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례 : 도덕적 책임과 본래성 교육

        김희봉 ( Hee Bong Kim ) 한국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 Vol.4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ans of cultivating pupil`s moral responsibility. There are continuous debates between free will theory and determinism. Determinism is the view that all events, including everything that we do, are causal upshots of the distant past and the laws of nature. According to this account, we have not responsibilities for our actions. In contrast, free will theory is the view that we have free will that we can choose and decide our actions. Because of our free will, we should be morally responsible for our actions. Incompatiblists argue that free will is not compatible with determinism. In contrast, Compatiblists argue that free will is compatible with determinism. Latter implies many educational ideas. In this perspective, to be free means being the causal source of one`s actions and being able to act on reason. There are various educational theories that argue for the importance of authenticity. Authenticity is variously construed as the capacity to make rational choices about what codes of conduct to adopt, the capacity to feel, will, think, and see in particular ways, the capacity to be the best juge of one`s vital interests and needs, the capacity to exercise liberty rights, and the capacity for self-determination. Education for responsibility-relative authenticity is required. Free will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moral responsibility and it should also be seen as compatible with determinism.

      • KCI등재

        교육목적에 대한 오해와 이해

        김희봉(Hee-Bong Kim) 한국도덕교육학회 2020 道德敎育硏究 Vol.32 No.4

        이 글은 교육 활동에서 교육목적에 대한 바른 이해의 중요성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목적은 그 자체가 교육활동 전반을 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여러 맥락에서 강조되어 왔지만, 이와는 달리 교육목적의 불필요성을 주장하는 입장들도 있다. 이는 교육목적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기술주의적 모형’ 등의 영향 때문이다. 연구자는 기술주의적 모형이 교육목적에 대한 개념적, 실제적 오해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하면서, 교육목적을 몇 가지 개념틀로 구분하여 그 오해를 불식시키고자 하는 논의를 시도하였다. 목적-수단의 인과관계와 포함관계, 최종적 목적과 계속적 혹은 출현하는 목적, 닫힌 목적과 열린 목적, 교육과정 설계의 하향식 설계와 상향식 설계 등의 개념적 구분과 논의를 통해서 교육목적에 대한 바른 이해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우리가 교육목적에 대한 총체적이고 바른 이해 없이는 매우 편협하거나 오해에 기인한 교육목적관을 통해 교육을 왜곡할 위험이 존재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proper understanding of the aims of education in educational activities. Although the aims of education have been emphasized in various contexts because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the overall educational activities, however, there are also objections to educational aims. These are due to the influence of technocratic model which causes misunderstanding about educational aims. I tried to discuss the misunderstanding by dividing the educational aims into several conceptual frames, thinking that the technocratic model is derived from conceptual and practical misunderstandings about the educational ai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proper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aims through conceptual clarification and discussion such as causal and subsumption relationship between aims and means, final aims and continuous or emerging aims, closed aims and open purpose, top-down approach and bottom-up approach of curriculum design. Without a comprehensive and proper understanding of the aims of education, there will be a risk of distorting education through a very narrow or misunderstood educational aims.

      • KCI등재

        라무스의 교수법이 교과기반 교육과정의 발달에 미친 영향

        김희봉(Hee-Bong Kim) 한국도덕교육학회 2018 道德敎育硏究 Vol.30 No.4

        교과기반 교육과정은 역사적으로 학교교육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해온 교육과정 중의 하나다. 이 연구는 근대 교과기반 교육과정이 역사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 탄생하고 발전되어 왔는지를 라무스의 사상과 그의 계승자들이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라무스는 16세기 이전까지 거의 행해지지 않던 새로운 교수법의 창안을 통해 새로운 교육체제를 구축하였다. 라무스 프로젝트는 케커만, 알스테드, 코메니우스 등에 의해 더욱 정교하고 확실하게 계승 발전되었다. 이들에 의해 지식의 분할에 의한 교과의 명확한 구분, 교과서 제작, 엄격한 시간표, 면학풍토, 시험 등을 위주로 하는 근대적인 학교체제가 본격적으로 발전되었다. 이런 라무스의 교수법이 호응을 얻고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17세기에 발달하기 시작한 상업분야와 행정업무 수행 등에 필요한 실용적 지식에 대한 수요와 프로테스탄트들이 공유했던 백과전서적 지식 중시의 전통이 중요한 시대적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현대에 와서 교과기반 교육과정은 시험제도와 결합하여 더 견고한 지위를 지켜오고 있지만, 학교교육을 왜곡시키는 한계를 보이기도 한다. 오늘날 시대의 변화를 담보할 수 있는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는 교과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The subject-based curriculum, which has most widely adopted in school education, has maintained its solid framework despite various educational reforms. I consider how this curriculum has historically been invented and developed based on Ramism and post-Ramism. Ramus established a new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invention of a new teaching method that was rarely practiced until 16th century. The Ramus Project was developed more precisely and clearly by Keckermann, Alsted and Comenius. They have developed a modern school system that focuses on the clear discreteness of subject materials by the division of knowledge, making textbook, strict timetable, working hard climate, exam, etc. This development of Ramism and post-Ramism was an important setting in the 17th century in which the tradition of encyclopedic knowledge and the demand for practical knowledge needed to be developed in the commercial field and administration. Subject-based curriculum, which has maintained a stronger status in combination with the examination system since the 20th century, is causing side effects that distort school education. The discussions on curriculums that can cover changes in today s times should begin with a critical review of subject-based curriculum.

      • 탈근대적 주체와 기연적 사고 -라깡과 푸코를 중심으로-

        김희봉 ( Hee Bong Kim ) 한국해석학회 2010 해석학연구 Vol.26 No.-

        The `Death of the Subject`, which is discussed as a main topic in the current philosophical discourses, is not only regarded as a slogan of the postmodernism, but also must be actual events, in which the ontological responsibility exists. This Death was accepted by men without their sense of guilt. Otherwise it means, that the theoretical deconstruction of the subject, namely the denial of the subjectivity, that takes control of all thing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identity and universality, is taken for granted in a pluralistic society. It is because the transcendental subject pretends to have the power and authority, to oppress the others or to ignore their difference and individuality. Moreover the notion of the subject can be replaced by another notions of human beings, surely in respect that it could be constructed in the modern age. In this regard seems the subject`s death to be not worth mentioning. On the contrary, through such a death are our lives admitted to be diverse and free. So then may it be asked whether the subject is worthy of rehabilitation or not in present time. Therefore it seems irony, to make such a reconception of the subject in the situation, that it`s authority has be denied. However am I afraid, that a crisis of the norm and discipline, which resulted form the death of the subject, will produce a social disorder and violence. Thus an announcement of the subject`s death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It si important therefore to consider the reconception of the subject associated with the occasional thoughts, that could play a crucial role in explaining the post-modern society. A possibility of new concept of the subject, that will understand society and culture in 21st century, can be sought by researching a relation between a post-modern subject and the occasionalism.

      • KCI등재

        잘삶에서 관계의 중요성과 그 교육적 함의

        김희봉 ( Kim Hee-bo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7 교육철학연구 Vol.39 No.2

        이 글에서는 `관계`의 성공이 잘삶의 핵심 요소일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 그 교육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논의한다. 화이트는 최근 잘삶을 `가치 있는 활동과 관계에 전심으로 그리고 성공적으로 몰두하는 삶`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관계가 잘삶의 핵심 요소로 주장되고 있는데, 왜 그런지 좀 더 심도 있는 철학적 논의가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존재론적 측면에서 인간의 관계 문제를 논의한 후 좋은 관계의 결과로 드러나는 우애를 조명해 보았다. 인간의 주체는 홀로주체성이 아닌 서로주체성으로 이해해야 된다는 점에서 관계의 중요성이 드러난다. 홀로주체성은 타자를 배제한 채 원자적으로 홀로 존재하는 주체의 능동성만을 강조한다. 이에 비해 서로주체성은 타자와의 만남을 전제로 하며, 만남을 통해 주체 안에 능동성과 수동성이 함께 어우러져 주체성을 형성하게 됨을 강조한 다. 서로주체성의 관점에서 인간은 필연적으로 관계적 존재이다. 또한 인간이 여러 형태의 관계를 맺고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우애가 잘삶의 핵심요소라는 사실을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를 통해 파악해볼 수 있다. 이런 관계의 중요성은 교육의 실제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첫째, 서로주체성의 이념은 타인과의 관계, 반성 및 성찰, 만남 등을 중시하는 교육을 요청한다. 둘째, 다양한 지속적 관계를 중시하는 교육은 서로주체성의 형성 및 행복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이 우애 관계를 맺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다양한 교육이 요청된다. 특히 학생들의 잘삶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에서는, 그들이 좋은 관계를 맺고 살아갈 기회와 실제적 방안들을 제시하려는 교육적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relationship in well-being and to discuss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Recently, John White describes: well-being is one filled with successful and whole-hearted engagement in worthwhile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In his view, relationships are considered as the important components of well-being. Then, we need to explain philosophically how relationships relate to well-being. In this paper, I discuss relationships in the aspect of ontology and friendship as an important virtue for well-being. The significance of relationships is revealed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self identity is to be understood as not mono subjectivity but mutual subjectivity. Mono subjectivity only stresses the activity of subjectivity that excludes all others and exists alone atomically. On the other hand, mutual subjectivity presupposes the encounter with others and emphasizes the process of formation of subjectivity, in which activity and passivity goes together by encounter. In the viewpoint of mutual subjectivity, human beings are necessarily relational ones. Aristotle regards friendship as a key constituent of well-being. The significance of relationship has many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s: (1) The idea of `mutual subjectivity` requires educational practices which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lations with others, reflection upon these relations, and activities for sharing these with others. (2) Education for promoting various and continuous relationships in itself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mutual subjectivity and human well-being for students. (3) Developing friendship among students requires our educators to make various kinds of positive interventions at schools. Most of all, the education for the promotion of the well-being of pupils requires to provide opportunities and practical ways that they can have good relations.

      • KCI등재후보

        교사의 덕목으로서 프로네시스

        김희봉 ( Hee Bong K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교사교육연구 Vol.54 No.4

        이 논문은 교사가 갖추어야 할 핵심 덕목 중의 하나로 프로네시스에 대해서 논의한다. 그동안 전문가로서의 교사,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교사, 사회적 실천가로서의 교사론이 주장되었지만, 이 연구에서는 교사가 프로네시스를 지닌 프로니모스가 되어야 한다는 교사론을 주장한다. 프로네시스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의 핵심 개념들인 에우다이모니아, 프락시스, 아레테의 개념을 조명해보고 상호관련성을 논의한다. 에우다이모니아는 인간이 자신의 본성적 기능을 잘 수행하고, 자신의 존재 생성을 완성하고, 자신의 가능성을 최고의 능력으로 발휘함으로써 가능해진다. 교사의 과업은 프락시스적 특성을 갖는 활동으로 볼 수 있다. 프로네시스는 프락시스적 활동을 지혜롭게 잘 해낼 수 있는 아레테이며, 삶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추론, 반성, 선택, 실천을 최고로 해낼 수 있는 덕목이다. 프로네시스를 갖춘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 직전 교사교육에서부터 적절한 실천이성을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This paper studied phronesis as a defining virtue of teachers. To date, the general defining qualities of teachers are that they are professional, reflective and social practitioners.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teachers should have phronesis and then be phronimos. In order to understand the notion of phronesis,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of eudaimonia, praxis, and arete in Aristotelian ethics, and their relationships. Man’s eudaimonia is best described as a state of flourishing. Man is happiest when he fulfills excellently, in the sense of Aristotle’s ergon, his unique natural capacity as a member of the human species. Aristotle provides some criteria of reflection for eudaimonia: finality, self-sufficiency, and community. Praxis is about motion or change, and refers to intentional action carried out by both body and soul. Practical activity grounded in deliberation and choice. Eudaimonia is the supreme end of all praxeis. Eudaimonia in an activity of soul in accordance with perfect arete. Each human being has his or her unique ergon, and carries within itself the potentiality to perform that ergon perfectly. To perform one’s ergon excellently is very arete. Phronimos is the ability to deliberate well about what is good and expedient for him or herself, not in some particular respect, e.g. which sort of things conduce health or strength, but about which sort of things conduce eudaimonia in general. Phronesis must be a reasoned and true state of capacity to act with regard to the human good. If educators hope to bring pre-teachers up phronimos, we need to provide them various experiences.

      • 리더십 촉진요인과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 -비대면 근무경험이 있는 MZ세대를 중심으로-

        김희봉(Hee Bong, Kim),김세은(Sae Eune, Kim) 한국경영학회 2022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8

        본 연구는 COVID-19으로 인해 확산되고 있는 비대면 상황에서 MZ세대 팔로워들을 대상으로 리더가 발휘해야 할 리더십의 중점 및 발휘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 비대면 상황에서 리더십을 촉진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관계적인 측면에서는 팔로워들에 대해 신뢰와 간결한 커뮤니케이션이 도출되었고 업무적인 측면에서는 명확한 업무지시와 개별화된 성과관리가 리더십을 촉진시켜주는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리더의 인성과 리더의 업무 전문성이 제시되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도출된 개별화된 성과관리, 리더의 인성 및 업무 전문성 등은 최근의 연구에서 제시된 비대면 상황에서 요구되는 리더십 역량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요인으로 현장의 상황과 목소리가 반영된 결과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비대면 상황에서 리더의 임파워먼트가 중요하고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비대면 상황에서 조직 내 리더들이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있어 반영하고 적용해야 할 점과 간과하지 말아야 할 점을 제시함으로써 이들이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있어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것은 물론, 향후 상황별 리더십 개발에 있어서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o suggest the focus and method of leadership that leaders should exercise for followers of MZ generation in a non-face-to-face situation that is spreading due to COVID-19. As a result of this study, trust and concise communication were derived for followers in relational aspects as factors that can promote leadership in non-face-to-face situations, and clear work instructions and individualized performance management were derived as factors that promoted leadership. And on the personal side, the personality of the leader and the work expertise of the leader were presented. On the other hand, the individualized performance management, leader personality, and work expertise derived in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reflect the situation and voice of the field as factors not dealt with in the non-face-to-face situation presented in the recent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directly contributes to the leadership of the organization by suggesting what leaders in the organization should reflect and apply in exercising leadership in non-face-to-face situations and not to overlook.

      • KCI등재

        교육에서 존중의 재음미

        김희봉 ( Hee Bong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연구 Vol.35 No.1

        이 논문은 교육에서 존중의 의미를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탐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몇 가지 논의를 재검토하고 이에 대한 연구자의 입장을 제시하였다. 존중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관점은 아동중심 교육관이다. 그러나 피터스는 아동중심 교육의 관점을 비판하면서 자신의 입문으로서 교육 개념과 교육의 준거를 토대로 한 존중의 관점을 제시한다. 그는 교육의 개념 분석을 통해 존중이 교육의 본질적인 개념은 아니지만 아동의 개별성에 대한 규범적 보호자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스토야노프는 존중은 교육의 본질적 개념이며, 학생들을 존중한다는 것은 그들이 합리적인 담론의 실제에 입문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기싱어는 교육적 관점의 존중은 학생들이 자기 자신을 타인들과 동등하게 주장할 수 있는 존엄성이 부여된 존재로 인식하도록 그들을 대하는 것이고, 이는 자율성의 제한과 격려를 통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들의 관점은 아동의 합리성, 자율성 중심의 존중을 강조한다. 좀 더 포괄적으로 개인적 잘삶이란 관점에서 보면, 존중은 학생들이 가치 있는 활동에 전심을 다해 성공적으로 몰두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런 존중을 실현하고자 하는 학교의 모습은 교육과정을 비롯한 여러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respect in education. In order to perform the purpose, I examine the perspectives of the some philosophers of education who discus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respect. ``Child-centred`` view is regarded as the most serious one that emphasizes the respect of child. Richard Peters refuses the view. And he argues the demand to respect the child`s individuality or autonomy should not be seen as constitutive for education. He refuses the child-centred view by means of the conceptual analysis of education. The demand for respect has only a limited function within Peters` thought: it works as a normative protection for child`s individuality. Stojanov intends to establish the principle of respect as a general educational principle. He thinks that the principle of respect demands the initiation into the practice of rational discourse. This requires that the child`s ability to articulate his views in a rational discourse should be developed. Giesinger argues that to respect children is to treat them in a way that enables them to see themselves as persons endowed with dignity. He thinks that the aim of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child`s self-respect should not be situated in the distant future, but in the educational situation itself. I think that their views adhere to a certain rational point of view. Then, the principle of respect in education have more comprehensive aspects. In comprehensive view, to respect child can be understood a promotion of personal well-being. White argues that a flourishing life is one filled with successful and whole-hearted engagement in worthwhile activities and relationship. On this view, part of the task of education is to induct children into relationships and activities, including work activities, encouraging them, as autonomous agents under construction, to choose among them those which suit them best.

      • KCI등재

        국내 대기업 조직구성원의 팔로워십 역량 도출 및 역량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김희봉 ( Hee Bong Kim ),송영수 ( Young Soo So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3 HRD연구 Vol.15 No.3

        최근 팔로워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지만 조직에서 요구하는 팔로워십 역량을 실증적으로 제시하거나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팔로워십 역량 및 팔로워십 개발 등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 및 HRD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기업 내 조직구성원들에게 요구되는 팔로워십 역량을 도출하고 역량에 대한 중요도를 산출함으로써 팔로워십 역량을 기반으로 한 기업 내 조직구성원의 인적자원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FGI 그리고 3차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통해 팔로워십 역량을 도출하고 계층화분석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으로 역량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 팔로워십 역량은 지식, 기술, 태도 등 3개 영역과 조직목표이해, 업무전문성, 혁신적 사고, 문제해결력, 협력, 대인관계, 의사소통, 열정, 정직성, 신뢰성, 책임감, 주인의식 등 12개의 팔로워십 주요역량 그리고 주요역량별 39개의 세부역량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AHP분석 결과 팔로워십 역량의 종합중요도 측면에서 볼 때 팔로워십 영역에서는 태도가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분석되었으며 팔로워십 주요역량 중에서는 신뢰성이 중요한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팔로워십 세부역량 중에서는 리더 신뢰가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학문적 측면에서 팔로워십에 대한 실증연구를 통해 인적자원개발의 영역을 팔로워에게로 확대시킴은 물론, 팔로워십에 대한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FGI, 델파이조사, AHP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연구에 타당도를 높였다. 또한 실용적 측면에서 조직구성원들이 팔로워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한 구체적인 역량을 제시하고 기업교육에서 팔로워십 역량을 적용해 볼 수 있는 기반을 제공했다는 의의를 둘 수 있다. Recently, importance of followership has been increasing. However the studies and researches regarding followership are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and guidelines for HRD organizations and employees who need to develop followership competencies in the large Korean enterprises through analyzing and identifying relative importance of followership competencies. Major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followership competencies in large Korean enterprises? Second, what are the more relatively important followership competencies to cultivate their employees? To find out the results, competency modeling has been conducted to identify followership competenc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open-ended questionnaire, FGI, Delphi survey technique an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2 major competencies within 3 domains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are identified such as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achievement goal, job specialty, innovative thinking, problem solving, collaboration, interpersonal skill, passion, integrity, trust, responsibility and task ownership. In addition, 39 sub followership competencies are identified. Attitude domain is the most critical one through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method. Trust i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in the 12 competencies. Among the 39 sub competencies, trust on leaders is identified as the most critical one. Based upon all the result above, implications can be provided as follows; first, to pursue effective followership, followers should believe their leaders. On top of that, we need to develop followership competencies for sustainable growth of enterprises. In sum,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developing proper followership competencies in large Korean enterprises and to understand followership in other organizations.

      • KCI등재

        매스미디어와 폭력

        김희봉(Kim Hee-Bong) 대한철학회 2005 哲學硏究 Vol.93 No.-

        급변하는 시대와 사회에 부응하는 미디어의 변모 역시 아주 급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미디어가 매스미디어로 기술적으로 진화하면서 드러난 그 급진성은, 미디어가 더 이상 소통수단으로만 머물러 있지 않고, 자기정립적 특성을 갖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미디어는 자신의 효용성을 극대화하고 체계를 최적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감으로 그 특성을 강화하게 된다. 이 자기정립성은 근대의 산업사회 안에서 기계화된 도구 일반이 목표로 하는 자동화의 형태 속에 구현된다. 여기서 인간은 상호이해를 위해 추구된 커뮤니케이션에서 더 이상 주체일 수 없으며, 미디어의 정보생산의 자동화체제가 규정하는 단말기와 같은 부품으로서의 역할에 만족해야 한다. 이제 미디어는 정보생산과 교환과 관리에 있어서 자기기획과 필요에 의해 미디어시스템 자체를 전개시킨다는 점에서 자체를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미디어는 그 본성에 내재한 낯설음을, 즉 언제나 비판적으로 자체를 살피려는 태도를 철저히 우리에게서 빼앗아 간다. 인간에게서 타인과의 차이를 긴장케 하는 기술적 낯설음, 그것의 상실은, 어느 정도 이념으로 작용했던 자기해방의 가능성을 확고하게 망각하게 만듦으로써 미디어기술에서도 결국에 나타난다. 미디어기술의 확대를 통해 인간은 소통의 주체를 철저히 대상으로서 규정하고 객관적 인식에 가두려 한다. 이 조정된 정보와 인식은 이에 멈추지 않고 실천적 지배의 방식으로 삶의 전영역에로 확장된다. 미디어기술에 의해 통제되고 지배되지 않는 인간은 존재치 않는다. 결국은 인간에게까지 그 기술적 지배력이 미치며 미디어 밖으로의 탈출구는 막혀있게 된다. 그래서 미디어에 스스로 갇힌 인간에게서 비억압적 강제와 비물리적 폭력은 실제적 행위자가 없는 구조적인 것이 된다. 인간은 미디어의 자체논리에 의해 산출되고 규정된 사고양식과 인식체계에 의해 종속될 수밖에 없다. The recent development of media, which should be adopted to meet the needs of the changing society and the times, is said to be rapid and radical. The drastic progress, in which the mass media has evolved from the traditional media, means that the media remains no more than an instrument for communication, but possesses the characteristics of self-establishment. The self-establishment of media is reinforced with promoting its efficiency and forming its complete system. This media is embodied in the automation, the aim of which machinery has in the industrial society of modern times. Here human-being can not control the communication instrument subjectively, but is nothing but parts of the system of communication. For according to the plan and need of the media it has developed itself in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information. The mass media is necessary to life of human being. Through the whole system of communication the human being is so manipulated and controlled, that s/he can not criticise produced informations. Due to media technology media's domination over human being is realized. Human being become accustomed to its control and manipulation with forcing. The structural and concealed violence, which pervades the produced information und the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fort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