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中日韓における形態素「~族」の比較研究

        금주(金錦珠)(Jin, Jin-Zhu) 한일일어일문학회 2012 한일어문논집 Vol.16 No.-

        형태소 “족”은 “공통적인 특성을 가진 특정 사람”을 가리키는 의미에서 한중일 세 나라 언어로 공통된다. 본고에서는 형태소 “족”의 어의 “족”어의 중일한 비교 대조를 시도했다. 중국의 “족”어는 일본어와 한국어에 비해 외래어가 극소하고 그 95%가 한자로 표기되어 있다 특히“일족”라는 파생어를 생성하고있는 것도 한국어, 일본어와는 다르다. 일본어에 있어서 “족”어는 중국어와 한국어에 비해 당시의 인기 소설이나 잡지, 텔레비전 드라마의 제목에서 온 것이 많다. 또한 “족”어은 종종 마이너스의 어감을 띠고 있다. 일본에서는 “족”은 “계”로 대체되는 현상이 눈에 띄고, 일본어의 “족”어의 생성 메커니즘은 한중에 비해 쇠퇴의 길로 들어섰다 중국어와 일본어에 비해 한국어의 “족”어는 동물 이름으로 명명된 것이 많다. 또한 외래어 수용시“단축 + 합성” 형식의 다용, 한국산 영어가 범람함으로 말미암아 난해한 말이 많다. “족”어에는 한중일의 동의어가 많지만 그것은 인터넷의 보급이 “족”어의 전파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이나 공통적인 생각, 행동 양식을 보이고 있는 이른바 “신·신 인류”가 세나라에 존재하는것에 기인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다섯 가지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활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성애(Sung-Ae Kim),진(Jin Kim),우미경(Mee-Kyung Woo),곽충실(Chung Shil Kwak),이미숙(Mee Sook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4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극동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톳, 다시마, 미역, 파래, 김을 대상으로 각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을 Ames test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유발 억제능을 검색하고, MTT assay를 이용하여 HeLa cell, MCF-7 cell과 SNU-638 cell에 대한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종의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2-anthramine에 대한 간접작용 돌연변이능 억제효과를 S. Typhimurium TA 98에서 측정한 결과, 톳(100%), 다시마(94.2%)가 3.5 ㎎/plate에서, 파래(68.5%)가 4.5 ㎎/plate에서 효과적인 돌연변이 억제능을 나타냈고, S. Typhimurium TA 100에서는 파래(100%), 톳 (100%), 다시마(94.1%)가 각각 1.5 ㎎/plate, 2.5 ㎎/plate, 4.5 ㎎/plate의 농도에서 최대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보였다. 반면 미역과 김은 간접작용 돌연변이 억제 효과가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직접작용 항돌연변이능을 S. Typhimurium TA 98로 측정한 결과, 톳, 미역과 파래 모두 4.5 ㎎/plate의 농도에서 각각 83%, 73%, 73%의 저해율을 보여 2-nitroflouorene의 돌연변이능에 대한 저해율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 Typhimurium TA 100에서 sodium azide의 돌연변이능에 대한 저해효과가 가장 큰 해조류는 톳, 다시마와 파래로 세 가지 해조류 모두 3.5 ㎎/plate의 농도에서 100% 저해율을 보였다. 반면, S. Typhimurium TA 98에서 미역과 김은 4.5 ㎎/plate의 농도에서 각각 73%, 50% 정도의 저해율을 나타냈고, S. Typhimurium TA 100에서는 0% 저해율을 보여 직접작용 돌연변이에 대한 저해 능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MTT assay를 이용하여 HeLa cell과 MCF-7 cell, SNU-638 cell에 대한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관찰한 결과, 5종 해조류의 에탄올 추출물 모두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였다. HeLa cell의 성장을 90% 이상 저해한 해조류는 톳, 다시마, 미역, 파래였고, 그 효과를 건조무게로 비교하면 파래, 미역, 다시마, 톳의 순이었다. 김은 56% 저해율을 나타냈다. MCF-7 cell에 대한 세포 성장억제 효과 역시 90% 이상 저해율을 나타낸 해조류는 파래, 미역, 다시마, 톳의 순이었고, 김은 50%의 저해율을 나타냈다. SNU-638 cell에 대한 세포 성장억제 정도는 HeLa cell이나 MCF-7 cell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보다는 다소 낮았다. 저해율이 70% 이상인 해조류는 파래, 미역, 다시마, 톳이었고, 김은 68%로 나타나 해조류 간에 차이는 적었다. 이상에서 Ames test와 MTT assay를 통해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검색한 결과, 톳, 파래와 다시마는 항돌연변이 효과 및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암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는 각 시료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5종의 해조류 모두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해조류가 개발 가능한 고부가가치의 기능성식품 소재임을 확인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갈조류, 녹조류, 홍조류 등의 해조류에 함유된 암예방 또는 항암작용을 가진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The protec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5 seaweeds on the mutagenic and cytotoxic damage were evaluated. They were separately extracted using ethanol from dried samples at room temperature, and freezedried. The inhibition effects on the mutagenicity in Salmonella assay by Ames test and cancer cell inhibitory effect in HeLa cell, MCF-7 cell and SNU-638 cell by MTT assay were assayed. Seaweed fusiforme, sea tangle and green laver showed strong inhibitory effect against 2-nitrofluorene, sodium azide- or 2-anthramine-induced mutagenicities in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and TA 100 at the level of 2.5 mg ethanol extract per plate. Cancer cell inhibitory effect was shown with all of the seaweed extracts. Green laver, sea mustard, sea tangle and seaweed fusiforme showed strong cytotoxicity against HeLa and MCF-7 cells, with inhibiting by 92~93% and 89~92%, respectively. These data show that 5 seaweeds tested in this study might be potent functional foods for cancer prevention, and consumption of these seaweeds in adequate amount is recommend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직장에서 경험한 강한 감정의 전이(spillover)와 교차전이(crossover)

        여진(Kim Yo J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사회복지학 Vol.60 No.3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들의 일과 가족생활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개념인 전이 (spillover)와 교차전이 (crossover)에 초점을 맞추어 직장에서 경험한 감정과 퇴근 후 가정에서의 감정 간의 관계의 분석을 통해 이들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시카고 대학의 Sloan Working Families Study의 연구대상자들을 자료로 경험표집법(Experience Sampling Method)으로 이들의 일상을 탐구하였고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긍정적인 감정의 전이는 남녀 모두에게서 발견하였고, 아내의 부정적인 경험이 남편으로 전이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긍정적인 감정의 전이현상은 사회사업 실천가나 연구자가 맞벌이 부부를 연구할 때 일과 가정생활 간의 전이, 교차전이 현상을 일상의 세부적인 요인들을 고려하여 심도있게 관찰,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link between work life and family life is an essential subject matter in understanding the lives of dual-earner couples. Concepts of spillover and crossover explain the link between work and family. The present study examines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in these processes. The data come from the Sloan Working Families Study conducted by the Alfred P. Sloan Center on Parents, Children, and Work and NORC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employed explores directly the daily lif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t-test. Both spillover and crossover were found in the lives of dual-earner couples in this study. Men and women brought happy emotions at work to home, but the data provide limited support for spillover of negative emotions. Gender differences were more apparent in examining the process of crossover. Men appear responsive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their spouse brought home while women were found not to be responsive to their spouses'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at work. Futhermore, the analysis revealed an interesting trend concerning the emotions of working couples in that they generally seem to recover to their average level of emotions once home. This suggests that home can be a respite from strong emotions, a comforting place. By looking closely into the emotions experienced by working parents in their daily lives, this study adds contextual understanding concerning the link between work and family life. The findings on the effects of positive experiences at work invite social work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to further investigate the phenomena of spillover and crossover processed in greater detail, taking into account this contextual aspect of family life as well as the work life of dual-earner couples.

      • KCI등재

        토들러복 브랜드의 내의(內衣) 패턴 조사(調査) 연구(硏究)

        진 ( Jin Kim ),손희순 ( Hee Soon Sohn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04 패션 비즈니스 Vol.8 No.1

        In order to compare the pattern sizes of toddlers` brands, the apparel size #95 and #100, #110 were surveyed, while upper body lengths, bust circumferences and waists, hip circumferences, shoulder length, sleeve length, neck circumferences of toddlers` underwears were examin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upper body lengths, chest circumferences and lower body lengths of toddlers` underwears differed more or by 2.0cm ~ 3.0cm among brands than other sizes. In case of underwear size #95, the average upper body length was 32.8cm; the upper body size of "c" brand was longest or 33.5cm, while that of "e" brand was shortest or 32.0cm. In case of size #80, the average upper body length was 36.0cm; the upper body size of "a" brand was longest or 37.0cm, while that of "e" brand was shortest of 35.0cm. Such findings may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main customers of "a" and "b" brands whose pattern sizes are larger are middle or lower class people who tend to buy larger toddlers` apparels than their children`s actual body sizes. In contrast, "e" brand seems to target the upper class who prefers the apparels almost fitting their children`s actual body siz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