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여가생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형 네트워크 서비스 제안

        김해은(Kim, Hae Eun),성문희(Sung, Moon Hee),신혜인(Shin, Hye In),유예리(Yoo, Yea Li),김승인(Kim, Seung I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1

        2012년 기준 대한민국은 OECD 국가들 중 연간 노동시간이 3위로 집계되었다. 직장인들의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는 그들의 여가생활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부분의 20~30대 직장인들은 취미를 가지고 있지만, 이를 활용할 시간과 정보, 공간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바쁜 직장인들의 여가생활을 활성화하기 위해 새로운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1차로 문헌연구를 통해 직장인들의 업무실태를 조사하였고, 2차로 SNS 유형별 분석을 통해서 직장인 여가생활 커뮤니티에 적합한 유형을 제시하였다. 3차로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인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하여 발견, 정의, 개발, 전달인 4단계를 거쳐 복합형 SNS ‘Mohano’를 기획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으로, 사용자들이 다양한 취미나 관심사에 따른 게시물이나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취미가 같은 사람과의 만남을 제공함으로써 직장인들이 유용한 여가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직장인들의 여가생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가 원하는 필요한 정보나, 인간관계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폐쇄형과 개방형의 장점을 지닌 복합형 SNS로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안에 대한 시스템을 개선함으로써, 신뢰성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콘셉트 ‘circle in’을 토대로 기획된 ‘Mohano’는 다음 사용성 평가 후, 더 나은 가이드라인을 제시가 필요하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서 제시된 커뮤니티 서비스를 통하여 직장인들의 여가생활이 향상되길 기대한다. In 2012, Korea has been announced as a third-place for the highest working hours of workers in OECD countries. Their stressful and excessive work incredibly affects on their leisure life. Most of workers in 20’s to 30’s have their own interests, however, they do not have enough time, information, and spaces for the hobbies. This study indicates the suggestion on the new community service in order to vitalize the leisure life for busy work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at first, the study investigates the business realities in Korea throughout reference research. Moreover, it suggests a specific form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leisure community of workers in consideration of the analysis for each form. After that, the hybrid SNS called ‘Mohano’ is designed with four phases of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including discover, define, develop, and deliver in methodology of service design. Following the process, users can share posts and information about several tastes or interests and the workers can spend valuable leisure time as it provides a meeting with people who have similar tastes. As a result,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vitalizing a leisure community are mentioned below. First, it has to provide information and human relationships as the users desire. Furthermore, the hybrid SNS offering advantages of open SNS and close SNS provides reliable service as improving the security system on personal information which users own. Depended on the concept ‘circle in’, finally, the application ‘Mohano’ which was designed with the study requires a guideline after serviceability evaluation later on. Based on the study, from now on, it is eagerly anticipated that the leisure life of workers will be advanced through the community service mentioned above.

      • KCI등재후보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키오스크 서비스의 사용성 평가

        유민영(Yoo, Min Young),김해은(Kim, Hae Eun),김승인(Kim, Seung I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3

        기술의 발전으로 정보와 지식 서비스를 공유하고 참여하는 공공 서비스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또 관광 산업의 성장으로 관광객이 늘어남에 따라 그 수요에 맞는 관광정보의 효율적인 전달 방법이 필요해졌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으로 등장한 것이 로드 디지털기술인 키오스크가 대표적이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지역적 특성을 지닌 두 곳을 선정하고, 두 장소에 설치된 키오스크를 비교 분석하여 키오스크의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방법은 서울시에서 유동인구가 가장 많고, 대표적인 상권지역인 강남역과 전통예술문화의 거리로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인사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Peter Morville의 user experience honeycomb 방법론을 재구성하여 작성 된 질문지를 바탕으로, 한 지역에 8명씩, 총 16명에게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강남역 지역의 미디어 폴의 키오스크 콘텐츠들은 강남역 지역성에 맞게 구성해야 하며, 사용자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매력성이 보완되어야하고, 정보에 대한 깊이를 추가해서, 키오스크의 사용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인사동의 관광 안내 키오스크는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서울시의 관광 정보 대신에 인사동만의 아이덴티티를 살린 정보가 제공되어야하며, 한국의 전통적인 문화를 대변할 수 있는 콘텐츠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앞서 진행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키오스크가 본래의 목적에 맞게 사용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얻는데 있어, 쉽고 빠르게 공공 서비스를 전달하는 미디어로써 발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of using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service, the role of public service became important. And as the tourists increased due to the growth of tourism industry, the necessity of tourism information delivery matching its demand emerged. What appeared in this background is kiosk, the road digital technology.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 of currently installed kiosk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wo representative places having the different regional natures. Among them, kiosk in Gangnam station which had most floating populations and convenient traffic in Seoul and one in Insadong which had Korean inherent traditional culture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study, it took many unnecessary times to find the information of target area because currently installed kiosk was poorly managed and contained a wide range of tourism information, and it did not consider the regional nature and user’s usability. Tourism kiosk should arrange the information matching the regional nature and recognize quickly and understand, and understand easily in obtaining the information using the info graphic or pictogram and be able to gain the interest. Kiosk should be designed to play a role of public service which reflects the nature of relevant region in accordance with original object rather than delivering all information. It is expected to have a contribution toward the media development by offering information about public services through kiosk system.

      •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키오스크 서비스의 사용성 평가

        유민영(Yoo, Min Young),김해은(Kim, Hae Eun),김승인(Kim, Seoung I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사)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conference Vol.2014 No.5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of using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service, the role of public service became important. And as the tourists increased due to the growth of tourism industry, the necessity of tourism information delivery matching its demand emerged. What appeared in this background is kiosk, the road digital technology.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 of currently installed kiosk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wo representative places having the different regional natures. Among them, kiosk in Gangnam station which had most floating populations and convenient traffic in Seoul and one in Insadong which had Korean inherent traditional culture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study, it took many unnecessary times to find the information of target area because currently installed kiosk was poorly managed and contained a wide range of tourism information, and it did not consider the regional nature and user’s usability. Tourism kiosk should arrange the information matching the regional nature and recognize quickly and understand, and understand easily in obtaining the information using the infography or pictogram and be able to gain the interest. Kiosk should be designed to play a role of public service which reflects the nature of relevant region in accordance with original object rather than delivering all information. Therefore, kiosk users are going to be surveyed by questionnaire based on the honeycomb model of reorganized Peter Moville in the secondary paper based on this study resul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