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arcoma 180 유발후(誘發後)의 생쥐의 생존(生存) 시간(時間)에 대(對)한 Cyclophosphamide, Corynebacterium Parvum 및 Tubercin-3의 단독(單獨) 및 병합역여(倂合役與)의 영향(影響)

        김희태,김인수,서대규,Kim, Hee-Tai,Kim, In-Soo,Suh, Tae-Kyu 대한약리학회 1981 대한약리학잡지 Vol.17 No.1

        Eighty of Sarcoma 180 bearing mice, averaging 30 gm of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eight groups of animals receiving Saline as the control, Corynebacterium parvum, Tubercin-3 and Cyclophosphamide alone and Cyclophosphamide combined with C. parvum, with Tubercin-3 and with both C. parvum and Tubercin-3 and Tubercin-3 combined with C. parvum respectively. Treatment was initiated 4.8 hours after tumor implantation and repeated three times once a day. Doses were suspended or dissolved in 0.2 ml of Saline: 1.4 mg of C. parvum: 0.5 micrograms of Tubercin-3; and 2.7 mg of Cyclophosphamide either in alone or in combination. All the agents given were administered subcutaneously but Cyclophosphamide was given intraperitoneally. The observation on the general conditions of animal took place twice a day following the treatment until the time of death after tumor implantation was determined. Average survival days in each group were as follows: In Control, Saline (11.2 days), C. parvum (14.8 days), Tubercin-3 (16.7 days), Cyclophosphamide(18.7 days). In combination therapy, Cyclophosphamide with C. parvum(22.8 days) with Tubercin-3 (26.9 days). Cyclophosphamide with both C. parvum an Tubercin-3, however, was somewhat longer than in Cyclophosphamide alone but shorter than in combined with either one of C. parvum or Tubercin-3. Finally, in combination with immunotherapeutic agents, Tubercin-3 and C. parvum each other it (8.2 days) was shorter even than Control. Life span of host is, in generally, inversely related to the number of malignant cells and conclusively, the therapeutic potentiation was reflected to be extended survival in combined treatment of a chemotherapeutic Cyclophosphamide with either one of immunotherapeutics, Tubercin-3 or C. parvum. Tubercin-3 and C. parvum in combination, however, appeared to be antagonistic each other.

      • 복숭아나무 엽온과 토양수분, 기상환경과의 통계적 상관관계 분석

        김희태 ( Hee Tae Kim ),김영진 ( Young Jin Kim ),강상현 ( Sang Hyeon Kang ),이상봉 ( Sang Bong Lee ),김민영 ( Min Young Kim ),류희룡 ( Hee Ryong Ryu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수분스트레스 진단에 있어 엽온은 중요한 인자이므로 엽온의 정확한 계측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기존의 수분스트레스를 계측하는 방법은 고정식으로 적외선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엽온을 측정한다. 이 방식은 나무의 수형과 모양에 따른 그림자 영향과 과수 성장에 따라 온도센서의 위치 조정이 필요하고 다수의 온도센서를 설치하고 보수가 필요함으로 계측에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엽온 예측 모델 개발에 선행적으로 복숭아나무의 엽온과 토양, 기상환경의 통계적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2021년부터 2022년까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복숭아 시험포장에서 6~7월에 1분 단위로 계측된 엽온, 상대습도, 대기온, 일사량, 풍속, 토양수분장력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엽온 계측은 적외선온도센서(SI-431, Apogee, USA), 토양수분장력센서는 Teros-21(METER Group, USA)를 사용하였으며 기상관측대(Korea digital, Korea)를 과수원에 설치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엽온과 대기온도, 상대습도, 일사량 및 풍속은 전일(24시간) 기준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10시~16시에 토양수분에 대한 엽 온도 반응이 민감한 시기라고 분석된 선행 연구와 아교목(2~8m)의 경우 세근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잎까지 도달하는데 2~3시간이 소요된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관개 시점(10시)을 고려하여 12~16시의 데이터 기준으로 토양수분과 엽온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엽온과 대기환경, 토양수분 변수간 영향을 정량화한 결정계수(R-Squared)를 구하였다. 또한 SPSS Statistics 29.0을 활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이변량 상관계수)을 실시하였다. 상관계수의 범위는 -1.0~1.0을 나타내며 절댓값이 클수록 상관성이 높다는 것으로 나타낸다. 대기온은 결정계수(R<sup>2</sup>)가 0.915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뒤로 상대습도(0.5348), 일사량(0.4007), 토양수분장력(0.0255), 풍속(0.0119) 순으로 변수 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엽온과 대기온의 관계는 0.928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높은 정적 관계를 나타냈었으며 일사량(0.661), 상대습도(-0.645), 풍속(0.081), 토양수분장력(0.160)으로 일사량과 상대습도는 0.60~0.80 수준으로 상관성이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해당 데이터를 통해 엽온 예측 모델 개발 시, 가중치 산정에 고려할 예정이다. 풍속은 엽온과 상관성은 매우 낮게 분석되었으므로 딥러닝 모델 구동 시 제외하고자 한다. 토양수분장력은 토성, 측정 깊이, 지연 시간 등을 고려하여 엽온과의 상관관계를 자세히 구명할 계획이다.

      • 수분스트레스에 따른 사과의 엽수분함량 및 초분광 특성에 관한 연구

        김희태 ( Hee Tae Kim ),김영진 ( Young Jin Kim ),김민영 ( Min Young Kim ),강상현 ( Sang Hyeon Kang ),이상봉 ( Sang Bong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가뭄피해 증가 등으로 인해 노지작물을 대상으로 한 자동관수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 등 간접적인 요인을 측정하여 작물의 수분스트레스를 판단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작물체가 겪는 수분스트레스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물체 생체정보인 엽수분함량 및 초분광 특성과 수분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구명하여 정량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사과(홍로)를 대상 작목으로 설정하였으며 관개 수준을 4개(T1: -20 kPa, T2:-40, T3: -60, T4: -80)로 구분하여 설정 토양수분 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관개하였다. 각각의 관개 수준에서 채취한 잎의 초분광 특성을 분석하고 잎의 건조 전후 무게를 측정해 엽수분함량을 비교하였다. 실험은 8월 25일, 9월 24일, 10월 5일에 실시하였으며, 해당일을 기준으로 선행 5일 동안의 토양수분 변화와 초분광 분석을 실시하였다. 1000 ~ 1700 nm 파장대역의 초분광 데이터를 획득하였으며 224개의 파장값을 통계 분석하였다. 평균 스펙트럼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판단되는 T1 시험구와 T4 시험구의 평균 스펙트럼을 파장별로 T-test를 실시하여 통계적 차이가 분명한 구간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엽수분함량은 사과나무 잎의 무게 대비 48 ~ 51 %의 범위로 관개 수준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0월 5일 조사된 초분광 영상의 1,458 nm부터 1,700 nm 구간에서 관개 처리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관측되었으며, 1,557 nm에서 p=0.018로 가장 작은 P-value가 나타나 해당 파장대에서 수분스트레스 대한 판별이 가장 용이하였다. 초분광 촬영 및 스펙트럼 비교를 통해 수분스트레스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지속적인 현장 시험과 데이터의 축척을 통해 수분스트레스 정량화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장흥부 南面 面約의 시행배경과 내용

        김희태(KIM HEE-TAE) 역사문화학회 200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0 No.2

        본 논문은 조선후기 주현 향약의 시행단위로서의 面約의 시행배경과 그 내용에 대하여 전라도 장흥부 남면 면약의 사례를 통하여 살펴본 것이다. 장흥지방에서는 숙종 33년에 남면의 면중 부로들이 집강을 선임하고 약조를 정하여 관가에 품고하여 답인을 받아 향약계가 시행되지만 흉년으로 폐하게 된다. 영조 10년 장흥 유생 위세봉은 국왕의 구언에 따른 응지 상소에서 관에서 향약을 통제하는 ‘방약[면약]’ 시행을 제기한다. 이 해에 유주기가 수령으로서 주도한 주현향약을 시행하게 된다. 관내 16개 면 전체에 시행되도록 하면서 12개조의 원칙 [「官下十二條」]을 만들어 각 면에 내리면, 각 면에서는 이 12개조에다 면의 여러 형편과 특성을 고려하여 조항을 추가 [「面補十五條」]해 넣고, 변약을 시행하였다. 남면 변약에는 상하인이 모두 참여하고 있으며 안양면약(1801년)이나 부산면약(1802년)을 통하여 관주도의 면약이 지속적으로 실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is about the background of enforcement and the contents of Myunyak as the unit of enforcement of Juhyun Hyangyak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through the examples of Myunyak in Nammyun, Jangheungbu, Jeollado. In the Jangheung district, village-elders in Nanmyun elected Gypkang, laid down regulations, submitted to the district office, gained approval, and enforced Hyangyakgye, which was abolished by a bad harvest in the 33th of Sukjong's reign. In the 10th of Youngjo's reign, We Sebong, a Confucian scholar, suggested the enforcement of 'Bangyak(Myunyak)' to control Hyangyak by the authorities in the appeal to obey king's orders. At that time, You Jugi as the chief began to enforce Juhyun Hyangyak under the leadership of the authorities. Myunyak had been enforced throughout 16 myuns within the jurisdiction and 12 clauses of the fundamental rules[Gwanhasipeejo] had been ordered and added clauses out of consideration for the situation and the quality in every myun[Myunbosipohjo]. It is revealed that people of every class joined it in Nammyun Myunyak and that Myunyak under the leadership of the authorities had been kept enforcing by Anyang Myunyak(1801) or Busan Myunyak(1802).

      • 시설원예단지 냉방부하 산정을 위한 여름철 온도 분포특성 조사

        김희태 ( Hee-tae Kim ),최덕규 ( Duk-kyu Choi ),강동현 ( Dong-hyeon Kang ),박민정 ( Min-jung Park ),윤성욱 ( Sung-wook Yun ),손진관 ( Jin-kwan So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온실 조성에 있어 겨울철 혹한과 여름철 혹서에 의한 냉난방 부하는 가장 중요한 온실 조성 요건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온실 내 냉방부하를 계산할 시, 외부온도와 내부온도의 차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또한 정확한 온도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은 농가의 수익성과 에너지 사용 절감 효과에 영향을 준다. 그리하여 본 실험에서는 기상데이터와 온습도 센서를 통해 수집한 온도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고 수식화하여 정확한 외부온도를 산정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은 부여, 진주, 구미, 김제의 시설원예단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 온실은 비닐온실과 유리온실로 선정하였다. 대상지 현장의 온도 측정은 2015년 8월 3일부터 8월 11까지 지역별로 순차적으로 24시간 이루어졌으며 온습도센서(Hobo U23, Oneset computer Co., USA)를 이용하였다. 또한 각 연구대상지의 온실 외부와 온실 주변의 논, 밭, 수로, 산림, 마을의 온도데이터도 수집하였다. 기상자료는 연구대상지 주변 기상관측소의 기상청 자료를 참고하였다. 기상자료와 측정된 온도 데이터를 통해 온실 단지 주위 온도와 기상자료를 통한 온도데이터의 최고온도, 최저온도, 평균온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기상청 데이터를 제외한 온도의 분포는 온실온도 데이터 중 최고온도를 비교하였을 시, 온실, 마을, 논, 밭, 산림, 수로 순으로 온도가 높았으며, 온실과 강은 평균 3.43°C 차이가 나타났다. 온실 외부온도는 기상청 온도보다 평균 4.28°C 높게 나타났다. 해당지역들의 온도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해 보면 기상청 데이터와 온실 외부온도의 최고온도의 관계는 y = 0.5945x + 18.426 (R² = 0.8553)으로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기상청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온실 외부 온도가 점차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상청 온도가 증가할수록 측정 온도의 차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과 수로의 포함한 수체, 밭의 온도 데이터와 기상청 데이터의 분석 결과, 각각 y = 0.4721x + 15.839 (R² = 0.9059), y = 0.4714x + 20.400 (R² = 0.6774)으로 나타냈다. 이러한 수식을 통해 냉방부하를 계산할 시, 적정한 외기온도를 도출하여 온실을 설계할 때 대상 작물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적절한 에너지 사용을 통해 농가의 수익을 높일 것으로 사료된다.

      • 과수 수분스트레스 진단을 위한 휴대용 무선 계측기 및 앱 개발

        김희태 ( Hee Tae Kim ),김영진 ( Young Jin Kim ),강상현 ( Sang Hyeon Kang ),이상봉 ( Sang Bong Lee ),김민영 ( Min Young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과수의 수분스트레스 정보에 기반하여 관개의사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스마트 관개시스템이 개발, 보급되고 있다. 과수의 수분스트레스 진단에 있어 엽온의 정확한 측정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기존의 수분스트레스를 계측하는 방법은 고정식으로 적외선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엽온을 측정한다. 또한 별도의 기상장비를 설치하여 기상데이터를 획득한다. 그러므로 수분스트레스 계측에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휴대용 수분스트레스 계측기가 2021년 농촌진흥청에서 개발되었다. 본 계측기는 작물수분스트레스지수(CWSI)를 산정하기 위한 생체정보(엽온) 및 기상 데이터(대기온·습도, 일사량)를 측정하는 센싱부,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CWSI를 산정하는 데이터 수집부, 장치의 기능을 조작하고 측정값을 표시하는 시스템 제어부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계측기의 간편성과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센싱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운용 앱 개발을 통해 데이터 수신 및 저장이 가능하고 CWSI가 자동 산정되도록 하였다. 앱에서는 스마트폰 GPS 기능을 활용하여 영농현장의 위치 정보가 나타나고 기상청 데이터를 활용하여 해당 지역의 예보 기능을 갖추었다. 또한 인접한 수자원공사 관리 관측소 풍속 데이터를 수신하여 CWSI 산정 시 활용한다. 엽온의 정밀한 계측을 위해 측정 높이별 온도 보정식을 내장하여 1.5m, 2.0, 2.5에서 측정할 때 정확한 엽온 측정값이 계산되도록 하였다. 보정식은 사과나무 상단 잎(2.5m)를 기준 온도로 설정하여 높이별(2.0m, 1.5) 엽온 측정값의 차를 비교·분석을 통해 개발하였다. 실측값과 비교분석한 내장된 보정식의 R<sup>2</sup> 값은 0.9 이상으로 분석되었다. 본 앱의 적용을 통해 계측기의 정확성과 실용성이 개선되었으며 고령 농업인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 환경(UI)과 화면 구성을 개선할 계획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