를 위해 경험의 세계를 확장시켜준다는 점이다. 청소년소설은 통과제의를 돕기 위해 필요한 창조적인 교육의 공간이며 그 점에서 단순히 현실을 재현하는 소설들과 구분되다. This thesis examined Mari Story(Lee Sung-Kang), Flower of Whale(Kim Hyung-Kyung), and Syncher(Bae Mi-Joo)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initiation in fantasy for adolescence. Initiation is represented in the process of departure, separation and return. But it`s meaning is different with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Initiation meaned the process to arrive at adulthood in primitive age. But it`s meaning is complex in modern times. Mari Story, Flower of Whale and Syncher are initiation nove for adolescence. They reveals the process of initiation more obviously than the initiation nove for young man. But it`s process is different from the initiation in primitive age, because the meaning of initiation is complex in modern times. Initiation in fantasy for adolescence reveals the process of it obviously, because the form of fantasy presents the process of initiation. But the spiritual inner life in primitive age is transferred to ethic in modern times. Thus, initiation in fantasy for adolescence is the process of discovering of ethical value. This thesis revealed that process of discovering of ethical value by examining Mari Story, Flower of Whale and Syncher. And I proved the relation between fantasy for adolescence and literary education in that respec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