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삼국유사』와 최치원(崔致遠)

        김희만 ( Kim¸ Heui-man ) 한국사상사학회 2021 韓國思想史學 Vol.- No.68

        이 글에서는 『삼국유사』에 보이는 최치원 관계기사를 분석하여, 『삼국유사』의 찬술자인 일연(一然)의 최치원 인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삼국유사』에는 최치원 관련 자료가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으나, 지금까지 적극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작업을 통하여 『삼국유사』의 찬술자가 왜 최치원 관련 자료를 다른 인물의 자료보다 많이 삽입하였으며, 그것을 통해서 결과적으로 무엇을 전달하려고 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먼저, 『삼국유사』 속의 최치원 관계기사를 검토하기 위해서 관련 자료를 추출하고, 『삼국사기』에 서술된 최치원 관계 자료와 대비하여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삼국사기』 관계 자료는 최치원에 ‘대한(about)’ 서술 위주라면, 『삼국유사』 관계기사는 최치원에 ‘의한(by)’ 논지 전개라는 점에 주목할 수 있었다. 즉, 일연은 『삼국유사』를 찬술하면서 의도적으로 최치원 관련 자료를 활용하였던 것이다. 일연이 최치원의 말을 원용하면서 『삼국유사』의 내용은 더욱 폭넓게 찬술될 수 있었는데,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일연의 역사서술 태도가 유연하였기 때문이다. 일연은 불교 승려였지만, 유학(儒學)을 수용하려는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가 최치원 관련 자료를 중시하여, 활용한 것이 바로 그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최치원은 중국에서 유학을 공부한 학자였지만, 귀국 후 왕명으로 불교 관련 비문, 특히 사산비명(四山碑銘) 등을 작성하는 등 문장가로 활약하였다. 그러므로 일연에게 있어 최치원은 유학자이면서 불교사에 정통한 인물로 여겨질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최치원에 대한 인식이 『삼국유사』의 찬술에 반영되었다고 본다. 다음으로, 일연의 최치원 자료 활용과 그 인식을 규명해 보기 위해서 『삼국유사』 관계기사의 의미 또는 성격을 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최치원 관련 자료를 『삼국유사』에 굳이 수록하여 무엇을 밝히려고 했는 지에 대하여 검증을 시도한 것이다. 사실 일연이 『삼국유사『에서 최치원을 한국 고대사회 및 불교와 유교에 정통하였다는 측면을 인정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기록하게 된 것이 최치원 관련 자료이며, 일연은 그 기반 위에서 『삼국유사』의 해당 부분을 저술하였던 것이다. 기존의 연구에서 『삼국유사』의 성격을 유교와 상대되는 불교 또는 신이사관(神異史觀) 등으로 평가해 왔지만, 이 글에서는 최치원 관련 자료를 검토하여 분석한 결과, 『삼국유사』의 찬술자 일연은 불교와 유교를 접합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아, 이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폭넓은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기할 수 있었다. In this article, we analyzed the articles related to Choi Chi-won in 『Samgukyusa(三國遺事)』, and looked into the recognition of Choi Chiwon of Ilyeon(一然), a author of 『Samgukyusa』. In 『Samgukyusa』, there are more materials related to Choi Chi-won than other figures, but no active review has been made so far. Through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y the proponent of 『Samgukyusa』 inserted more materials related to Choi Chi-won than other figures, and what he was trying to convey as a result.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articles related to Choi Chi-won in 『Samgukyusa』, related data were extracted and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data related to Choi Chi-won described in 『Samguksagi(三國史記』.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while the documents related to 『Samguksagi』 focused on ‘about’ to Choi Chi-won, the articles related to 『Samgukyusa』 were developed ‘by’ by Choi Chi-won. In other words, Ilyeon intentionally used materials related to Choi Chi-won while writing 『Samgukyusa』. The contents of 『Samgukyusa』 could be more widely recited by Ilyeon citing Choi Chi-won's words, and this was possible because of Ilyeon's flexible attitude in writing history. Ilyeon was a Buddhist monk, but it is thought that he had an attitude to Accept Confucianism. The fact that he put importance on Choi Chi-won-related materials and utilized them shows that attitude. Choi Chi-won was a scholar who studied Confucianism in China, but after returning to Korea, he was active as a literary writer by writing Buddhist inscriptions, especially Sasanbimyeong(四山碑銘). Therefore, for Ilyeon, Choi Chi-won could be regarded as a Confucian scholar and well-versed in Buddhist history. I think that this perception of Choi Chi-won was reflected in the hymns of 『Samgukyusa』. Next, the meaning or nature of the articles related to 『Samgukyusa』 was examin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se of Choi Chi-Won's data and its recognition in Ilyeon. It was an attempt to verify what he was trying to reveal by including the data related to Choi Chi-won in 『Samgukyusa』. In fact, in 『Samgukyusa』, Ilyeon acknowledged that Choi Chi-won was well versed in Korean ancient society,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actively reflected and recorded this. He wrote that part. Existing studies have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Ilyeon as Buddhism or historical consciousness of God(神異史觀) as opposed to Confucianism. Considering that the intention to articulate is reflected, it could be suggested that a new understanding and a broader approach are needed.

      • KCI등재

        『삼국사기』 구두본[句讀本]의 간행과 성격

        김희만(Kim, Heui-ma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장서각 Vol.0 No.37

        이 글에서는 1909년 ‘조선고서간행회’에서 간행한 『삼국사기』 구두본[句讀本]의 간행과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삼국사기』는 『삼국유사』와 함께 한국 고대사 연구를 위해서 가장 기본 자료이며, 필수 史書다. 따라서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미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삼국의 역사를 체계화하는데 이바지하고 있다. 특히, 『삼국사기』는 고려시대에 저술된 삼국의 정사로서 가장 오래된 고대사 자료이다. 그런데 『삼국사기』는 그 자체 목판이나 주석활자 등을 중심으로 원본을 지속적으로 간행하여 그 판본이 전해지지만, 이를 해독하기 쉽게 구두점을 찍어서 보급한 것은 1909년 발간된 ‘조선고서간행회’ 『삼국사기』 구두본이 처음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이 책을 간행한 ‘조선고서간행회’의 規則 과 임원[役員]에 대하여 살펴보고, 다음으로 『삼국사기』 구두본이 어떤 과정을 거쳐 간행되었는지와 이 책의 例言을 통해 그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 다음으로 1909년 ‘조선고서간행회’ 『삼국사기』 구두본의 성격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이 책을 발간한 ‘조선고서간행회’에서는 조선을 통치하기 위해 조선의 형편과 국민성을 알아야 할 필요성에 따라 고서를 수집하고, 이를 書目으로 정리하여 실제로 총 28종 82책의 고전을 묶어 『朝鮮群書大系』로 간행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간행본에는 명예찬성원과 특별찬성원 그리고 본회평의원 등이 열거되어 있으며, 그 말미에 본회주간과 句讀者 그리고 校正者 를 나란히 병기하고 있음으로써, 당시의 정치사회적 상황을 파악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자료라고 여겨진다. 또한, 1909년 8월 1일 ‘조선잡지사 朝鮮珍書刊行部’에서 본사의 조선진서간행계획을 발표하고 그 내용을 통해서 『삼국사기』 구두본의 간행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그 例言에 보이는 책의 원본과 구두점에 대한 내용, 그리고 「進三國史記表」와 「東明王篇」을 앞뒤로 싣게 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조선고서간행회본 『삼국사기』의 성격에도 접근해 볼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金居斗 跋文의 書誌 형태를 파악해 봄으로써 이 판본의 특징에 대해서도 검토해 볼 수 있었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examine the publishing and character in Samguksagi (三國史記). Samguksagi is the most basic material together with Samgukyusa (三國遺史) for the study of Korean ancient history, and it is an essential history book. Therefore, various studies have already been carried out on this, and this contributes to systematizing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n particular, Samguksagi is the longest ancient history document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hich was written in the Goryeo period. However, Samguksagi was originally published in the form of woodblocks and tin type, and the original was continuously published, and the version was published, but it was spread by punctuation easily to detract from the fact that BooK of Joseon Old Book Society Samguksagi It is the first tim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we first examine the rules and officers of Joseon Old Book Society, and then, through the course of the process of Samguksagi Punctuation point Text, And then examined the nature of the Samguksagi in the 1909 Joseon Bulletin. As a result, the Joseon Old Book Society, which published this book, collects repor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nationality of Joseon in order to rule Joseon, Which was published in the Joseon Veriety Books System, which includes the Honorable Prosperity Member, the Special Prosperity Officer, and the Members of the Council. At the end of this part, the members of the Association, the Phrase Booker and the Proofreader are listed side by side, It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data to grasp the situation. In addition, on August 1, 1909, published a plan to publish the Joseon Dynasty and it was possible to examine a series of processes related to the publication of Punctuation point Text, I could confirm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and punctuation, and put forward and backward the 「Devoting Words of Samguksagi」 and 「Volume of King Dong-myeong」.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of Samguksagi in the Joseon Old Book Society. In addition, I tried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this edition by looking at the form of Epilogue written by Kim Geo-du (金居斗).

      • KCI등재

        연구논문 : 신라(新羅) 관명(官名) “대사(大舍)”의 운용(運用)과 그 성격(性格)

        김희만 ( Heui Man Kim ) 동국사학회 2013 동국사학 Vol.54 No.-

        신라의 17관등 중에서 12번째 관등이며, 또한 관직체계로서 令-卿-大舍-舍知-史 중에서 세 번째에 해당하는 官名인 大舍의 운용과 그 성격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사실 신라사회에서 大舍라는 官名은 大奈麻와 奈麻,大舍와 舍知,大鳥와 小鳥 등의 한 부류로서, 이들 관등과 관직 가운데 그것이 未分化로 인해 그 운영에 있어서 실체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다. 大舍의 運用을 검토하기 위해서 관직으로서의 대사를 규명하고자 『三國史記』職官志에 보이는 각 관부의 관직체계 가운데 그 대표적인 예로 執事省을 중심으로 이 관부에 보이는 令-卿-大舍-舍知-史라는 관직체계 가운데 大舍와 인원과 건치연혁 등의 변동사항 등을 고찰하였으며, 또한 각 관부마다 각기 다른 점도 상호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大舍는 主書 와主事 그리고 主薄 등의 명칭에서 문서(書), 일(事), 장부(薄) 등을 주관하는 업무를 담당하거나, 또는 錄事 곧, 사원성전의 실무 관직으로 소속되어 어떠한 사항을 기록(錄)하는 업무를 담당하였으며, 설치시기는 진평왕 11년이 가장 이르며, 신라 행정 관부에서 실무를 전담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등으로서의 대사는 신라 관등 가운데 대아찬과 대나마는 아찬과 나마가 분화하여 그 접두사로 大자를 관칭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는 반면에, 大舍와 小舍, 大鳥와 小鳥는 그 분화의 성격이 다른데, 이는 대사와 소사는 舍知라는 관명에서 분화하여 대사와 사지는 대사가 먼저 설치되고, 이후 지덕왕 5년 내지 신문왕 5년에 사지가 설치되어 비로소 5등 관직체계가 마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관직에서는 대사→사지로 분화하였다면, 관등에서는 사지→대사로 발전하였다고 볼 수 있다. 대사의 성격에서는 법흥왕 때의 色服志에 보이는 大舍와 황룡사찰주 본기에 보이는 대사를 비교하여 赤位에서 靑位, 黃位로 그 격에 변화가 수반되고 있음을 살표보았으며, 관등으로서의 大舍가 어떻게 성립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서 신라 관등의 말미에 보이는 餐系와 奈麻系 그리고 大舍이하의 知系를 구분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인는 지금까지 餐系와 奈麻系에 대해서는 그 상층의 중요성을 반영하듯이 여러 연구가 있었으나, 知系라 할 수 있는 大舍 이하의 관등과 관직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취급되어 왔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大舍와 舍知, 또는 大舍와 小舍, 그리고 韓舍 등이 각기 기재된 자료뿐만 아니라, 관직으로서의 作韓舍와 관등으로서의 大舍를 동시에 볼 수 있는 자료를 소개하면서 그 성격에 주목해보았다. Silla`s official name(官名), Daesa大舍 is one of central administrative systems(5 step systems-Ryung(令)-Kyung(卿)-Daesa(大舍)-Saji(舍知)-Sa(史) and also official ranks and posts mixes themselves` name. Therefore this Daesa(大舍) stands for Silla` important office rank(官等) and office post(官職) but this article(particularly contents) not achieved many study better than other topics for a longtime Specially, Daesa(大舍) is in management of official post system(管職體系), 3rd main post systems and roles practical management in the central administrative systems(中央行政體系). Daesa(大舍) consists of Jige(知系), Daesa(大舍) and Saji(舍知). Jige(知系). Was distinguished three groups-Change(餐系)-Namage(奈麻系)-Jige(知系). Especilly Jige(知系) is 3rd official system of below Daesa(大舍) and Daesa(大舍) was a medium-administer or a working-level official. Daesa(大舍) calls Hansa(韓舍), that means office rank and office post. This study lasting continued new excavate many materials together.

      • KCI등재

        신라 지증왕의 王名과 그 성격

        김희만(Kim Heui Ma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서강인문논총 Vol.0 No.46

        이 글에서는 신라 지증왕의 王名을 통해 당시 사회의 운영과 변화과정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신라사회에서 지증왕이 차지하는 비중은 마립간에서 왕호로, 상고사회에서 중고사회로 전환하는 시점에 있다는 점에서 일찍부터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여기서는 지증왕의 王名관련 자료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당시의 사회변화와 그 양상을 추구하여, 지증왕대 전후 王名의 추이와 성격을 규명해 보았다. 그 결과 지증왕의 王名은 이전의 王名과는 달리 유교적, 또는 漢化的표기로 변화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신라사회의 國號와 王號의 변화, 그리고 諡號를 중심으로 불교적 색채와 유교적 정책의 대응 등이 찾아졌다. 이는 기왕의 연구 성과에서 언급된 것과 일면 유사해 보이지만, 그 변화과정을 세밀하게 살펴서 어떠한 시대적 상황이 연출되어 나타나게 되었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In this thesis, through the Jijeungwang(智證王)’s King Name(王名), it was trying to look at the operation and evolution of society at the time, in Silla Dynasty. Jijeungwang proportion occupied by Silla in society was of interest early on in that at the time of switching from the King’s Official Name(王號), appeal to the community in Maripgan(麻立干) used society. In this article, King Name review the related materials Jijeungwang, and based on this social change and to pursue that aspect of time, I looked identify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Jijeungwang for around King Name. As a result Jijeungwang of King Name unlike previous King Name was changed to Confucianal(儒敎的), or Chinese(漢化的) ever mark, find the favor change National Name(國號) and the King of Silla society in this process, and Buddhist colors counterparts Confucianal policies. This was to investigate the similar to that mentioned in the study of already thesis, but investigate finer the process any change process is implied.

      • KCI등재

        논문(論文) : 신라(新羅) 고관제(古官制)의 운영(運營)과 그 성격(性格)

        김희만 ( Heui Man Kim ) 동국사학회 2007 동국사학 Vol.43 No.-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out the change process of Silla old office system(古官制) through bone-rank system(骨品制) and Office System(官制). In 520 Bupheung(法興) promulgated a code of administrative law that is believed to have delineated the seventeen-grade office rank structure, prescribed proper attire for the officialdom, and instituted the bone-rank system. Contents of office system and old office system were recoded in sacbokji(色服志) and chikgangji(職官志) by samguksagi(三國史記). Old office system is consist of kumha(衿荷)-sangdang(上堂)-chukwi(赤位)-daesa(大舍) etc. That was managed on before the system constructed, gradually make progress young(令)-kyung(卿)-daesa(大舍)-sa(史) etc. This system was installed on 7years Bupheung, at first that were managed high level limited, finally the fragments of old office system were remained wihwabu(位和府), and sawonsungjion(寺院成典). As it were, this system translated after 5years Chinduk(眞德) lastly.

      • KCI등재

        Inactivation of Avian Influenza Viruses by Alkaline Disinfectant Solution

        조수경,김희만,이창준,이주섭,서상희,Jo, Su-Kyung,Kim, Heui-Man,Lee, Chang-Jun,Lee, Joo-Seob,Seo, Sang-Heui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3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사람 및 동물에 상당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알칼리성 소독용액이 H5N1, H3N2, H6N1, H9N2형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는지를 조사했다. 알칼리성 소독용액을 생리식염수에 100배 희석한 경우 조류인플루엔자가 MDCK 세포에서 증식하는 것을 완전히 억압하였다. 형광항체법을 이용한 실험에서도 알칼리성소독액을 처리한 H9N2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MDCK세포에서 증식이 억제되었고, 알칼리성 소독액을 처리하지 않은 H9N2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증식이 억제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알칼리성 소독액은 고병원성 H5N1을 포함을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방역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vian influenza viruses cause a considerable threat to humans and anima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alkaline disinfectant solution can inactivate H5N1, H3N2, H6N1, and H9N2 subtypes of avian influenza virus. When H5N1, H3N2, H6N1, and H9N2 avian influenza viruses were treated with alkaline solution diluted with PBS (pH 7.2) prior to infection into MDCK cells, alkaline disinfectant solution (at dilutions up to $10^{-2}$) completely inactivated all avian influenza subtypes tested. To confirm the inactivation of avian influenza viruses by alkaline disinfectant solution, we used an immunofluorescence assay with influenza A anti-nucleoprotein antibody and FITC-labeled secondary antibody to stain MDCK cells infected with avian H9N2 influenza viruses. No staining was observed in MDCK rells infected with H9N2 viruses that were pre-treated with a $10^{-2}$ dilution of alkaline disinfectant solution, while strong staining was observed in MDCK cells infected with H9N2 viruses without pre-treatment. Our results indicate that alkaline solution could help to control avian influenza viruses including the highly pathogenic H5N1 sub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